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척의 이사부 축제는 지역적 연고가 있던 이사부라는 역사인물을 현대의 축제의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대내적으로는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임을 부각시켰으며, 대외적으로는 독도를 비롯한 영토수호의 역사인물임을 드러냄으로써 범지역적 축제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창출해 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우륵의 12기에 나타난 사자연행과 이사부의 목사자 전투는 진흥왕 이전 신라사회에 사자문화의 유입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신라의 통용된 사자연행예술은 전쟁에서 강력한 무기로 존재했다. 따라서 이사부가 우산국 정벌에서 사용한 목사자는 당대에 신라에 유통된 외래문화였으며, 이후 사자는 여러 연행예술로 발전된 것이다. 둘째,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에서는 사자탈과 같은 이동형 목각양식이 이용되었다. 이것은 이사부의 해군부대가 우산국 전투에서 목사자의 전술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근거리에 접근하여야 했기 때문에, 고정형 목각양식으로는 우산국 사람들을 속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사부의 목사자는 고정형 목각양식이 아니라, 탈과 같은 이동형 목각양식을 추구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이사부는 삼척 강릉지방의 지역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과거 강릉단오제에 모셔졌을 뿐만 아니라 현재 삼척 오분동 마을에서도 모셔지고 있다. 이렇듯 1500년 전 역사인물 이사부는 지금까지 삼척 지역에서 신격화 되어 숭앙받는 역사적 인물인 것이다. 따라서 이사부 축제는 삼척 지역의 지역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축제의 이념적기반 위에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삼척시는 이사부 축제를 국가의 외교문제와 연관시킴으로써 국가와 연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하였다.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은 울릉도를 생활권으로 하고 있는 독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2005년 일본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재정으로 고조된 한일 외교문제와 연관된다. 따라서 삼척시는 축제에서 이사부의 소재를 독도 및 해양에 확장시킴으로써 축제향유 계층을 국민으로 확장시켰으며, 더불어 국가차원의 지원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축제의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렇듯 삼척시의 이사부 축제는 기존의 지역 역사인물을 발굴하여 연결시킨 결과물이다. 이 과정에서 투영된 자치단체의 축제화는 이사부를 포장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취지 아래 다양한 국가사업과 연계함으로써 지역의 문화기반을 마련하게 된 모범 사례라 할 수 있다.
        8,900원
        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金昌集의 문집 夢窩集에 실려 있는 燕行塤錄을 중심으로 18세기 초 장동 김씨 일문의 燕行 체험을 고찰하였다. 연행훈지록은 김창집이 정사로, 동생 김창업은 타각(자제군관)의 신분으로 4개월에 걸친 사행 기간 동안 침식을 같이 하면서 형제가 동일한 시제나, 같은 운자로 지은 시들을 모아 놓은 것이다. 이때 운자는 대개 부친 김수항의 사행시에서 차운한 것으로, 선대의 연행의 족적을 답습하고 추체험하는 단서이기도 하다. 내용을 분석해보면 첫째로 선조와 같은 길로 연행을 하면서 유적이나 그밖에 유편들을 통해 선조를 회고하고 훌륭한 조상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또 형제간의 공감대와 가족간의 동질성을 확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비록 조공을 바치러 가지만 대표적 척화신의 자손으로서 여전히 존명의리와 배청사상을 견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고 다만 형제가 신분의 차이에서 오는 목적의식은 다소 다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연행훈지록」 에는 숙종의 御製詩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이들 형제를 사행을 보내면서 숙종이 쓴 시로 임금의 이 명문거족에 대한 배려를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은 여기서 다시 가문의 자긍심을 갖게 된다 이로써 세기 초 장동 일문의 연행체험의 내용과 문학적 형상화의 한 면을 고구해 보았다.
        6,400원
        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of the straight-line-shaped plan emerged in northeast region of China during the Qing dynasty. This raper is mainly based on the writings in Yeon-haeng-rok.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a lot of sunshine due to the cold climate in that region made the people select the plan that rooms to be added side by side. Second, it was not necessary to build the house with non-straight-line-shaped plan due to the reason that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is so vast and the size of the house lot was not limited. Third, the condition of family income somewhat affect the shape of plan to be straight-line-shaped, which is much economical to construct a house than other shape of plan. Fourth, the way of living of the people in that region during the Qing dynasty made the house plan straight-line-shaped which is convenient to sit either on the floor or on the chair within a room. Fifth, straight-line-shaped plan became an adequate means to represent the hierarchy of the use of inner space of a house and eventually became an architectural norm of this region.
