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thermal expansion characteristics of concrete mixed with 1% waste glass fine aggregates, which is the amount stipulated for recycled aggregates in the current quality standard. METHODS :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was measured by applying AASHTOT 336-10 using a LVDT. The results measured were used as physical properties in a finite element analysis to confirm the change in tensile stress and the displacement of the right angle section of the upper slab of a concrete pavement due to admixture substitution. RESULTS :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concrete based on the replacement rate of the admixture when the waste glass fine aggregates are replaced are within the range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concrete specified in th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report. As the replacement rate of the admixture increases,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concrete decreases. As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ecreases, the slab pavement curling displacement and the tensile stress of the center of the upper slab of concrete decrease. CONCLUSIONS : In the short te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ste glass fine aggregate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concrete. However, in the long term, waste glass fine aggregates are reactive aggregates that causes ASR, which creates an expandable gel around the aggregates and results in concrete expansion.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SR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ust be analyzed in future studies.
        4,000원
        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this study, an ASR-reducing (alkali-silica reaction) cement was developed to prevent the blow-up of concrete pavements. To develop ASR-reducing cement, various amount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GBFS), and fly ash (FA) were substituted with Portland cement, and the ASR reduc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METHODS : The physical properties of ASR-reducing cement, varying with the substitution amounts of GGBFS and FA, were verified through compressive strength tests. In addition, the ASR reduction effect was examined using accelerated mortar bar tests. Furthermore, the reasons for the ASR reduction were investigated using microstructur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XRD and TG/DTG. RESULTS :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mpressive strength results according to the amount of GGBFS and FA substitution. In addition, the samples with GGBFS and FA exhibited relatively lower compressive strengths at 3 days, than OPC samples, but the compressive strength at 28 day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PC samples. The samples with GGBFS and FA ha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t 28 days than OPC samples, because the substituted GGBFS and FA induced pozzolanic reaction. Through XRD and TG/DTG analyses, various degrees of pozzolanic reaction occurring in the samples were examined, and a more active pozzolanic reaction occurred in the samples with FA than in the samples with GGBFS. Therefore, it appeared that the ASR reduction effect occurred because of the induced pozzolanic reaction. CONCLUSIONS : GGBFS and FA substituting Portland cement indicated an ASR reduction effect, which was owing to the pozzolanic reaction. In addition, FA indicated a greater ASR reduction effect than GGBFS, which suggested that FA induced a more active pozzolanic reaction than GGBFS.
        4,000원
        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ternary blended concrete mixtures adding ultra fine admixture. METHODS : From the literature review, crack was considered as the main distress failure criterion on concrete bridge deck pavement. To reduce the initial crack development due to drying shrinkage, CSA expansion agent and shrink reduction agent were used to ternary blended concrete mixtures as a admixture. Laboratory tests including chloride ion penetration test, surface scaling test, rapid freeze & thaw resistance test, non restrained drying shrinkage and restrained drying shrinkage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urability of ternary blended concrete mixtures. RESULTS : Based on the test results, proposed mixtures were verified as high qualified durable materials. Expecially initial drying shrinkage crack was not occurred in ternary blended concrete mixtures with CSA expansion agent. CONCLUSIONS : It is concluded that the durability of proposed ternary blend concrete mixture was acceptable to apply for the concrete bridge deck pavement.
        4,000원
