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cralose는 식품 분야에서 sucrose 대체물로 사용되며 세계적으로 승인된 무열량 고강도 인 공 감미료이다. 하지만 감미료가 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는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 scopolamine으 로 유발된 기억력 손상 동물모델에서 sucralose 단기 섭취가 인지 및 기억 보호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 였다. Sucralose 2, 5, 10 mg/kg를 경구투여하였으며 30분 후 대조군, 약물군에 scopolamine (1mg/kg) 복강투여를 진행하였고 정상군에는 식염수로 복강투여 후 행동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Y-maze, passive avoidance, Morris water maze에서 대조군과 비교해 10% 이상의 인지기능이 회복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측정한 결과 sucralose가 IL-6와 TNF-α를 30% 이상 억제 하는 것을 보였으며 세포 내 신호 메커니즘으로 ERK-CREB의 발현량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sucralose는 건망증 환자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과 관련이 있다고 시사 된다.
        4,500원
        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from the leaf of Chamaecyparis obtusa (CLEO), indigenous toKorea, CLEO constituents were analysed, and the effects of CLEO 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and airwayinflammation (AI) were investigated in Ovalbumin (OVA)-induced asthma mouse model. Terpenoid components amongidentified CLEO constituents made up more than 80%. The CLEO-treated group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showed reduced AHR, the decrease of eosinophil number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reduced specific anti-OVA IgE level in the serum,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2 cytokines levels in the BALF with concentration. We con-cluded that CLEO have an alleviating effect on asthma-like symptoms such as AHR and AI. Further studies about antiasth-matic effect are necessary on the focus of single component of CL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