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오염총량관리제는 지자체에 오염물질부하량을 할당하고, 오염부하 삭감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지역발전에 있어서 아주 중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특별관리해역의 총량관리 도입에 앞서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물질의 유입부하와 광양만 해역의 수질상태 를 조사하였고, 현재 연안오염총량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다른 해역의 장기적인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수회에 걸쳐 광양만 특별관리해역 환경자문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광양만에도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인정되었으나, 시행에 앞서 우선 COD, TN, TP, 중금속, PAHs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총량관리 도입의 경제성과 효율성과 같은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
        200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TWPLM) seeks to harmoniz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by allowing regional developments to be carried out in an eco-friendly manner and within the scope of achieving the desirable water quality. Water pollutant sources are managed so as to keep the total amount of pollutants in public watersheds within a certain level or total allowance in accordance with target water quality goal. With relation to the basic guideline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Community Support for Watersheds, the load from the l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ssification of rainy and dried season respectively. Objective loads of abatement applied in the 1st planning period(2004∼2010) are set up standards by low flow condition(Q275) without considering the change of flow, while allowable wasteloads are estimated by the criteria of daily mean precipitation 10 mm, as critical standard for the division of surface runoff load. Even though the standard flow conditions to meet the goal of water quality at the end of unit watershed are low flow, but it might be considered to set up drought flow condition(Q355)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lso the objective loads for abatement to meet the target water quality should be calculated without the effect of non-point sources from the land.
        4,000원
        4.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development of flow duration curves for the management of 41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units of the Nakdong River basin, first, an equation for estimating daily flow rates as well as the level of correlation (correlation and determination coefficients) was extrapol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discret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continuou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measurement data. The equation derived from the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daily flow rates in order to develop flow duration curves for each TMDL unit. By using the equation, the annual flow duration curves and flow curves, for the entire period and for each TMDL unit of the basin, were developed to be demonstrated in this research. Standard flow rates (abundant-, ordinary-, low- and drought flows) for major flow duration period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nnual flow duration curves. Then, the flow rates, based on percentile ranks of exceedance probabilities (5, 25, 50, 75, and 95%),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low duration curves for the entire period and a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feasibility assessment of the set values of primary and secondary standard flow rates for each river system, which are derived from complicated models. In addition, they will also be useful for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MDL management, including evaluation of the target level of water purity based on load duration curves.
        5.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the United States has used the Load Duration Curve (LDC) method to identify water pollution problems, considering the size of the pollutant load in the entire stream flow condition to effectively evaluate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target water quality evaluation method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evaluations of two consecutive years of water quality and LDC data for 41 unit watersheds (14 main streams and 27 tributaries). As a result, the achievement rate of the target water qualit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current regulations, was 68-93%, and that by the LDC method was 82-93%. Evaluating the target water quality using the LDC method results in a reduction in the administrative burden and the total amount of planning as compared to the current method.
        6.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수질개선을 위해 유역관리 수단으로 도입된 수질오염총량제의 취지와 의미를 파악하고, 수질오염총량제에 따른 개발계획 시행시 개발계획에 따른 개발부하량 산정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시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사업의 종류는 중금속 등의 원료 및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이 분포할 수 있는 산업단지의 사업특성을 고려하면 강우로 인한 비점오염원이 다른 타 사업장과 다를 것이지만 일괄적으로 토지계 원단위법을 적용한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토지계 부하량 산정은 토지이용도, 경사도, 강우량 등을 포함하여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나, 토지이용도 및 경사도 등에 대한 연구기간이 장기화되거나 각 개별 사업마다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현재 적용하고 있는 지목별 토지계발생부하원단위와 같이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제시된 지목을 토지계 발생부하원단위에 적용해야 된다고 생각된다. 다만, 용도지역 구분, 각각의 건축물 이용형태, 현재보다 다양한 토지계 발생부하원단위 등을 연구하여 현장에 보다 쉽게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비점오염물질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7.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금강수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오염부하량 자료를 기반으로 공시된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한 적정방류량을 산정하였다. 오염총량관리의 1단계로 BOD를 대상으로 총량관리가 이루어질 계획이며 향후 질소 및 인 계열로 확대될 전망이다. 총량구역별 및 행정구역별로 산정된 BOD와 TN, TP 부하량을 GIS를 활용하여 10개의 지류수계에 대하여 재분배하였고 지류수계에 해당되지 않는 구역에 대해서는 15개의 소구간으로 처리하여 반영하였다.
        8.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에서의 오염총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위성영상 카테고리분류 인공신경망 모형과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오염총량모의시스템(Total maximum daily Loads simulation System, TOLOS)을 개발하였으며, 발안유역의 HP#6 소유역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여 유역 수문·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고, 시험유역의 도형 자료를 구축하여 TOLOS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TOLOS의 오염총량추정 모듈인 SWAT 모형은 논에서의 지
        9.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lan pollutant loading allocation by sub-watershed at Kumho river basin located in the north Kyeongsang province. HEC-geoHMS which is extension program of ArcView was used to extract sub-watershed. To simulate water quality, Qual2eu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BOD was simulated under several scenarios to evaluate reduction effects of pollutant loading. Uniform treatment and transfer matrix method was considered. Effects of headwater flow rate and efficiency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ere also considered.
        10.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질모델을 사용하여 수계내 오염물질의 총량관리를 위한 오염물질관리 목표량 및 허용총량 파악, 그리고 삭감계획의 효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QUAL2E, WASP5 및 HSPF와 같은 수질모델은 다양한 자료를 요구하고 실제수계 적용이 쉽지 않음으로 수계의 수리학적 특성이 반영된 용이성을 갖춘 분석적인 수질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달경로를 고려한 배수구역내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분석적인 BOD모델(AMB)을 개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