        4,300원
        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이 편찬한 진산세고(晉山世 稿)를 보면 이 집안에서 대대로 많은 인물들이 문과에 급제하고 문집이 편찬되 었음이 확인된다. 이를 보면 진주강씨 공목공파가 고려말 조선초의 대표적인 문벌임이 확실하다. 공목공파(恭穆公派) 선조 가운데 문장으로 가장 뛰어난 인물이 강희맹인데, 그가 1483년 2월 18일에 세상을 떠나자, 성종이 곧바로 그의 문집을 편찬하라 고 명하였다. 『사숙재집(私淑齋集)』을 어명으로 편찬케 한 것만 보아도 조정에 서 그의 문장을 어떻게 평가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조선왕조는 사대교린(事大交隣)을 외교의 근간으로 하였으므로, 과거시험을 통해 사대교린에 필요한 문장가를 선발하였다. 강희맹의 활동과 문학의 특성 가운데 하나는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면서 많은 시를 지었고, 문화교류에 앞장섰다는 점이다. 중국 문인들이나 조선 문인들이 그의 조천시(朝天詩)에 많이 차운하여 문화교류의 전범을 보였다. 더군다나 대를 이어서 중국에 다녀오고 그 체험을 기록으로 많이 남긴 것은 다른 집안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진주 강 씨 문중의 특징이기도 하다. 조선 초기의 문벌인 공목공파 문인들의 한시가 한 시의 고향인 중국에서 그 진가를 발휘했던 것이다. 진주강씨 문인들이 북경에 갈 때에는 선조의 조천록이나 연행록을 가지고 가서 참조했으며, 선조의 시에 차운하여 시를 지었다. 선조가 길을 안내하며 함께 시를 주고받는 동반자가 된 셈이다. 강희맹은 형 강희안 덕분에 시를 짓기 전부 터 명나라 문인들에게 인정받았으며, 사행에도 성공하여 상을 받아가지고 돌아왔다. 그는 농사와 원예에 관심이 깊었으므로, 중국에서 연꽃 씨와 버드나무 가지를 들여와 조선에 퍼뜨렸다. 오백년이 지난 지금도 그의 조천 활동의 자취가 남아 있는 것이다. 진주강씨 종친회에서 선조들의 조천록과 연행록 10여종을 모두 번역하여 진주강씨 연행록집성을 출판하면 학계의 연구에 도움이 될 뿐만 아 니라, 국제적으로 활동했던 진주강씨 선조들의 문장과 업적이 널리 선양될 것이다.
        7.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의 다양한 교육환경 속에서 교사의 역할과 책임은 날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교사의 교육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효능감을 꼽고 있다. 따라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환경 요인을 조사하여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은 컴퓨터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환경을 물리적 환경, 수업외 환경, 구조적 환경은 컴퓨터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행정체제의 운영 과정과 교직원간의 의사소통의 질, 직무 수행 중에 허용되는 자율성의 정도 등에 대해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구조적 환경이 교사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컴퓨터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 교사의 효율적인 교육활동을 위한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학교관리자와 교사간의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며, 교사의 의견이 자유롭게 반영될 수 있도록 유연한 직무환경을 마련하는 것에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8.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콘크리트의 대표적인 내구성 열화요인이라 할 수 있는 동결융해나 염해의 경우는 콘크리트내의 공극특성에 따라 침투 및 확산특성이 크게 상이하게 되는데, 이는 동결융해저항성 확보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E제의 종류나 사용량 그리고 그의 경시변화 특성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목표 공기량을 각각 4~6%와 8~10%로 계획하여 실내시험을 실시한 후, 모의부재에서는 4~6%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경화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재령 7일에서 각각 2.5~5.2%, 재령 28일에서는 각각 2.4~5.1%정도로서 비빔직후 목표공기량의 절반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동결융해 반복에 따른 스케일량은 목표공기량 8~10%의 경우가 4~6%에 비해 미미한 수준에서 다소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모의부재에서 채취한 코어공시체의 동결융해 및 염화물 확산특성에서는 동일배합조건의 실내시험 결과에 비해 다소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내실험 결과에 비해 동결융해는 106%, 염화물 확산계수는 16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