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new species of Tanaidacea are described from the eastern coast of Korea; Apseudomorpha n. sp., and Leptochelia n. sp., belonging to the family Metapseudidae and Leptocheliidae, respectively. Apseudomorpha n. sp., is characterized by pleonites 2 and 5 and pleotelson have a large lateral seta; pleopods are biramous, in five pairs, each bearing a two-segmented exopod and a single- segmented endopod; the maxillular palp is two-segmented, with five setae on its distal segment. Leptochelia n. sp., differs from the basis of maxilliped has 4 setae; the uropod exopod is 0.5 to 0.6 times as long as proximal endopod segment and endopod 3 segment is the longest.
Five erigonine spider species are described with illustrations: a new species, Saitonia pilosus n. sp., and four records new to the Korean spider fauna, Ceratinella brevis (Wider, 1834), Erigone atra Blackwall, 1833, Maso sundevalli (Westring, 1851), and Parasisis amurensis Eskov, 1984. The occurrences of four spider genera, Ceratinella Emerton, 1882, Maso Simon, 1884, Parasisis Eskov, 1984, and Saitonia Eskov, 1992, are also new to Korea.
맵시벌상과, 고치벌과에 속하는 종들은 대부분 농림해충인 진딧물류에 기생하는 천적곤충으로서,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되는 곤충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는 분류군이다. 이중 진디벌아과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400여종(Starý, 1988), 우리나라에는 20속 63종이 보고되어 있다(Starý & Choi, 2000, 2002).
진디벌아과에 속하는 Pauesia속은 진딧물의 약충 또는 성충에 내부기생하는 습성을 가지며 많은 종들이 생물적방제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체계적인 분포조사와 생태연구가 필요한 분류군이라 할 수 있다.
한국산 Pauesia속은 Starý & Schlinger(1967)에 의해 처음으로 P. unilachni (Gahan) 1종이 보고된 이후, 백(1975, 1976)에 의해 6종이, Starý et al. (2001)에 의해 1종이 추가되어 현재까지 총 8종이 보고되어있다.
본 연구는 한국내 자생생물종의 분포학적 연구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주요 산림지역에 대한 곤충류의 분포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우리나라 주요 산림지역에 서식하는 곤충 중, 진딧물류에 기생하는 진디벌아과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Pauesia속의 1신종을 발견하여 이를 Pauesia cinaraevorella sp. nov.로 명명하고 종의 형태적 특징의 도해와 함께 기재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 검경된 표본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다.
대만산 과실파리과의 신종, Cornutrypeta taiwanensis를 그림과 함께 기재한다. 이 종은 대만에서 최초로 기록되는 Cornutrypeta 속이며, 노랑접시트랩을 사용하여 동일 지역에서 채집한 각각 2개체씩의 수컷과 암컷들을 모식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 종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는 분지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한국산 Dichomeris속은 18종으로 정리되며 각 종의 외부형태, 분포 및 생활사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 보고한다. 이중 7종을 신종으로 기재하며, 3종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미기록종들이었다. 신종으로 기재되는 7종은 lespedezae Park, mitteri Park, strictella Park, polystigma Park, fareasta Park, cuspis Park, minutia Park 등이며 한국미기록종은 quercicola Meyrick, horoglypta Meyrick, litoxyla Meyrick 등 3종이었다. 금번연구를 통해 MNHN에 소장되어 있는 모식표본을 기준으로 D. harmonias Meyrick의 신모식표본(lectotype)을 지정하였다. 또한 각 종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으며 새로이 보고되는 종들의 암수생식기를 각각 도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