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평생학습에 참여한 코치들에게 개인의 역량 강화와 전문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코치-되기’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 에서는 코치들의 평생학습의 참여동기와 코칭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근거하 여 평생학습과 참여동기의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평생학습의 참여 동기에 대한 구성요소는 단기목표달성의지와 장기자아실현의지로 나타났다. 이 프로그램은 ICF 코칭핵심역량과 ACTIVE 코칭 대화 모델을 재구조화한 내용으로 기초세우기, 관계의 공동구축, 효과적인 의사소통, 학습과 성장의 4단 계로 구분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문코치 활동을 하기 위한 ‘코치-되기’ 코칭프로 그램을 개발을 모색하였다. 이는 코치의 개인 역량강화와 전문성을 내실화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보 코치가 전문코치가 되는 과정에서 어떤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본질적 의미와 구조는 어떠한지를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2019년 12월 코칭 경력 1년에서 4년 이하의 코치 5명을 대상으로 2시간의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후 전사한 자료를 Colaizzi(1978)가 제안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이남인(2019)의 방법에 따라 수정보완 하였다. 자료의 체계적 관리와 타당도 확보를 위해 질적자료분석(QDA) 소프트웨어 중 MAXQDA20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분석 절차는 전사 자료를 읽고 의미 단위를 추출한 후 주제별로 묶고 그 주제군을 다시 범주화했다. 전체 294개의 의미 단위 중 연구 목적에 맞는 의미 단위는 124개였다. 124개의 의미 단위를 26개의 주제로 분류한 후, 다시 11개의 주제군으로 나눈 후 5개의 범주로 도출해냈다. 5개의 범주는 ‘KPC 자격시험에 합격하면서 전문코치로 인식하게 됨’, ‘자기와 타인과 연결됨’, ‘관점과 삶의 정향(定向) 전환’, ‘코칭을 비즈니스화 하는 능력의 필요성 느낌’, ‘코치의 자신감과 성장은 정비례’이었다. 본 연구는 초보코치에서 전문코치로 성장하는 공통의 체험을 통해 성장의 본 질적 의미를 밝히고 체험의 구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교육을 받고 전문코치가 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코치 양성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전문코치교육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수차례의 워크샵 진행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코치양성을 위한 CPA(C-PLUS Active Coaching Model) 코칭 통합모델을 개발하였다. CPA코칭 통합모델은 C-PLUS에 코칭대화모델인 Active를 합친 약자로서 C-PLUS 코칭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코칭을 통해 삶에 +(plus) 효과를 창출하여 누구라도 A⁺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문코치를 위한 C-PLUS 코칭프로그램은 총 20시간으로 구성되며, 코칭의 기본적인 이론과 기술들을 바탕으로 전문코치들에게 필요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코칭 모델은 CPA모델이며, 코칭대화모델은 C-PLUS코칭원리를 바탕으로 한 ACTIVE코칭대화모델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코칭에 대한 기초, 코칭의 원리, 코칭대화모델, 코칭의 기술, 코칭스타일, 코칭실습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문코치양성을 위한 ACTIVE코칭 대화모델기반 C-PLUS 코칭프로그램은 누구나 쉽게 코칭을 이해하고 전문코치가 되거나 코칭교육을 통해 생활 가운데 코칭을 활용하는 코칭접근법이 가능하도록 기초적인 코칭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전문코치의 역량강화를 위해 국제코치연맹(ICF;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에서 제시한 11가지 핵심코칭역량을 중심으로 코칭세션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적 코칭기술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ICF 11가지 핵심코칭역량을 기본으로 하여 코칭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들, 그리고 현장적용 사례를 통하여 역량강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른 전문코치가 갖추어야 할 핵심코칭역량은 ‘윤리기준과 전문가적 표준제시하기’, ‘신뢰와 친밀감 형성하기’, ‘존재로 함께 해주기’, ‘적극적 경청하기’, ‘강력한 질문하기’, ‘직접적 대화하기’, ‘의식 확대하기’, ‘큰 행동목표 설계하기’, ‘구체적인 실행계획 세우기’, ‘실행과정 및 책임관리하기’ 이다. 그리고 주요 핵심코칭역량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른 적용의 실제는 ‘적극 적 경청하기’, ‘강력한 질문하기’, ‘의식 확대하기’, ‘존재로 함께 해주기’, ‘신뢰와 친밀감 형성하 기’ 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ICF에서 제시한 11가지 핵심코칭역량에 대한 실용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전문코치로서의 역량이 정립되고 개발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