司饔院의 分院官窯는 조선 도자기 역사의 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이 고도 근원적인 연구 주제이다. 분원 관요를 준거로 하여 시기구분을 비 롯한 도자 양식 연구 및 官職연구, 관요의 명칭 문제 등 여러 세부 주제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조선 왕실의 정책의 단면을 파악하고 문화와 생활 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선 분원 관요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주지하듯이 분원 관요는 朝鮮前期에 京畿道廣州일대에 설치되어 조선 말 민영화되기까지 조선 왕실과 궁궐 및 관청에 도자기를 납품한 막중한 임무를 수행했다. 따라서 국가의 정책이 곧 관요의 도자기 제작 과 양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관요를 중 심으로 왕실 및 궁궐자기가 대량생산되었고, 관요 백자 양식이 탄생했 으며, 도자기 제작 판도에도 변화가 일어 분청사기가 쇠퇴하고 백자가 성행했다.
그러므로 이 글의 목적은 분원의 개념과 명칭 및 설치시기에 대한 학 계의 공통된 견해를 수렴하여 통합된 학설을 세우려는 것이다. 따라서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분원 관요에 대한 학술적 성과, 즉 官窯 址의 발굴과 지표조사, 특별전, 학술대회 등의 주요 성과를 연대별로 정 리했다. 아울러 전문 연구자들의 논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한 시대는 조선 초부터 분원 관요가 설치되고 조선 말 민영화되기 전까지 다.
학술적 성과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경기도박물관과 경기도자박물관(구 조선관요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해강도자 미술관을 주축으로 한 국공사립기관의 참여와 활약으로 축적되었다. 학 술 활동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는 1990년대와 2000년대였고 2010년대는 2015년 현재까지 다소 저조한 편이다.
광주 관요 출토의 중요한 도편은, ‘內用’명 백자편, ‘見樣’명 백자편, 기린문 청화백자편, 운룡문 청화백자편, ‘좌’ 또는 ‘우’명 백자, 각종 干支 및 숫자가 기명된 백자편, 중국 연호명 백자편, 각종 点刻銘백자편 등 이며, 이를 근거로 편년이나 도자 양식의 규명이 가능했다.
분원 관요의 개념과 명칭에 대해 학계의 주요 논저에서는, ‘司饔院이 세운 沙器製造場으로서 조선 전기부터 존재한 조선을 대표하는 최대의 관청수공업장’이라고 정의했다. 즉 분원은 사옹원이라는 관청이 세운 가 마이며, 이를 압축하면, 본원인 사옹원의 분원이다. 아울러 ‘광주 분원’, ‘광주 분원 관요’, ‘광주 沙器所’, ‘광주 燔造所’, ‘광주 磁器所’, ‘분원 번 조소’ 등이 조선시대의 명칭을 계승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관찬기록에 의하면, 번조소와 자기소는 주로 광주 분원 관요에 한하여 지칭한 명칭 이었다. 이에 반해 사기소는 전국적으로 분포한 가마를 지칭할 때 두루 사용된 명칭이었다. 또한 분원의 설치시기에 대해서는 필자가 1467년 4~12월이라는 연대를 발표하였다(본문 각주 16).
In the domain of Korean arts history, the studies o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modern arts have been insufficient so far. But there have been attempted to deal with this issue in the various fields of Korean arts. But the field of crafts, compared to the fields of painting or architecture hasn't given us good results about thi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and the modernity of the ceramic crafts that appeared since the period of transition into modern era.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various ceramics used by royal class were intensively produced especially in Bunwon(分院) that was operated by government and the ceramics for the general public's daily life were produced actively in local kilns. But various foreign ceramics that were imported due to the opening of ports after the Treaty of Ganghwa-Island(江華島) in 1876 and the privatization of Bunwon in 1884 caused the traditional way of making ceramics to change a lot. And modern techniques of producing ceramics were imported from the West and experts from various countries were invited. Especiall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morden system of ceramic production was imported from Japan.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ceramic process and the distribution changed much, these aspects indicat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ceramics.
This paper examined the progression of the aspects of the Korean ceramics that had undergone change since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in order to determine the period, the modernity of Korean ceramics began and established. The period of emerging modern ceramics were divided into two period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system of manufacturing ceramics and the government policy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irst period began when the Chosun opened her ports to foreign powers. After the reformation of system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the opening of ports conclusively led to the different framework of the manufacture system that was new to the Chosun. And, in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at succeeded the Chosun dynasty around the time of the privatization of Bunwon, modern factories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for ceramics were established foreign experts with technical skills came into Korea. However, Japan occupied Korea forcedly 5 years after they set up resident-general office in Korea, this caused the modernization. Japan adopted various policies in favor of them and made the manufacturing of the Chosun white porcelain declined fast. Partially the modern technique was adopted making vessels which changed the supply and demand of ceramics. Therefore,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en Korea faced the new modernization without voluntary agreement, can be classified as the second period of modernization. Especially in the period of about 40 years since 1910, the year when Japan began to occupy Korea, there were a lot of changes in the ceramic industry. So this period can be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period of modernization.
In the period of the opening of ports, the aspects of manufacture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Korean modern ceramics began to change and the privatization of Bunwon caused the manufacture system to change rapidly. And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fter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e modernization was pushed ahead forcedly without voluntary agreement.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ty of this period be analyz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 of situation and system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