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rror patterns in EFL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 as well as their change over time, based on the teacher’s feedback.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constructed;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FL students’ writing based on the maturity of English sentence by the T-unit analysis? Second, what types of error patterns are produced in Korean EFL students’ writing? Also, how do the error patterns change based on the teacher’s feedback over time? The participants were four Korean EFL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asked to pre-write, draft, revise and edit until they completed their final draft. The results of pre- and post-writing test were also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ean number of T-unit among participants was 42.25 units, and the mean number of words per T-unit was 10.95 words. 2) The most frequently committed errors were found out as lexical and morphological errors. Moreover, the rate of lexical and sentence structure errors has been dropped, whereas the rate of punctuation errors has increased as the teacher’s feedback progressed over time. Pedagog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also made on the effective teaching of English writing in Korean classroom settings.
        6,100원
        2.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실제 원어민 언어 자료인 코퍼스에서 추출한 예시문을 가리키는 ‘콘코던스’와 ‘온라인 사전’의 활용이 쓰기 오류의 수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코퍼스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쓰기 오류 피드백 관리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표집을 통한 실증적인 통계 자료를 제시하기 보다는 소수의 실험 대상을 통하여 영어 쓰기 오류 지도 및 관리, 그리고 새로운 방식의 오류 피드백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 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 대상은 서울 소재 A대학교의 1학년 학생 3명이다. 실험 대상 모두 비영어전공의 학생들로 교양영어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3명 가운데 2명은 쓰기 능력에서 상위권으로 분류될 수 있는 학생들이며 나머지 1명의 학생은 중위권으로 볼 수 있는 학생이다. 3명 모두 장기간의 영어권 국가의 체류 경험은 없었다.본 연구에서는 실험 대상자로 하여금 동일한 주제에 대하여 A4 한 장 길이의 에세이를 작성하게 하였다. 이후 1주일 간격으로 두 차례 글을 수정하여 제출하게 하였다. 첫 번째 수정은 초안 작성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참고자료나 피드백 없이 글을 수정하도록 요청하였고 두 번째 수정은 아래 그림과 같이 코퍼스 예시 샘플인 콘코던스와 온라인 사전의 참고가 가능한 Concord Writer v.3.3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상위권 학생들에게서 콘코던스와 온라인 사전의 참고를 활용하여 에세이를 수정해 보는 것이 오류의 수를 줄이는데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 프로그램을 통한 오류의 관리나 피드백이 보다 체계적인 교수학습의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교육적인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6,300원
        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how Voice Thread can influence EFL learner writing by providing collaborative activities through which learners actively participated in a feedback exchange. The activity described in this paper is creating two audio books on Voice Thread during the semester. Seventy Korean and Taiw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activity. During the activity, the students collaborated in constructing and negotiating meaning. The results show that any types of feedback (teachers vs peers; forms vs contents) have an effect on Korean and Taiwan college students' writing revisions. Analysis of a posttest questionnaire also reveals that students were generally motivated throughout the task, using a relatively new technology, Voice Thread, and a well-designed online collaborative task can facilitate interaction in the target language.
        6.
        2011.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화일지 쓰기는 학습자와 교사 간에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이다. 대화일지를 통해 학습자는 부담감 없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교사는 학습자의 글을 피드백해 줄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화일지 쓰기를 통해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일지가 학습자의 쓰기 학습에 대한 자신감, 불안감, 부담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중급과정에서 한국어를 배운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대화일지 쓰기를 통한 교사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불안감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쓰기 능력에서는 대화일지를 통한 형태 중심․의미 중심의 피드백이 기존의 직접적인 피드백보다 담화 구성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