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st-retest reliability or reproducibility of the paper-pencil test for investigating stereotypes of seven principal controls of passenger cars. The controls include wiper, head light, high beam, door window, ignition key, door key and door lock. Sixty two college-ag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aper-pencil tests and the tests were conducted twice with an in-between period of 4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ereotypes of motion-directions for the seven controls by the two paper-pencil tests were the same, and that the percentage agreements between two tests by subjects were ranged from 60.0% to 80.6%. There was a weak linear relationship between averaged rates of responses for the stereotypes of motion-directions for the seven controls and percentage agreements by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paper-pencil test collects reliable or reproducible data on the stereotypes of motion-directions for passenger cars’ controls within four weeks.
        4,000원
        2.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볼륨 타입의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해 광학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필름으로 노광하는 기존의 과정과 비교해 간략화하고 자동화된 볼륨 컬러 홀로그램의 제작을 위해 DLP 프로젝트를 도입하여 광학시스템을 디자인했다. DLP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시차 이미지를 확산판에 투영하고 물체광을 생성시켰다. 참조광은 유제면의 반대 방향으로 입사시켜 간섭무늬를 만들었다. 시차이미지는 색분해 하여 Red, Green, Blue의 색 성분으로 만들어 공간에서 분할하는 기록 방법으로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했다. 660nm, 532nm, 457nm의 파장을 지닌 세 대의 레이저 광원을 사용해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2단계로 나누어 기록했다. 마스터 홀로그램에서 공액 재생법으로 실상을 재생시켜 리프만 홀로그램 타입으로 제작하였다. 제안하는 디지털 방식의 광학 시스템으로 볼륨 타입의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stereotypes of control-display relationships for seven principal controls in passenger cars using the paper-pencil and hardware tests, and to examine stereotype strength of the paper-pencil test through comparing the stereotypes for the controls derived by the two methods. Ninety two and 60 college-ag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aper-pencil test and the real car simulation of the hardware test, respectively. There are dominant motion-directions for all controls in the paper-pencil test, while in the hardware test, there are dominant motion-directions for six controls including head light, high beam, door window, ignition key, door key and door lock controls. The stereotypes of motion-directions for six controls obtained by the paper-pencil test we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by the hardware test. It was inferred from this that the congruence of the stereotypes by the two methods might be attributed to two simple motion-direction principles of 'clockwise for increase' and 'upward for increase.' Although it is known that the hardware test would be best for obtaining accurate stereotypes between controls and displays, this study implies that if the paper-pencil test is well designed, the paper-pencil test can produce the same results as the hardware test at low cost and without consuming time.
        4,000원
        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learnability of haptic icons was tested as a way of conveying turn-by-turn directions to users involved in navigation interactions with commercial smartphones. To do this, six most distinctive haptic icons were identified from those having different duration of each pulse, interval between pulses, and rhythm. Associations between the selected haptic icons and 3 pairs of navigation directions were analyzed using data gathered from 30 subjects by 7 point Likert scale. The haptic icons were then assigned to proper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at stereotyp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mercial smartphone with one linear motor at a fixed location is not capable of making hapticons to have clear directional stereotypes. The hapticons with poor stereotypes has no advantage in learnability compared to those of random assignment.
        4,000원
        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rian Piper performed a virtual masculine persona of 'Mythic Being' between 1973 and 1975. She disguised herself with an Afro-wig, sunglasses, a mustache, turtleneck shirt, etc. in order to be 'Mythic Being', hung around the everyday street and carried out performance. She imitated and reproduced a violent, sexual stereotype of a black man of the working class filled with hostility. Through a performance like this, Piper tried to do research on the racial prejudice and stereotypes implanted in the audiences' mind. In addition, Piper was able to experience gender freedom while doing an impersonation of a black man's erotic stereotype through 'Mythic Being', and did an experiment on what sort of liberation such an experience could give her as a black woman. In addition, Piper used an artful practice in 'Mythic Being' performance in an effort to produce contrary evidence that a racial stereotype could by no means represent the true identity of black people. The 'Mythic Being' in <The Mythic Being>series looks like someone who has a short and small body with lighter skin which clouds racial distinguishment despite the fact that it claims to stand for black masculinity. Besides, the Afro-wig and mustache of the 'Mythic Being' are worn awkwardly and exaggeratively as if they didn't belong to it. Such factors hint at the fact that Piper is not completely assimilated to the black masculine persona-'Mythic Being', but simply does an awkward imitation of it. In this way, Piper intended to expose the fact that it is by no means possible to explain the essence of the racial identity simply by using a stereotype while proving that performing a racial stereotype imitatively, though, is enough to acquire specific ethnicity, i.e. negritude.
        5,800원
        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stereotypes of motion-direction and real motion-directions for seven principal controls in passenger cars, and to compare the stereotypes and real motion-directions for the controls. The stereotypes were obtained by using questionnaire survey, in which 385 subjects participated. The real motion-direction data were gathered for 64 passenger cars including RVs and SUV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re are dominant motion-directions for head light, door key and door lock controls, dominant motion-directions are not found for other control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tereotypes of motion-directions for seven control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real data. Furthermore, the stereotypes for wiper, head light and high beam controls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opposite to the real motion-directions.
        4,000원
        7.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presumable that properly designed earcons given simultaneously with visual information could enhance the situation awareness of operators when they are involving in highly complicate process control activities. In this study, population stereotypes of earcons with respect to process control information were identified using 60 Korean subjects. To do this, 11 most distinctive earcons were selected from various earcons having different pitch, rhythm, and timbre. Associations between the selected earcons and 40 pairs of adjectives used to describe the state of control in process were gathered from 37 subjects using a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Based on the results from multivariate analyses, the 40 pairs of adjectives were aggregated into three distinctive semantic dimensions. The emotional maps of the 11 earcons matched with the semantic dimension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general guideline was suggested for designing earcons to deliver process control information.
