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 배추 벼룩잎벌레의 발생밀도와 피해량을 상호 분석하고 요방제 수준 설정을 통해 신속하고 합리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설 봄배추 생육초기 벼룩잎벌레 성충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 관계는 Y = 1.3475X + 2.135, R2 = 0.8699이었다. 시설봄배추 생육중기 벼룩잎벌레 성충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 관계는 Y = 0.703X - 1.78, R2 = 0.966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설배추 봄 재배시 접종한 성충밀도와 배추 피해지수간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수량 감소율(gain threshold, 수익역치) 5%로 전제한 벼룩잎벌레 요방제 밀도는 배추 생육초기 발생시 10주당 2.1 마리, 생육중기 발생시 10주당 9.6마리로 분석되었다.
        3,000원
        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배추 벼룩잎벌레의 발생밀도와 피해량을 상호 분석하고 요방제 수준 설정 을 통하여, 신속하고 합리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봄 배추(CR-새신록엇갈이) 정식(4월 중순) 후 생육초기(정식 5일 후)와 생육중기(정 식 30일 후)에 벼룩잎벌레를 밀도별로 접종한 후 상품수량을 조사, 피해율을 산출 하였다. 시험구는 망사케이지(1×1×2m. 120목 나일론 재질)로 격리하였으며, 난괴 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배추 생육초기 벼룩잎벌레 접종밀도와 상품수량과의 관계는 Y = -30.35X + 1418.5, R2 = 0.8656이었으며, 피해율은 10주당 2마리 처리구에서 3.6%, 16마리 처리구에서 37.8%로 접종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배추 생육중기 벼룩잎벌레 접 종밀도와 상품수량과의 관계는 Y = -20.41X + 1366.8, R2 = 0.9278이었으며, 피해 율은 10주당 10마리 처리구에서 3.1%, 40마리 처리구에서 66.2%로 접종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설배추 봄 재배시 상품수량 피해허 용수준을 5%로 감안할 때 벼룩잎벌레 요방제 밀도는 생육초기 1마리/10주, 생육 중기 7마리/10주로 분석되었다.
        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strains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EPN), steinernematids and heter-orhabditids were evaluated and tried in laboratory, pot, and vegetable greenhouse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of diamondback moth (DBM), Plutella xylostella, from 2002 to 2005. LC₅₀ values of five EPN strains against DB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nematode strain and DBM instar. LC₅₀ value of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GSN1) was the lowest representing 2.6~3.9 infective juveniles (Ijs, 3rd stage) to 2nd to 4th instars of DBM. Pathogenicity of five effective strains against DBM was different depending on nematode strain, concentration, application times, and vegetable in pot. The most effective nematode was GSN1. Steinernema spp. was more effective than Heterorhabditis spp. against DBM. Two or three times of applications of EPN were effective regardless of nematode strain and concentration in pot. Efficacy of EPN was different depending on vegetable species. Efficacy was higher on Chinese cabbage, red mustard, and Ssamchoo than that on cabbage, kale, and leaf broccoli. Efficacy of GSN1, Steinernema GSNUS-10, Steinernema GSNUS-14, and Heterorhabditis GSNUH-l was variable depending on nematode strain, concentration, application times, and vegetable in greenhouse experiments. GSN1 was the most effective and 100,000 infective juveniles per ㎡ (=1 × 10⁹ Ijs/ha) resulted in higher efficacy. Three times of application of nematodes led to higher control efficacy than one or two applications. Efficacy of nematodes was higher on Chinese cabbage than cabbage or kale in greenhous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