        4.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향상과 시공성 개선, 고품질화를 위해 자기충전 콘크리트 (Self-Compacting Concrete, SCC) 또는 고유동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 골재, 혼화재료 등 액체와 고체가 다행한 분포로 이루어진 혼합물로써 미립자에서 굵 은 골재까지 넓은 입도분포를 갖는 하나의 복합체이다. 특히 시멘트 페이스트는 다양한 입도의 골재를 결 합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굳기 전 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흐름, 다짐에 큰 영향을 미친다. SCC와 고유동 콘크리트의 경우 항복응력(Yield Stress)는 최소화 하여 흐름성이 매우 우수해야 하며, 소성점도(Plastic Viscosity)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재료분리를 방지해야 한다. 특히 혼화재 특성에 따라 유동성 및 점성의 변화가 크므로 혼합분체에 대한 레올로지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 배합을 도출해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중 시멘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성능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시멘트의 일부를 플라이애시와 실리카흄으로 치환하였다. 플라이애시는 F등급으로 치환율은 10%, 20%로 하였으며, 실리카 퓸은 5%, 10%로 치환하여 수행하였다. 시멘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플로우시험과 V-Funnel 시험을 수행하여 시멘트 페이스트의 기본적인 유동성을 평가하였으며, 레올로지 평가 시험으로 회전점도계(Brooksfiled Viscometer)와 DSR(Dynamic Shear Rheometer)를 활용하여 Shear rate에 따른 Shear Stress, Torque, Viscosity등을 측정하였다. 회전점고계는 원통형 스핀들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이때 발생하는 토크값을 측정하는 장비로 일반적으로 아스팔트의 점도를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DSR실험은 아스팔트 바인더의 복합전단계수와 위상각을 측정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장비이나 최근 시멘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측정에도 사용된다. 표. 1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배합비이며, 플라이애시와 실리카흄을 일정량 치환하 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에 배합에 대하여 플로우시험, V-Funnel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회전점도계, DSR시험을 수행하여, 각각의 시멘트 페이스트에 대한 소성점도와, 항복응력등을 구해 분체 특성이 레올로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최적배합비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5.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일반적으로 교량 슬래브는 구조용 콘크리트로 구체를 시공하고 난 후 교면포장용 콘크리트로 포장공사를 실시하여 완성한다. 교면포장은 교통하중과 환경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재료로 시공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교면포장용 콘크리트에는 합성고무 라텍스 수지를 첨가한 콘크리트 (Latex Modified Concrete)와 실리카흄을 첨가한 콘크리트가 있으며, 이들 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에 비해 내구성을 향상시킨 고내구성 교면포장용 콘크리트로 분류되나, 고가의 재료로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있다. 기존의 고내구성 콘크리트보다 경제적 효율을 강화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콘크리트 교면 포장의 공용성능을 향상시키고자 고분말도 플라이애시와 슬래그를 첨가한 교면포장용 삼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의 최적배합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실내 내구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콘크리트 교면포장에서 발생되는 파손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균열이며, 그 주요한 원인이 콘크리트 수축에 의한 것이다. 이에 교면포장의 내구성능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고분말도 혼화재를, 수축균열 억제를 위해 팽창제와 수축저감제를 검토하였다. 실내 내구성 평가를 위해 재령별 압축강도시험과 수축에 대한 검토를 위해 자기수축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내구성 평가를 위해 동결융해저항성시험, 표면박리 시험을 진행 하였다. 표. 1은 고분말도 플라이애시와 슬래그로 치환한 삼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에 팽창제와 수축저감제를 비율에 따라 첨가한 배합비이며, 비교배합으로 포틀랜드시멘트만 사용한 배합을 통해 결과를 비교하였다. 압축강도 시험결과 삼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는 재령 90일에 60MPa이상을 나타내었으며, 팽창제 치환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였다. 자기수축 시험결과 팽창제 치환율의 증가에 따라 자기수축 거동이 환화되며, 치환율이 8%에서 12%로 증가 시 오히려 팽창거동이 전환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수축저감제를 사용 시 수축보상측면에서 유리하였다. 동결융해저항성 시험결과 C5S1배합을 제외한 모든 배합에서 상대동탄성계수가 90%이상 나타났으며, 표면박리저항성 시험결과 모든 배합에서 Boras Method 기준 “Acceptable”등급이상, ASTM기준 2등급이상을 나타내어 적정한 저항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미분말 및 실리카흄과 같은 광물질혼화재를 사용한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의 성능에 대한 역학적, 물리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광물질혼화재 사용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의 휨강도, 압축강도, 통과전하량, 염소이온 확산계수 및 초기표면흡수율을 소정의 재령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준 콘크리트 포장의 성능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광물질혼화재의 종류에 따라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강도거동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실리카흄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이 다소 우수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기준 콘크리트에 비하여 매우 작은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이는 광물질혼화재를 사용한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의 우수한 내염성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도출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고성능 시멘트콘크리트 포장 설계를 위한 재료적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7.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도심지의 경우 탄산화로 인한 철근부식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감소시킨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다양한 구속조건을 가지며 항상 외부의 재하하중을 받고 있다. 도입된 응력수준은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인자의 확산을 변화시키며 탄산화 깊이의 변동성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응력재하수준에 따른 탄산화 변동성을 정량화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탄산화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내구성 설계인자인 피복두께, 이산화탄소 확산계수, 탄산화 반응 수화물, 그리고 외부 이산화탄소 농도를 확률 변수로 정의하였으며, MCS을 통하여 영향인자의 변동성에 따른 내구수명을 도출하였다. 또한 응력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내구수명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결정론적인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피복두께 및 내부 수화물 생성이 내구수명 변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응력수준 을 고려한 내구수명평가는 유지관리 우선순위 설정에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impedance of reinforced concrete embedded in concrete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W/B and admixture replacement ratio. As a result, the impedance of rebars increased in all frequency sections with increasing blast furnace slag replacement amount of cement in all W/B Respectively. It is considered that the electro resistance in the concrete increases due to the potential hydraulic properties of the blast furnace slag, and thus the polarization resistance also in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