        4,0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급수전('tap'과 'faucet'은 호환사용)의 종류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방향에 대해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문화적인 차이를 비교한 연구결과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들이 가정과 공공시설의 화장실이나 욕실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냉 온수 일체형 레버형 손잡이 급수전과 냉 온수 분리형 손잡이 급수전을 선정하여 이의 열림 방향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파악하였다. 또한 본 실험결과와 다른 문화권의 자료를 비교하여 이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서로 다른
        4,000원
        1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day's driver information system often features a rotary control type as a main controller for menu navigation. Population stereotype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in designing those systems to minimize the misunderstanding by the operator. This paper investigates stereotypes for rotary controlled menu interfaces and influences of contributing principles. A human factors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various configurations of control-display layouts, cursor shapes/positions, and movement dire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rol should be on the left of the display, with a rightward icon on the right side of the cursor, in order to match the stereotyp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Warrick's principle was the most influential principle, followed by Icon shape, Icon position, Clockwise away, and Clockwise up principl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to designers of menu-based systems such as driver information systems and main control rooms that uses rotary controls.
        4,000원
        11.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품 이미지의 스테레오타입의 형성을 아는 것은 우리 자신을 아는 것이며, 상품의 두 번째 가상 이미지의 새로운 위상을 획득하는 초정상 자극을 연구한다. 형상은 모든 현존의 근원이다. 형상은 우리 자신을 상당히 깊게 이해하는 근본이다. 인류는 지성을 문자화하지 않았으며, 지성의 세계를 문자화 형식으로 표현하기 힘듦을 알았다. 그러므로 이미지는 지식과 지혜이기 때문에 스테레오타입을 통한 소비자의 의식, 태도 변화와 스테레오타입의 필요성을 살펴본다. 긍적적인 스테레오타입의 형성이 미흡한 상품의 경우에는 두 번째 스테레오타입을 통한 상품의 촉진전략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 과정을 살펴본 다. 또한 제품은 마케팅에서 실제와 다른 과장된 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시각화된 도시는 그대로의 실체이미지가 아닌, 잘- 만들어진 모조품 또는 이미지를 지향하게 된다. 잘-만들어진 과장된 모조품과 이미지는 제품을 가장 효과적으로 정보전달 하는 요소이다. 초정상 자극을 통해 제품을 파악하고 인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두 번째 상품 이미지의 필요성을 알아본다, 상품의 원본 이미지 보다 두 번째 가상의 상품 이미지로 형성된 스테레오타입과 초정상 자극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두 번째 이미지인 시뮬라크르가 원본을 지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12.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여성게이머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남성 캐릭터 디자인의 스테레오 타입 분석 에 대한 것이다. 1998년 발표된 Helen McCarthy의 남성 캐릭터 스테레오 타입 연구를 기반으 로 모바일용 오토메 게임 앙상블스타즈에 등장하는 총 33명의 캐릭터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의 6가지 스테레오 타입 외에 1가지 새로운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스테레오 타입의 등장을 통해 남성 캐릭터 디자인의 발전가능성을 볼 수 있다.
        1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는 흔히 은유적(METAPHORICAL)인 표현으로서 아날로그 이미지(ANALOG IMAGE : AI)또는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 DI)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브라운관 TV를 보면 AI라고 느낄 것이며, 최근의 디지털TV를 보면 DI로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품으로부터 AI와 DI를 느끼게 하는 시각적 자극요소에는 사람에게 그렇게 느끼게 하는 어떤 특정한 스테레오타입(STEREOTYPE : ST)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그것이 무엇인지 실험을 통하여 밝히려 하였다. 1차 2차 실험결과 여러 다양한 요소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AI를 가진 제품에서는「곡선적」「둥근」그리고, DI를 가진 제품에서는「심플한」「각이 있는」「사각의」「직선적」등 기하학적 형태와 관련된 요소가 매우 강하면서도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 AI와 DI를 구분 짓게 하는 중요한 ST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형태에서 느껴지는 AI와 DI의 상이한 ST가 존재한다는 결과로부터 형태요소가 AI와 DI를 구분 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 착안하여「형태(shape)」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3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삼각형으로부터 점점 원으로 변환해가는 과정에 있어서 사람들의 AI에서 DI로의 변화시점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피험자들로부터 그 변화 시점을 명확히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즉 AI와 DI의 변화 시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AI와 DI의 판단에 있어서 ST가 확실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1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회적 소수자가 사회 교과서 속에서 어떤 전형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지 살펴보고 현실에 대한 반성과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2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소수자는 타자, 약자 등의 이미지로 묘사되고 있다. 둘째, 사회적 소수자로서 인종(민족)에 해당하는 하위 집단이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고 여성, 장애인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셋째, 사회 변화를 반영하여 성적 소수자나 양심적 병역 거부자도 새롭게 다루어지고 있다. 넷째, 이주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에 대한 부정적이거나 다소 부정확한 전형적 묘사도 나타나 있다. 다섯째, 사회적 소수자는 대체로 어려움을 겪는 존재, 약자, 차별의 대상, 지원의 대상, 갈등과 문제의 원천 등과 같은 맥락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앞으로는 사회적 소수자가 시혜의 대상이 아니라 적극적, 주체적,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현실을 개선하는 데 참여할 수 있는 존재라는 점도 부각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