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산재환자의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실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업종별 직장복귀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로 근로복지공단 소속병원의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하여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작업능력평가를 실시한 2,145명의 산재환자의 기초분석과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건설업, 제조업, 전문ㆍ기술업, 시설 관리 및 서비스업, 운송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으로 분류한 후 대상자들에게 시행된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의 수행 빈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능력평가에 참여한 대상자는 남성 1,798명(83.8%), 여성 347명(16.2%)이었으며, 연령대는 50-59세가 790명(36.8%)으로 가장 많았다. 산재 요양시작 이후 평균8.83 ± 5.32개월 시점에 평가가 이루어졌다. 제조업 692명(32.3%), 건설업 642명(29.9%), 전문ㆍ기술업 308명(14.4%)이 대부분이었고 손상 부위는 하지 손상이 736명(34.3%)으로 가장 많았다. 작업능력평가 시 포함된 세부 평가항목 중 어깨높이에서 밀기ㆍ당기기, 작업장 이동에서 걷기, 기어가기, 자세유지평가에서 무릎 꿇기 작업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건설업에서 들기와 옮기기의 수행 빈도가 높았고, 가장 무거운 무게까지 평가를 했으며, 제조업에서는 자세유지평가 빈도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작업능력평가에 참여한 산재환자의 동향과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실시되는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차이를 확인하여 임상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최저임금적용제외인가 작업능력평가를 위한 역량지표를 개발하여 생산성과 함께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선행연구를 통해 장애인근로자의 작업능력평가 관련 지표를 도출한 후, 3명의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델파이 조사지 초안을 제작하였다. 그 후 20명의 전문가에게 델파이 연구를 통해 장애인근로자의 최저임금적용제외인가 작업능력평가를 위한 역량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 총 2회의 델파이 연구 결과, 인지기능, 사회기능, 작업기능, 안전보건활동 등 4개의 역량군과 숫자 처리능력, 정보활용능력 등 20개의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결론 : 도출된 역량군 및 역량지표는 장애인근로자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데 활용하여 최저임금적용제 외인가 작업능력평가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각 역량군과 역량지표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해야 할 것이다.
목적: 근로자, 산업재해근로자 및 직업훈련생, 장애인의 기능능력평가도구 및 작업단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도구로 쓰이는 작업모의 평가도구 미국인의 작업수행을 기초로 개발된 발파작업표본평가 중의 하나인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한국 정상인들의 수행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발파작업표본평가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직무 적합성과 작업율을 한국인에게 적용하여 직무적합성판정과 직업복귀 프로그램(작업단련프로그램)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는 20대 일반인 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2회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발파작업표본평가 #2 에서 제공하는 직무에 대한 적합성(적합하지 않음A, 적합하지 않음 B, 적합함, 월등히 적합함)판정비율과 첫 번째 수행과 두 번째 수행에 있어 직무적합성 판정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15명(50%), 적합함이 14명(47%), 적합하지 않음(A)이 1명(3%)로 대상자의 97%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3명(15%), 적합함이 14명(70%), 적합하지 않음(A)이 3명(15%)로 대상자의 85%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발파작업표본평가 #2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적합성 기준과 작업율을 근거로 한 직업단련 프로그램대상자 결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발파를 포함한 이외의 작업표준 평가도구에 대한 특성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직업복귀 프로그램의 팀원의 일부로 참여한다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업복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해근로자의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The performance decreases as the workers get older and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performance shows a marked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the older workers tend to have better ability to adapt to the new working environm
The lowering of working ability in the aged presents a marked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case. But on the other hand the adaptation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expert skill are be improved. Our purpose focuses on the analysis about this conflicting situation, from which the important informations are applied in designing the working condition of the older work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xpert skill of the aged can be expected to improve by making effective use of their experience and there are some operations not influenced by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