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otal airborne bacteria (TAB) and airborne mold in non-regulated public-use facilities. The arithmetic mean (AM) of the TAB in all facilities was 356.5 ± 419.3 CFU/m3, and the geometric means (GM) was 157.8 CFU/m3, which did not exceed the standard value of 800 CFU/m3.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637.3 ± 372.0 CFU/m3 (GM: 534.9 CFU/m3) in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The AM of airborne mold in all facilities was 448.2 ± 429.6 CFU/m3 (GM: 285.4 CFU/m3), which did not exceed the standard value of 500 CFU/m3, but was close to it. In particular, subway station (AM: 661.5 ± 441.2 CFU/m3, GM: 540.0 CFU/ m3), large-scale store (AM: 587.6 ± 683.2 CFU/m3, GM: 297.8 CFU/m3),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AM: 528.8 ± 379.6 CFU/m3, GM: 373.7 CFU/m3) exceeded the standard. Operational taxonomic unit of 16S rDNA and ITS2 rDNA region was analyzed to profile bacteria and mold component in the air of the public-use facilities. As a result, Pseudomonas and Morganella are the major bacterial groups. Regarding mold, Aspergillus, Candida, Malassezia, and Penicillium are the major groups. Component of each airborne bacterial and mold group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use facilities.
본 연구에서는 염 농도에 따른 된장의 발효과정 중에microflora와 향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염 농도가 4.8%,8.4%인 저염 된장의 총균수와 균총의 패턴은 염 농도가12.0%, 15.6%, 19.2%인 고염 된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호기성균과 호염성균의 경우에는 모든 염도와 전 발효 기간에 7-11log CFU/g의 높은 수준에 수치를 보였다. 호기성 세균과 호염성 세균의 균총을 보았을 때, 저염 된장의 발효초기에는 Bacillus licheniformis와 Bacillus amyloliquefaciens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요 향기성분들을 중심으로 각시료들의 향미성분에 경향성을 보기 위해 SPME를 이용하여 발효 기간 중 변화량 값을 GC-MS 통해 비교 분석한결과, dehydes, alcohols, acids의 경우 발효 초기부터 발효3개월까지 저염화 시료에서 많이 생성되었으며 발효가 지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시료들 간의 격차는 점차 감소하였다. 발효 6개월 부터 저염 시료에서도 다양한 pyrazine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염 농도에 따른 간장의 발효과정 중에 microflora와 향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4.8%와 8.4%, 12.0%, 15.6% 시료의 호기성균과 호염성균 생균수에 대해서는 큰 증감 없이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발효초기에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B. licheniformis, B. subtilis가 주를 이루었다. 유산균이나 곰팡이의 미생물총균수 패턴은 모든 염도 별로 거의 유사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발효 초기에만 발견되었다. 효모 또한 4.8% 간장에서만 2 log CFU/g 이하의 낮은 수치를 보였다. Aldehydes, alcohols, acids의 경우 발효초기부터 발효 3개월까지 저염화 시료에서 많이 생성되었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ncent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irborne organism at exhibit hall and storage in museums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protect cultural assests from damage. This study surveyed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at exhibit hall and storage in museums located 4 metropolitans from July to October, 2007 and literature data on airborne microbes of museums in Korea that were publiced in relevant Korean journals.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higher than those in storage. Pseudomonas spp. and Bacillus spp for bacteria and Aspergillus spp. and Penicillium spp. for fungi were shown mainly in museums. Pooled average concentration of airborne bacteria in museums was 34.2±10.1 CFU/m3 for exhibit hall and 17.2±10.0 CFU/m3 for storage, respectively. Pooled average concentration of airborne fungi in museum was 26.0±11.2 CFU/m3 for exhibit hall and 16.6±11.0 CFU/m3 for storage, respectively.
