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uffer green space of Sihwa industrial complex is located on the boundary of residential areas and industrial areas, and this regions have been the ability to mitigate environmental impact of noise, vibration, atmospheric. In this area, the survey of vegetation and bird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biology structures and function of buffer green space from biology habitats and natural recovery for ecology restoration. The survey was performed four times according to the season. As a result, vegetation were distributed to the most widely Pinus thunbergii community (72.2%) in the whole survey area (approximately 0.32 km2), and grasslands (6.6%), Amorpha fruticosa community (4.1%),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4.0%), Acer buergerianum community (3.9%) in the order of distributi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were mainly planted Pinus thunbergii in outlying areas, and Koelreuteria paniculata, Acer buergerianum, Sophora japonica, Quercus acutissima were planted in the middle areas. The birds observed in this area were a total of 37 species, 912 individuals, the species of legal protection were observed Falco tinnunculus 1 individuals. The most of birds observed in this area were the resident that can be observed easily in the park and greenland surrounding urban. The waterfowl almost were not observed because of lacking water space. Thus, as providing safe habitats and movement passageway of wildlife, the connection of ecological green areas will be strengthened.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원주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잠재적 과밀 수목의 재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현재의 식재수량 및 식재밀도를 조사하여 법적수량 및 수목 가중수량의 산정을 시도하였다. 가중산정 기준에 따라 완충녹지 재활용 이식수목을 선정하여 이를 토대로 원주시 과밀녹지의 조경수목 재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주시 기존 완충녹지 중 2001년 조성되어 가장 과밀하다고 판단되어지는 무실택지변 완충녹지 3개 필지를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단위면적당 수목 밀도를 산정하고 표준수량을 기준으로 대경목 식재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법정현행 조경기준과 비교 후 식재밀도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임목밀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재의 과밀수목에 따른 이식, 재활용 가능 조경수의 수목 및 수량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확보와 녹지·공원 조성률 향상 및 연간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후 효율적인 도시 재생공원 및 녹지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4,000원
        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관조명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야간 보행자의 보행안전 확보를 위해 대로변에 조성된 완충녹지 공간을 고려한 조명기구 배치의 적절성을 평가하여 효율적 경관조명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로조명기준에 부합하는 가로 조명환경을 구현하고 일정 수준 성장이 이루어진 가로수를 배치하여 가로수에 의한 조명감소환경을 구현한 후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배광이 제어되지 않은 보조 조명기구를 가로등 하단부와 보행로와 완충녹지경계에 위치시켜 설치 위치에 따른 조도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에서 보행로의 조명환경 개선 효과와 동시에완충녹지의 조명환경 역시 크게 개선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보조 조명기구를 가로등 간 보행로와 완충녹지의 경계에설치할 경우 배광이 제어되지 않은 조명기구보다 배광이 적절히 제어된 조명기구의 개선효과가 조도의 측면에서 우수함을알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야간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하기 위해 조명설계와 완충녹지 설계 시 경관조명 시뮬레이션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4.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 로코아일랜드 완충녹지의 공간기능별 지형구조, 식재개념, 식재구조를 조사분석하여 해안매립도시의 토지이용을 고려한 완충녹지 식재기법 연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로코아일랜드(총면적 580ha)는 대규모 완충녹지를 박스형으로 조성하여 외곽부의 항만물류 산업용지와 도시내부 도시기능용지로 구획되었다. 완충녹지 지형구조는 편향마운딩형, 병렬마운딩형, 복합마운딩형이었고, 북쪽의 녹지폭은 50m, 동쪽의 녹지폭은 8~32m, 서쪽의 녹지폭은 37.5m, 경사도는 18~25˚, 성토고는 2~15m이었다. 공간기능별 재개념은 해안측 사면부는 경관식재와 완충식재, 도시내부는 경관식재와 녹음식재를 적용하였다. 북측 완충녹지 식재구조 조사결과, 종가시나무, 녹나무, 후박나무, 녹보리똥나무 등 난온대 상록활엽수를 식재하였고, 100mm2단위의 종수 및 식재밀도는 최대 교목 9종 22주, 아교목 9종 15주, 관목 3종 67주로 전 층위 14종 104주이었다. 녹피율은 교목층 69~139%, 아교목층 26~38%, 관목층 6~7%, 전 층위 101~184%,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0~3.12m3/m2, 아교목층 0.43~0.55m3/m2, 관목층 0.06m3/m2, 전 층위 1.89~3.73m3/m2이었다.
