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2.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Numerous studies have used smartphone applications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in different joints. In addition, studies measuring the active range of motion (AROM) of the craniocervical joint have revealed high reliability. However, the subjects in these studies were all healthy subjects. No study has yet been conducted to measure the inter-rater reliability for the AROM of the craniocervical joint in stroke patient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AROM of the craniocervical joint using a smartphone.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21 subjects who had strokes (17 males and 4 females). Two raters evaluated six types of craniocervical AROM, including flexion, extension, lateral flexion to the hemiplegic side, lateral flexion to the non-hemiplegic side, rotation to the hemiplegic side, and rotation to the non-hemiplegic side, using a goniometer and a smartphone to investigate inter-rater reliability.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analyzed b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Results: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smartphone was good for extension, lateral flexion to the hemiplegic side, lateral flexion to the non-hemiplegic side, and rotation to the hemiplegic side [ICC(2,k)=.86∼.88] and excellent for flexion [ICC(2,k)=.95]. The inter-rater reliability for rotation to the non-hemiplegic side was moderate [ICC(2,k)=.7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martphone offers high inter-rater reliability for measurements of the craniocervical AROM in patients with stroke.
        4,2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the usage status and satisfaction of food-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by generic characteristics and food purchase attributes of Seoul area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health vitality-oriented group, married compared to single, those with higher eating-out expenses possess more food-related applications (p<0.05). The primary reason for the usage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as the need for food-related information (53.7%). The highest application subjects in use were restaurant-related information and recipe information. The real-life aid food-related applications utilized most were also restaurant information (60.7%) and recipe information (28.3%). Health vitality-oriented respondents especially turned out to use nutrition information and food functionality information often (p<0.01), and recipes or calories & diet information usage frequency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01). Restaurant-related information were more frequently used by singles, highly educated, and those with high income and eating-out expenses (p<0.05). Satisfaction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as normal (3.06), showing that the satisfactory level is not yet high. Satisfaction regarding purchase attributes showed that the health vitality-oriented group (3.19) was more satisfied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and women (3.16) were more satisfied that men (2.89) were (p<0.05). Inconveniences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ere highest in usage fee (3.29), simplicity of information (3.28), lack of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need for update (3.10).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various subdivisions of food-related applications users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food-related applications covering diverse subjects that regard each group's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utilize food-re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marketing tool in the food industry; this can efficiently be done by paying attention to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updates within applications.
        4,200원
        5.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mart phones have drastically changed the life of today’s competitive world. Smart phone application (App) developers are trying their best to meet the customer requirements in the most efficient way while considering all its attributes. However smart phone service quality has been given less consideration comparatively during the last few years. This paper proposes a measurement method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of smart phone application. This method combines the service quality performance model and process capability index. The service quality performance model is used to identify service items that require improvement. Process capability index is used to prioritize these items for improvement. We collected data on satisfaction level of customers who have used application service. By the proposed method, we found five significant service items from three categories - execution, security and resilience and prioritized those items for improvement.
        4,000원
        6.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전국적으로 요트관련 산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전라남도는 천혜의 요트 최적지로서 우리나라 요트레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트 계류장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요트 항로의 개발은 물론, 안전한 요트 항로 유도를 위한 장치의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널리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요트 항로 가이드용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항로는 시범운영을 위하여 목포를 기점으
        3,000원
        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 정보사회 디지털의 발전은 생활공간의 확장, 즉 가상공간의 영역 확장을 가져오면서 현대인들의 길찾기 방법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단순 지도 또는 표지판을 통한 길찾기가 아닌 가상과 현실의 공간을 넘나드는 증강현실 기술이 상용화 되면서 목적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길찾기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플랫폼으로 하는 스마트폰 길찾기 어플리케이션의 방향표시 기호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시각이미지를 분석하여, 향후 개발될 길찾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모델에 대한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아이폰 앱스토어에 등록된 길찾기 어플리케이션 200개를 분석한 결과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어플리케이션들에서 보여지는 방향표시 기호 유형은 말풍선, 진행경로, 화살표, 화살표+진행경로, 레이더, 좌표, 컴퍼스, 방위표시, 캐릭터 등 총 9가지였다. 사용된 방향표시 기호는 기존의 아날로그적인 기호들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속 증강현실에서의 방향제시 기호는 과거의 기호와의 형태적 다름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기존의 방향제시 기호들로만 보여줄 수 없었던 정보의 확장성을 실현에 더 의의가 있다. 향후 증강현실 플랫폼은 영역을 확장해 나가며, 좀 더 직접적이고 다양하게 실생활에서 사용될 전망이다. 이때 가장 고려되어야 할 것은 현실과 가상세계간의 정합이며, 사용성을 높여서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정보를 취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10.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재 어플리케이션 마켓 시장에 공급되고 있는 유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석하고, 유아들의 발달 특성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특성이 유아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아이폰 웹스토어 및 안드로이드 마켓 등의 교육 카테고리에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 61개의 유아용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고, 학습 유형별 콘텐츠 유형, 인지부하원리, 멀티미디어 설계원리에 기반을 둔 분석기준을 토대로 유아용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좀 더 다양한 유형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스마트폰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설계원리를 준수하고, 무분별한 멀티미디어 사용을 지양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