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smetics industry expects low irritation and skin improvement effects by utilizing natural ingredients and botanical extracts. In particular,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is a traditionally recognized ingredient with proven pharmacological efficacy and contains various bioactive compound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oncirus trifoliata fruit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antioxidant, whitening, and skin-improving effects.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icacy of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was evaluated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and the formulation stability of a cleanser containing this extract was analyz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le its whitening efficacy was assessed through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dditionally,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measured, confirming its strong antioxidant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may contribute to anti-aging and skin-whitening effect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a cleansing formulation containing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pH and viscosity changes were measured over 28 days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5°C, 25°C, and 45°C. The results indicated a decline in stability over long-term storage.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optimize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improve the formulation for enhanced long-term st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and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stability enhancement.
        4,200원
        2.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포포나무 종자의 70% ethanol 추출물 (ETAE) 및 그 분획물인 hexane fraction (HAE), ethyl acetate fraction (EAE), butanol fraction (BAE)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이를 함유한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을 분석하여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활 성은 0.1∼10 mg/mL의 농도에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및 2,2-azino-bis-3- 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소거능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률을 평가한 결과, HAE가 5 mg/mL에서도 높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었으 며, 수율이 가장 높아 제형 실험에 적용하였다. HAE를 첨가한 에멀젼 및 가용화 제형의 안정성 평가 결 과, pH, 점도, 색도 및 외관상 변화가 미미하여 물리적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40℃에서 3% HAE를 함유한 에멀젼은 상분리 및 입자 직경 증가가 관찰되어,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출물 함량을 1% 이하로 제한하는 등의 처방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포포나무 종자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바탕으로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 다.
        4,900원
        3.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화안정제 중 하나인 cetyl alcohol 함량에 따른 천연 염모제 헤나의 유화 안정성을 분석하고 가장 안정한 유화를 나타내는 cetyl alcohol 함량을 확인하였다. 유화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cetyl alcohol의 함량에 따른 입자 크기, 입자 형태, 점도 및 염색 후 색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zeta 분석 결과, cetyl alcohol 3 %가 zeta potential 값이 115.9 mV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입자크기분포는 cetyl alcohol의 함량이 3 %인 크림 제형 염모제가 증류수에 분산된 헤나와 비교해 입도분포의 폭이 좁았다. 점도계 분석 결과 cetyl alcohol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였고, 크림 제형의 헤나 pH 측정 결과 두피에 적합한 pH 범위로 측정되었다. 또한 헤나 크림 제형 염모제에서는 cetyl alcohol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화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4,000원
        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테아릴 알코올, 세틸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라마이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에멀젼의 다층구조에 따른 강화된 계면막에 의해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편광 현미경을 통해 제형 내 몰타 크로스(maltese cross) 무늬를 확인하고, cryo-SEM을 이용하여 다층 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소각 X선 산란법(SAXS)을 이용하여 라멜라 구조 생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변화를 확인하고 정적 광 산란법(SLS)을 이용하여 입도 분포를 확인하여 액정에멀젼의 제형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파이토케미컬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니오좀 및 리포좀 제형의 안정성을 조사하였 다. 여러 가지 조건에서 레시틴 혹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포좀 중에서 sodium palmitoyl sarcosinate와 마카다미아넛 오일을 이용한 니오좀의 안정성이 제일 우수하였다. 파이토케미컬 펩타이드 함유 니오좀 (N9)의 형태는 TEM으로 확인하였으며, 입자크기는 95.7 nm로 관찰되었다. N9의 안정성은 Turbiscan 결과 (0°와 45°)와 제타포텐셜(-78.19 mV)로 확인하였다. N9의 펩타이드 봉입률은 BCA assay 결과 65.2%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