        4,000원
        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해안 매립도시인 안산시 철도변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완충녹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완충녹지의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에 적합한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산시 철도별 완충녹지의 식재밀도는 0.04~0.17주/m2 이었고, 녹지용적계수는 0.15~1.65m3/m2로 녹량이 부족하여 완충기능이 미흡하였다. 마운딩 완충녹지의 토양경도는 2.72~15kg/cm2로 식생생육에 적합하지 않았다. 완충녹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생조류 서식 측면의 생물서식기능, 주변 토지이용 측면의 도시공원기능, 식재수종 계절성 측면의 경관개선기능을 검토하였다. 완충녹지를 기능에 따라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경관개선기능의 완충녹지, 경관 및 도시공원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로 재설정하였다. 완충기능 식재방안에서는 곰솔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4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고, 경관개선 기능에서는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2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다. 생물서식기능에서는 상수리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적정 식재 밀도를 교목종 0.06주/m2, 아교목종 0.1주/m2, 관목종 0.8주/m2로 식재밀도를 제시하였다.
        4,900원
        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제시 신현읍의 산림을 연결하는 녹지축의 식재현황을 파악하고 생태적 구조개선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소음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완충녹지로 육교산(50m)과 중매산(131m)을 잇는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비오톱 유형은 시가화지역, 도로 등 도시화지역 2개, 산림비오톱, 하천비오톱, 조경수목식재지 비오톱 등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지역 15개로 총 17개로 분류되었다. 비오톱 유형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자연생태계가 양호하여 생물서식이 가능한 육교산과 중매산을 거점녹지로, 기조성된 완충녹지를 연결녹지로 활용하는 것이 생물을 도심내로 유입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거점녹지, 준거점녹지, 연결녹지의 녹피율은 각각 160.29%, 128.37%, 44.37%. 녹지용적계수는 4.04m3/m2, 3.95m3/m2, 0.65m3/m2로 거점녹지는 층위구조가 형성되어 생물서식처 및 종공급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준거점녹지는 하층식생이 훼손되었고, 연결녹지는 관목층의 식재량 부족 및 훼손으로 불량하였다. 결국, 도심내로의 야생조류유입 및 생물서식을 위한 통로 역할과 시민들의 이용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거점녹지의 연결을 통한 생물종다양성 증진 및 시민의 이용을 위한 자연관찰로를 조성하고자 도심내 야생조류 유입을 위한 생태적 조성 가로녹지 조성을 통한 녹지 연결, 도시민의 이용 및 휴양을 위한 경관개선에 대한 세부실천계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4,600원
        8.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9.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o targeting Songpa of Seoul, were analyzed the effect on the noise mitigation in roadside buffer green spaces. Noise of Songpa Street buffer green space was determined to be higher during the day than at night. In addition, it was most of 60 db or more. However, the noise reduction function of the buffer green was not greatly affected by time. In the case of noise reduction rate, during the day time it was the order of the mounding type (18.14%)> plain type (5.73%)> slope type (4.08%), And, in the case of night time, it was the order of the mounding type (11.29%)> slope type (10.22%)> plain type (4.42%). Noise reduction rate, all of the daytime, was the highest in the mounding type. As a result of the factors on the amount of reduction of noise, More physical structure is mounding type, green structure is the stratification of green space,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s large, the higher the tree planting dens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reduction effect is high. Also, factors affecting the noise reduction effect of the day and night were different.
        10.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ere performed on roadside buffer green in Songpa-dong, Songpa-gu, Seoul in order to analyze the ani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osition of roadside buffer green. Buffer green separat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points and measurement locations were separated by roadside, green interior, the other side of the road. planting density and deposit of trees per each buffer green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mounding type> slope type> the plain type. If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location-specific weather elements roadsid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road in order of measurement and the temperature is lowered farther away from the road. If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road on the other side> inside> the roadside in order to measure and this is the opposite of the temperature tendency. According to physical structure reduction of the temperature on the other side of the road and roadside in order of mounding type> the plain type> slope type was measured. As a result of measuring a anion therefore concentration of the anion inside of melt is in order of mounding type> the plain type> slope type, tended to match the mel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easured positions anion concentration is in the order of the other side of the road> inside> the roadside was measure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 the case of measurement location-specific weather and anions the temperature is positive correlation, relative humidity is negative correlation and that's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ere suppo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