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ortance of marketing on mobile platforms as well as mobile commerce is increasing dramatically in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mobile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and to examine application usage motivations that influence brand attitude, purchase decisions, and post-purchase evaluati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particular focus-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typology of mobile marketing and fashion application usage motivations. Then, a modified survey was used to quantitatively examine what content consumers expect from fashion applications.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indicated that consumers perceive sensory (visual, tactile, auditory),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motives. Survey result from 229 consumers revealed four fashion application usage motives: sensory,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practical. Based on these motives consumers were segment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ence/relationship-conscious, the product informationconscious, and the lifestyle information-conscious. The product information-conscious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monthly income and clothing expenses but lower level of mobile device usages. Lifestyle information-conscious group and experience/ relationship-conscious group had higher level of attitude, and post-purchase evaluation. It was experience-relationship conscious consumers who spent more time in mobile use. This study shows a better understanding of mobile marketing environment of fashion applications.
Cost for plant survey has been dramatically re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to obtain pictures with their GPS coordination. We developed a PlantGPS system consisting of an Android application specialized for collecting plant pictures and their locations using mobile devices, a server-side component for uploading data, and a web-based interface for managing and analyzing data. As examples of application of our PlantGPS system, surveys of “plants in Nangsae (Daksum) Island” and “ferns in Chollipo arboretum” were conducted. Results showed that our PlantGPS system could be used to quickly survey plant distribution in restricted area with reasonable time and effort.
According to the generalization of mobile device use in our life,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mobile applications are increased, and thus the importance of application test to find faults and errors quickly and easily before release grows.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automatic testing methodologies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and their element technologies. Also, well-known commercial tools for automatic testing are surveyed and case studies of their recent industry application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re perform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bile application developers with a standard test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By using this testing service, the developers can test the func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their applications from remote sites through Internet. This service standard helps to test applications quickly, easily, and cheaply through the intuitional scenario graphical environment, and becomes a base for constructing a testing system which can be shared by developers, users, and the third parties.
본 연구는 급속히 변해가는 고령화 시대에 늘어나는 뉴 실버세대들에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제작에 있어 그에 맞는 청각 신호 제작 방안에 대하여 제안 하고자 한다. 뉴 실버세대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운드 제작시 청력상태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복약 알림앱을 제작하여, 알림음을 제작함에 있어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알림음 제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운드디자인 제작시 실버세대의 청력상태를 고려하여 필요 청각신호 구성요소를 문헌 조사를 통해 소리 크기, 음색, 음고 등의 필요항목을 설정하였고, 이에 맞는 사운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사운드는 스팩트로그램 및 FFT(Fast Furier Transform) 분석을 통해 선정된 항목들에 부합한지 분석하였다. 실버세대들을 위해서는 청력상태 등 별도로 제작 및 고려되어져야 하는 측면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적인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비해 소리에 대한 청각 인터페이스 속성들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사운를 통해 실버세대를 위한 모바일 청각 인터페이스 제작 예의 하나로 제안하며, 실질적으로 필요한 청각 요소들을 제안하여 실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향 후 실버세대를 위한 청각인터페이스 및 사운드 디자인시 보다 효율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급변하는 IT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도래는 다양한 미디어 환경의 영역을 확장 및 변화시켜, 사용자들의 삶에 한 부분으로 깊숙이 자리 잡았다. 특히 실시간 대중교통 정보 서비스 중 지하철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발전에 따라 이용 빈도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 하루 평균 13,381천명이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한 것으로 집계 되었으며, 이중 지하철 이용자는 7,983천명이다. 교통과 지도 애플리케이션 중 대중교통 안에 포함되어 있는 지하철 애플리케이션은 우리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 시대에 다양한 사용자들을 위해 지하철 애플리케이션이 개발이 되었지만 개발환경과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이 부족하여 사용자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 2월까지 구글 플레이(Google Play)와 애플의 앱 스토어(App Store) 두 곳에서 리뷰, 사용성 평가, 선호도 등의 정보들을 참고로 하여 지하철, 카카오지하철, 지하철종결자, 지하철타임, 지하철매니저 총 5개의 지하철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에 관한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서 지하철 애플리케이션이 효율성 및 만족성에서 가장 사용성 평가 점수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카카오지하철, 지하철종결자, 지하철매니저, 지하철타임으로 나타났다. 카카오지하철과, 지하철종결자는 일관성과 심미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용이성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 지하철 애플리케이션은 용이성과 일관성에서도 높은 점수로 도출되었다. 지하철 애플리케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빠른 시간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해야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적 정보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