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 양식적 변화와 이를 설명하는 미술에 대한 문헌들은 공방의 협 업에서 미술가 개인에 대한 관심으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 교회 미술처럼 장소와 미술품이 밀접한 관계를 지닐 때, 공방의 작업과 미술가 개인의 작업은 다르다는 점에서 표 현에 대한 접근 방식도 변화되었다. 이런 점은 공방의 문화를 다루었던 첸니노 첸니니와 미 술의 원리를 다루며 개인의 선택으로서 표현을 다루는 알베르티의 색채에 대한 접근 방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첸니니는 원색에 흰색을 추가해서 명암을 표현했다면, 알베르티는 검정-원색-흰색을 통해 명암을 표현한다. 장소를 매개로 공간 속에서 미술가의 표현을 조절 해야 하는 공방의 입장은 미술가 개인의 역량을 드러내기 위해 새로운 시도를 진행하고자 하는 입장과 다르기 때문이다. 미술품과 장소의 관계는 15세기 이후 이론이 미술에 대한 담 론을 주도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이질적 표현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 교회 미술의 사례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장소와 미술품의 관계는 양식의 변화를 이해하 는 데 중요한 요인이며, 동시에 이론에 바탕을 둔 이론적 관점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시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5,7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L.B. 알베르티의 회화론을 중심으로 고전 그리스 광학의 전통과 초기 르네상스 선 원근법 이론 사이의 관계를 고찰한다. 선 원근법의 기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던 동시대 이론서들과 달리 알베르티의 논문은 수학적 논리가 지닌 형이상학적 가치를 중요하게 다루었는데, 이러한 성격은 유클리드의 광학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계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유클리드가 수학적 정의와 명제들로써 증명했던 시각적 세계는 대상과 이미지 사이의 비례적 관계로 이루어진 추상적 공간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추상적 합리성이야말로 알베르티가 자신의 ‘거리점 작도법’의 궁극적인 가치로 주장했던 바로서, 보는 주체와 보여지는 대상 사이의 기하학적 근거에 따라서 실제 세계의 시각 피라미드와 회화 세계의 시각 피라미드를 합치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6,300원
        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iscusses Leon Battista Alberti’s vision of the paradigmatic city. In his De re aedificatoria, Alberti proposes how the architecture of both individual buildings and cities should be ordered and embellished. Borrowing ideas from the ancient writers on one hand, and reflecting on actual urban reality on the other, Alberti proposes an ideal city where the sacred and the secular come together in hierarchical harmony, beautified under the principle of ornament. In Book VIII, dealing with secular public works of architecture, he writes about the composition of a new humanist city that transcends actual reality. Ornament, a central idea of his aesthetics, supports his conception of the paradigmatic city.
        4,000원
        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berti's De re aedificatoria is the earliest case in the history of Italian Renaissance architectural treatises dealing with recovery of antiquity through textual and archaeological pursuits. The key source of the Renaissance theoreticians was Vitruvius' De architectura. However, Alberti was keenly aware of inaccuracy and Hellenization of Latinity in this classical text, and tried to compensate them in his own treatise. Furthermore he claimed a reformed discipline of the architects as well as the patrons, and prescribed how future buildings and cities should be built, based on the proper authority of ancient architecture in proper and intelligible Latin. Such an adaptation of classical usage in order to reestablish a modern norm preceded in his earlier work Momus, a satire on the contemporary Italian society of his own by following the model of Lucian. Alberti's suggestion of proper government in Momus's phrase was expanded in De re aedificatoria, for he consider the buildings are subject to the rules of morality and public interests. He proclaimed that the nature of beauty is the reasoned harmony of every part within a body, and architectural beauty also lies on the harmonized arrangement of all the elements within an individual building and of all individual buildings and facilities within a city. For the architects to execute this task, he formulated the concept of lineanenta, the form derived from the mind in order to prescribe the proper place, numbers, scale, and orders for whole building structure. It is the future oriented city-plans and building designs to serve the public interest and the good of all the individual citizens who make up the City-State that Alberti pursued in his treatise.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