본고는 반 겐넵과 빅터 터너의 이론을 활용하여 중국 자귀현 단오절의 의례적 구 조와 기능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주요 행사인 용주경도는 시공간의 속성 에 따라 재현과 질서의 리미널리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재현의 리미널리티는 초나 라 시기의 복장과 음악, 굴원 재현 배우 등을 매개로 하여 굴원의 시기를 구현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질서의 리미널리티는 구질서와 체계를 공고히 하려는 의도에서 출 발하여 전통을 복구하는 시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행사 참여자들의 관계에 따라 용주경도는 의례·경쟁·추모의 커뮤니타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례의 커뮤니타스는 초혼곡을 합창하고 이소를 낭송하며 쫑즈를 던지는 유강초혼에서 형성된다. 경쟁의 커뮤니타스는 내부적인 단합과 협력을 통해 외부 타자와의 경쟁에서 우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용주시합에서 형성된다. 추모의 커뮤니타스는 노래 열창과 눈물의 추도 식을 통해 굴원에 대한 숭배의식을 각인시키고 참여자들과 관람자들이 일체가 되는 양상을 말한다.
This study aims to arouse the people clearly to the differences of Danoje Festival in Korea from Danoje Festival in China for which it was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verview of the contents of Danoje Festival in Korea and China, and the differences of Danoje Festival in Korea from that in Chin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rigin/purpose of Danoje Festival between Korea and China. Danoje Festival in Korea is a kind of harvest ceremony celebrating the creation of life and praying for safety by the Yin-Yang harmony through sacred marriage of Cheonbusin (Heavenly father god) with Jimosin (Earth mother goddess) (or Sumosin (Water Mother Goddess)) in the myths of Dangun, Jumong, Park Hyeokgeose and Kim Su-ro. Yongseon (Dragon ship) game of Danoje Festival in China is a prayer for the safety of Qu Yuan’s corpse or a Yongmuje event for calming the appearance Sea god (God of water) by the battle under the water.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Danoje Festival between Korea and China. In Danoje Festival in Korea, primarily, Summer Solstice Festival or May Festival was combined with secondary god of nature and thirdly, it was replaced by human gods, Gongeophyeong (General Han and His Sister, State Master Beomil and Kim Yu-Sin). In Danoje Festival in China, first, the summer solstice system was combined with the sea god festival, and second, the sea god was replaced by a human god in a kind of revengeful spirit (Qu Yua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the succession of Danoje Festival between Korea and China. Danoje Festival in Korea focuses on the rites, so entertaining group play Hwaetbul Nori (Torch play), Seokjeon (Mock fight with stone missiles) or horse race were included as part of Danoje Festival. Danoje Festival in China focuses on the games/plays instead of the rites, so ritualistic elements are diminished. In other words, Korea focuses on the rites while China focuses on games.
Although Danoje Festival in Korea and China was developed in similar religious activities because of the regional background of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industrial background of agriculture, it was found that Danoje Festival in Korea had different cultural styles with that in China, in terms of the origin/purpose and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and succession.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are most important parts of cultural heritages. In this sense,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broad mind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country’s culture, rather than establishing the rights and wrongs based on the similarity of name or origin.
Gangreung Dano festival which both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13, and the mankind tradition and intangible property that UNISCO selected is a festival the world joins, beyond a Korea's festival. This study tried to retrace the sport cult
중국과 한국은 아시아 지역에서 최초로 농경 문명이 생겨난 나라로 농업생산은 정확한 농사철을 요구한다. 계절의 전환에 따라, 어느 특정한 날에, 천상, 물상과 기상은 모두 같거나 비슷한 점이 많다. 단오절은 고대 농경사회에서 변천해 온 중요한 전통 명절이다. 음력 5월은 농민들이 파종을 위해 집중적인 노동력을 투입한 후 성숙을 기다리는 시간이며, 농민들이 잠시 손을 떼고 한숨 돌릴 수 있는 간헐기다. 지난 몇 달간의 고된 노동으로 몸과 정신에서 피로와 졸음을 느끼며 피로를 푸는 체력이 필요했다. 또 날씨가 점점 따뜻해져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세균, 바이러스가 생기고 모기가 늘어나는 계절이다. 그래서 풍년을 기원하고 제사를 지내는 한편 사악을 물리치고 병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방역 위생' 활동을 해야 한다. 그 기원과 내용, 그리고 문화적 의미, 개최 목적, 보호와 전승 방식 등을 살펴보면 중국과 한국은 공통점이 있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한•중 단오절 체육적 풍습을 비교 연구하여 양국의 단오절 체육적 풍속의 차이점이라는 측면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세시풍속 중 하나인 단오 풍속을 유치원에 적합한 교육활동으로 개발하여 적용하는 과정에 참여한 교사와 학부모의 경험을 분석하여 참여과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유치원 1개소에서 2년간 단오 시기를 중심으로 실시된 1. 2차의 단오풍속 활동에 참여한 원감 1인, 교사 3인과 학부모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유아 어머니 11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개방형 질문지였다. 자료분석은 질문에 대한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특성을 보면, 단오 교육활동에 참여한 교사와 학부모는 초기에는 준비의 어려움과 익숙하지 않은 활동에 두려움을 느꼈으나 활동을 진행하면서 직접체험의 교육적 의의를 인식하게 되었고,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단오 풍속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으며 동료 교사와의 정보 교환과 협력에서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자원봉사자들은 자신들에게도 새로운 경험인 단오 교육활동에 참여한 것에 대하여 의의와 보람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학부모는 단오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 직접체험 기회확대와 활동 이행에 필요한 교구․교재 구비 등 실질적인 지원을 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