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대상자 중심 의사소 통역량, 긍정 간호조직문화가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서술적 조사연구는 전라남도 3개 시에 소재한 100 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5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9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31일부터 9월 14일까지 자기 기입방식을 이용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 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 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류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Scheffé 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다중 회귀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간호사가 소속 부서를 긍정 간호조직문화로 강하게 인식할수록 인간중심간호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키고, 긍정 간호조직문화를 높이기 위한 전략과 프 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6,7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 및 관련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시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동향과 유효한 변수를 규명하고자 하 며, 간호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전략 및 중재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8~2018년 발표된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과 메타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관 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PRISMA표를 활용하여 연구에 대한 스크리닝과 질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최종 144개의 논문을 추출하였다. 조직몰입과 관련해서는 45개의 변수가 유의미하게 분류되었으며, Schaufeli’s Energy Compass Model에 따라 이 변수들을 6개 그룹(직무요구, 직무자원, 참여형 리더 십, 개인적 자원, 피고용인의 웰빙, 직무성과)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중 직무요구를 제외한 5개 범주가 조직몰입과 일정 정도의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조직몰입과 긍정적인 직무성과 간에는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자원 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000원
        3.
        202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workplace bulling, organizational silence, organizational justice, ethical climate, and intent to leave in hospital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67 full-time nurses working at one general hospital in South Korea from June 10 to 30, 2022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workplace bullying averaged 1.81 (out of 4), organizational silence 2.60 (out of 5), organizational fairness 3.06 (out of 5), ethical climate 3.57 (out of 5), and intent to leave was 2.88 (out of 5). The higher workplace bullying and organizational silence, the lower organizational justice and ethical climate, the intent to leave of hospital nurses was high. Organizational justice, workplace bullying, and age could explain their intent to leave of 37.0%. Conclusion: It I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organizational justice and prevent workplace bullying in order to lower hospital nurses' intent to leave. So it is concluded that managers should disclose the process and results of organization operation, and prepare measures to prevent bullying in the workplace centered the vulnerable.
        4,300원
        5.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 직무착근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C시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38명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1일∼8월 1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조직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32±0.33점 이었고,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19±0.37점 이었으며, 직무착근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9±0.44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착근도의 차이는 연령(F=9.00, p<.001), 학력(F=13.24, p<.001), 직위(t=-5.42, p<.001), 결혼(t=-3.11, p=.002), 근무경력(F=10.55, p<.001), 근무형태 (F=10.9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착근도와 간호조직문화(r=.502, p<.001),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r=.673, p<.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커뮤 니케이션만족(β=.575 p=.000), 근무경력 ‘10년 이상’(β=.342 p=.000), 간호조직문화(β=.203 p=.000), 근무경력 ‘5년 이상∼10년 미만’(β=.121 p=.000)의 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57.4%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병원간호사의 간호직무에 착근도를 높이기 위하여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도를 수시로 파악하고, 근무경력, 간호조직문화 등을 고려한 간호실무 및 교육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200원
        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정도를 살펴보고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그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에 소재한 200~400병상 종합병원 간호사 1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β=-.321,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β=.389, p<.001), 3단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의 설명력은 45.5%이었다. 이때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3단계 β 값이 .203(p<.001)으로 2단계의 β 값 .389(p<.001)보다 작아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크기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값은 -3.694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p<.002).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조직몰입을 높여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ealth care markets are rapidly expanded due to population aging, increasing incomes, strengthening assurance of health insurance and so on, and the competition in the markets is getting serious. In the industry, hospitals have played more important role than any others, where doctors, nurses, medical technicians, administrative staff, etc cooperatively works hard. Among them, nurses capture 40 percents of specialized hospital workers and their role for patients as customers is essential. Therefore, it c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wellbeing of nurses with respect to enhancing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operating hospitals. In this paper the impact of nurse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heir productivity is studied. The subjects were 576 nurses in 20 different hospitals in Seoul, Kyounggi, etc. We held hypotheses and statistically tested and analysed them, using SPSS 20.0 software. Thus, we found various significant results(p<0.05), and they will give useful suggestions for managing nurse manpower and enhancing their productivity.
        4,300원
        10.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1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mediation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LMX)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MX. Through this study, we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aspects of HR to enhance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in hospital organizations, and present suggestions on academic contribution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operation measur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C and OCB of the organization member, which is proposed to secure more active and high competitiveness in the recent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with multi-regression and B&K(1986) method. For this purpose, 653 employees of senior hospitals in Seoul and Kyeong-In area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Ea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7-point scale, and each hypothesis was testified by multiple leaner regression and by BK method for testifying mediator effect. Result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le and non-medical staff had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the medical staff in the LMX,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senior management or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grou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recognized higher than the group of subordinate managers. Second,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MX,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LMX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LMX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BK method, LMX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all the members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that were lacking served as positive factors for the relationship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LMX, and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is expected that the hospital organization will be able to suggest such as the organizational approach to expect hig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entering on authentic leadership ability as psychological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