유기물과 질소를 동시에 제거하기 위하여 연속회분식으로 운전한 MBR (membrane bioreactor)시스템에서 미생물농도와 슬러지 부하량이 막오염과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막오염은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농도 증가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효과는 비포기 조건보다 포기 조건에는 좀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MLSS 농도는 막오염에 직접적인 커다란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지나치게 높은 MLSS에서 유도되는 낮은 슬러지 부하에서는 막오염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조건에서는 포기에 의한 막 세척 효과도 크게 줄어들었다. 미생물의 개별 활성도는 슬러지 부하가 감소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응조 전체 활성도 또한 17,000 mg/L 이상의 높은 MLSS로부터 유도되는 낮은 슬러지 부하율에서는 높은 미생물 농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감소했는데 이는 기질 부족으로 인한 경쟁으로 활성도가 떨어지고, 용액의 점성 증가로 인해 산소 전달율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high-salinity wastewater on the microbial activity of Aerobic Granule Sludge (AGS). Laboratory-scale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nitrogen removal efficiency, sludge precipitability, and microbial activity were evaluated under various salinity injection. The COD removal efficiency was found to decrease gradually to 3.0% salinity injection, and it tended to recover slightly from 4.0%. The specific nitrification rate was 0.043 0.139 mg NH4 +-N/mg MLVSS·day. The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was 0.069 0.108 mg NO3 --N/mg MLVSS·day. The sludge volume index (SVI30) ultimately decreased to 46 mL/g. The specific oxygen uptake rate decreased from an initial value 120.3 to a final value 70.7 mg O2/g MLVSS·hr. Therefore, salinity injection affects the activity of AGS, causing degradation of the COD and nitrogen removal efficiency.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objectively determine the effect of salinity on microbial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organisms or micro-organism functions for eco-friendly water-purification according to concentration in porous concrete using EM, utilizing bioremediation.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기질로 하여 수소생산을 수행하였을 때 중금속(구리)의 농도에 따른 수소생산 효율과 반응 조건, 수소생산에 기여하는 미생물 군집 분포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회분식 반응기가 사용된 이번 실험에서는 sucrose 1%(v/v)와 음식물 쓰레기가 탄소원으로 사용되었으며, 혐기성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N2가스로 반응기 내를 10분간 purging한 뒤, 이를 완전 밀폐 시켰으며, 교반 속도와 실험 온도는 각각 200 rpm, 30±3℃로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소생산은 실험 후 약 30-90시간 후 종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생산의 yield값은 Cu 0.5ppm, 1ppm, 5ppm, 10ppm에서 각각 5.3016, 6.6363, 28.9388, 4.9398㎖ H2/g COD로 나타났다. 수소가스 발생량(Ph)과 최대 수소 생산률(Rh)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중금속의 농도에 따라 수소생산량을 비교해 보았을 때 Cu 5ppm>10ppm>1ppm>0.5ppm의 순서로 수소생산량이 많이 발생되었으며, 이는 약간의 중금속은 미생물의 성장에 촉진작용을 일으켜 수소생산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일정 농도 이상으로 중금속의 농도가 높아지면 수소생산에 저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의 여건 상 5, 10ppm실험시기 보다 0.5, 1pmm농도의 실험시기의 온도가 약 3℃ 낮았던 것으로 보아 온도의 영향이 수소생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16S rDNA의 PCR-DGGE결과 음식물 쓰레기의 수소생산량과 비교하여 적은 수소를 생산한 중금속 첨가 반응액에서 발견된 Band 6과 7은 Lactococcus속으로 규명되었다. 이는 위 미생물들이 Clostridium속의 수소생산 활동을 저해시키는 역할로 작용했다고 판단된다.
The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bio-hydrogen production and microbial community by dark-fermentation were evaluated. The examined NaCl concentration was varied from 0 to 5%. When NaCl concentration ranged from 0 to 3%, the hydrogen production was insignificantly affected. 4% or more NaCl concentration decreased accumulated hydrogen production and the lag time was longer. In addition, the metabolite pathway of the bacteria were shifted from butyrate to acetate by microbial community changes with high concentration of NaCl. FISH analysis was achieved to analyze the microbial community after the dark-fermentation performance. Hydrogen producing bacteria, Clostridium sp. Cluster I and Cluster XI, was dominated with 0 ~ 3% of NaCl, while Eubacteria, general bacteria, was dominated with 4 ~ 5% of NaCl. Therefore, the growth and hydrogen production of the hydrogen producing bacteria were inhibited with over 4% of Na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