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서식물자원인 소사나무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소사나무림의 서식지 외 보전 및 서식환경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소사나무가 출현하는 안면도(중장리 산 14-217), 황금산, 가야산(원효봉), 팔봉산을 대상으로 총 27개의 방형구(각 100㎡)를 설치 및 조사하였다. 군집분류는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을 하였다. 군집분류 결과 소사나무-신갈나무 군락(Ⅰ), 소사나무-소나무 군락(Ⅱ), 소사나무-소 나무 군락(Ⅲ), 소사나무-신갈나무 군락(Ⅳ), 소사나무-굴참나무 군락(Ⅴ), 소사나무-잔털벚나무 군락(Ⅵ), 소사나무-때 죽나무 군락(Ⅶ) 등 총 7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종다양도는 0.8056~1.1568, 우점도는 0.1214~0.3024이며, 유사도 지수는 9.37~36.36%이었다. 군락별 6개 환경인자를 RDA ordination로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제 1축을 기준으로 해발고도, 울폐도, 암석노출도, 경사도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군락 Ⅲ(소사나무-소나무 군락)과 군락 Ⅳ(소사나무-신갈 나무 군락)은 주로 해발고도, 암석노출도, 경사도가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 나타났다. 군락 Ⅴ(소사나무- 굴참나무 군락), 군락 Ⅵ(소사나무-잔털벚나무 군락)와 군락 Ⅶ(소사나무-때죽나무 군락)은 울폐도가 식생분포에 영향 을 미치는 환경인자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다양한 의견과 지식이 공존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조화롭게 풀 어나가는 방법의 한 가지 모델로서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의 정토 사 문(淨土四門) 논의 중 정(淨)⋅부정(不淨)문과 색⋅무색문에 나타난 원효의 회 통 방식과 그 정토관의 특징을 고찰한다. 원효는 이 문제에서 열린 형태의 '생 성적 회통론'을 사용한다. 즉 서로 다른 경증을 활용하여 문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각 부문에 해당하는 정토왕생 대상을 점차 확장적으로 이해한다. 이 과정에서 원효는 범부와 이승 왕생(往生)의 외연을 확장해 모순을 회통하 고, 모든 중생이 왕생의 잠재성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원효는 자수용토(自受用土)의 유색⋅무색론에 대한 화쟁에서도 경론 에 근거, 열린 형식의 상대적 회통방식을 보인다. 이를 통해 각 부문 및 문제 와 부문 간에 상호 연계된 열린 구조의 관계적 의미생성론을 제시한다. 즉 정 토왕생이라는 문제로부터 분화된 궁극적 진리와 세속적 진리, 타력과 자력 사 이에 교차하는 상호연계 구조 안에서 문제 풀이를 통해 회통이라는 해를 산 출한다. 붓다의 경험론적 리얼리즘의 사상과 상통하는 이러한 해법은 특정 진리나 상대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다툼을 일으키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는 열린 관계론 구도를 보여준다. 주제어: 원효(元曉), 정토(淨土), 회통(會通),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다양성, 조화.
천성산지역을 관통하는 경부고속철로 KTX 원효터널 계획구간은 개발과 보전의 문제가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곳이다. 이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대상지를 중심으로 65개(단위면적 100m2)의 조사구를 설치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존식생조사결과 침엽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군락이 전체 대상지의 53%를 차지하였고, 녹지자연도 분석결과 등급 8이 전체의 86.68%를 나타내었다. 식생구조는 대표적인 군락인 침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소나무-떡갈나무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에 대해 종조성을 알아보았다.
The focus of study in this paper is put on the comparison of symbolism manifested in the world of W. B. Yeats’ poetry and the thoughts of Master Won-hyo.. The comparing works include the identification of their understanding ways of life. The symbols in common to bridge W. B. Yeats and Master Won-hyo are, for instance, circle, cone, cycle, sphere, spiral, wheel, vehicle, etc. Such a sign symbolizes a round thing, in another expression, the world or the cosmos where man belongs to. The phenomenological world or the cosmos by oriental thoughts is represented as the 28 phases of the moon, ranging from the dark moon(objectivity) to the full moon(subjectivity), which according to W. B. Yeats’ theory are identified the same kinds of character of man. Won-hyo(元曉, 617~686), a life-long friend of another Buddhist Master Ui-sang., insisted on the necessity for every living being to return to the foundation of the One Mind(一心), which is the original state of being, in another words, or “Ultimate Reality” to which every living being has to return. The Hwa-yen Sutra(華嚴經), a rare scripture of Mahayana Buddhism(大乘佛敎), emphasizes that the Ultimate Reality is the Source of One Mind of Won-hyo. We can say that Mahayana Buddhism teaches every living being the way to return to the world of the Ultimate Reality by great vehicle of "Mahayana"(大乘) in sanskrit. Another principle of Hwa-yen philosophy may be expressed as "All in one, one in all. One is all, all is one"(一中一切一切中一, 一卽一切一切卽一). "The Six Aspects"(六相) is interpretated by the principle. The mutual relationships are harmonized between the whole and a part, between the unity of the whole and the diversity of the part, and between the completion of the whole and the self-denial of the part. The One Mind is synonymous with the Great Vehicle with great wheels, which return to the Source of One Mind, the original state of being, or the Ultimate Reality( or Nirvana). The meaning of the One Mind may be expanded to the synonym of the existential world or the cosmos, at the center of which the One Mind lies. Accordingly, The One Mind, the Great Vehicle or Great Wheel and the World has a similar analogy, which make a system of symbolism, so called “Yeatsian gyre theory.” Yeats imagined a spiral, which he preferred to call a gyre) or whirling cone. Then two such cones were drawn and considered to pass like the human soul through a cycle from subjectivity to objectivity. These cones were imagined as interpenetrating, whirling around inside one another, one subjective, the other objective. The cones were not restricted to symbolizing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They were beauty and truth, value and fact, particular and universal, quality and quantity, abstract and concrete, and the living and the dead. Yeats thought that he had discovered in the figure of interpenetrating gyres the archetypal pattern which is mirrored and remirrored by all life, by all movements of civilization or mind or nature. Man or movement is conceived of as moving from left to right and then from right to left. No sooner is the fullest expansion of the objective cone reached than the counter-movement towards the fullest expansion of the subjective cone begins. These movements slide to the 28 phases of the moon. The dark moon, in the course of wane and wax sways to the full moon. The different 28 patterns of the moon is mirrored by all life or mind, ranging from the highest state of subjective mind(the 15th phase: the full moon) to the highest cast of objective mind(the 1st phase; the dark moon). In the long run, the world which Won-hyo and Yeats seek for as an ideal space of mind is a unified one, into which melted are the binominal opposites such as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bishop and Jane, fair and foul, the dancer and the dance, beauty and truth, value and fact, particular and universal, quality and quantity, abstract and concrete, and the living and the d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