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동체시력(Dynamic visual acuity)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근거리 동체시력과 원거리에서 측정된 동체시력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플러스렌즈 가입에 의한 조절자극의 변화가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은 전신질환 및 안질환이 없고, 시력이 1.0 이상인 성인 남·여 40명(22.84±2.43세)으로 선정 하였다. 원거리와 근거리 동체시력의 비교, 플러스렌즈 가입(+0.50D, +1.00D, +1.50D)으로 유도된 동체시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완전교정상태에서 원거리 동체시력과 근거리 동체시력은 각각 78.86 ±19.46 deg/sec, 76.90±18.05 deg/sec로 원거리 동체시력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p=0.04). 원거리 동체시력이 높을수록 근거리 동체시력이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원거리 동체시력이 우수한 사람이 근거리 동체시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r=0.95, p=0.00, Fig. 4). 조절자극변화에 따른 근거리 동체시력은 완전교정상태에서 75.95±18.85 deg/sec 이었고 +0.50D 구면도수를 가입한 상태에서 동체시력은 76.95±16.45 deg/sec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1.00D를 가입한 상태는 79.02±13.51 deg/sec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1.50D를 가입한 상태에서는 84.28±18.96 deg/sec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원거리와 근거리의 동체시력의 차이는 없지만 원거리 동체시력이 우수한 경우 근거리 동체시력도 우수하며, 조절자극 변화를 위해 플러스렌즈가 가입됨에 따라 동체시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시안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굴절교정을 한 후 조절자극에 따른 동공크기의 변화와 조절반응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3.15 ±1.70세(20~28세)의 근시안 50명(10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실 조도 100 lx에서 동공크기는 나안상태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후 pupillometer를 사용하여 암소시, 어 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주시거리 3.5 m와 25 cm에서 측정하였다. 조절력은 푸쉬업검사(push up test), 조절반응은 개방형자동굴절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절자극에 의한 동공크기는 대응표본검 사(paired t-test)로 비교하였고, 동공변화량과 조절반응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 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근시안의 경우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후 동공크기는 감소하였고(p<0.05), 조절자극 에 의해 동공크기 감소량이 많을수록 양안 및 단안의 조절반응은 작아졌다(p<0.05). 그러나 조절자극에 의 해 동공크기가 변하지 않는 대상자는 조도에 따라 35~37%를 차지하였으며, 산동 된 경우도 7~11%로 나타 났다. 조절자극에 의해 축동된 그룹의 조절반응값은 동공크기의 변화가 없거나 산동 된 그룹의 조절반응 값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교정한 근시안의 경우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크기가 감소하며 이에 따라 조절 반응이 감소하였으나, 동공이 축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축동된 그룹보다 조절반응이 크게 측정되었다. 본 연 구결과는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 작업 시 나타나는 안정피로를 이해하고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시기능을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는 안경렌즈로 인하여 유발된 조절자극에 따른 동공간의 거리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시력장애를 유발하는 안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완전교정한 상태에서 시험테를 이용하여 눈앞에 -1.00D, -1.50D, -2.00D, -2.50D, -3.00D 렌즈를 부가한 상태에서 각각의 단계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진 상의 PD변화를 측정하였다. 가입된 렌즈의 광학중심과 동공중심과의 차이로 생기는 프리즘은 프렌티스 공식을 사용하여 보정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완전교정한 상태에서 시험테를 이용하여 눈앞에 –1.00D, -1.50D, -2.00D, -2.50D, -3.00D 렌즈를 부가한 상태에서 동공간의 평균 거리는 각각 61.86±2.40mm, 61.73±2.44mm, 61.51±2.43mm, 61.34±1.67mm, 61.27±1.88mm로 조절자극이 증가할 수록 동공간의 거리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너스렌즈를 가입하지 않은 상태로부 터 3D 조절자극에 대하여 감소된 동공간의 거리 평균은 약 0.60±0.49mm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와 같이 안경렌즈로 유발된 조절자극에 의한 조절성폭주로 동공간의 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조절반응에 따른 동공간의 거리 변화를 통해 동공간의 거리와 크기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5.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ramuscular stimulation (IMS) therapy in older persons with musculoskeletal pain. The subjects were 181 older persons (54 males, 127 females) with musculoskeletal pain. Intramuscular stimulation unit with needles (size mm) was applied for the treatment. The analgesic effects were measured by visual analog scale (VAS). Results showed that the post-treatment VA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MS therapy for fifteen minutes compared to pre-treatment score. In addition, the post-treatment VA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pain duration of one year after onset) compared to the post-treatment VAS score in patients with subacute pain (pain duration less than three months after ons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algesic effect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s. It is determined from this study that IMS therapy can be beneficial for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 clinical setting.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whether the IMS therapy can change the pain threshold in patients with neurologic pain.
        4,000원
        6.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bi-directional(양방향성)`` 복합자극에 의한 대뇌 운동피질의 흥분성 조절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Pitcher 등(2003a)이 제안한 복합 자극이 정상인의 운동피질 흥분성에 미치는 효과와 Wherhahn 등(2002)의 말초 구심성 차단으로 대칭측 대뇌반구의 흥분성 억제가 동측 대뇌반구의 운동피질 흥분성을 촉진시킨다는 연구를 양측성 복합 자극 훈련에 적용하여 운동피질 흥분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노인 10명과 성인 15명이 참여하였으며, 피험자들은 단측성 복합 자극을 받고 1주후 양측성 복합 자극을 수행하였다. 복합 자극은 말초신경자극(양측성: 저빈도 3Hz와 고빈도 30Hz; 단측성: 고빈도 30Hz)과 경두개자기자극기로 운동역치의 120% 강도로 대뇌에 직접 자극하였다. 그 결과, 성인과 노인집단 모두 단측성과 양측성 복합자극을 통해 운동유발전위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양측성 복합 자극이 단측성 복합 자극에 비해 운동유발전위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인간의 대뇌에 양방향성으로 조절 가능한 시냅스가 존재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7.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nadotropin and nitric oxide (NO) on the expression of mouse follicular bad and bax genes that are known induce apoptosis. Large and midium size follicles of immature mice were obtained at 0, 24, and 48 hours time intervals after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s(PMSG, 5 I.U.) injection. Preovulatory follicles collected at 24 hrs after PMSG injection were cultured with or without various chemicals such as gonadotropin,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 testosterone, Sodium nitroprusside (SNP) for 24 hrs at . After 24 hrs culture, the culture media was used for nitrite assay and total RNA was extracted, subjected to RT-PCT for the analyses of bad and bax expression. We found that expression of bad and bax genes in follicles was markedly reduced before and after in vivo priming with hCG. When the preovulatory follicles were cultured for 24 hrs in culture media with PMSG and hCG, the expression of bad and bax genes was decreased. Moreover, SNP (NO generating agent) can significantly suppress the expression of bad and bax genes in follicles when apoptosis was induced by GnRH agonist and testosterone. At the same time, nitrite production of culture media was increased in GnRH agonist + SNP, testosterone + SNP and SNP treated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se data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peptide hormones and NO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regulation of mouse follicular differentiation and may prevent apoptosis via supressing the expression of bad and bax genes.
        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tudy the regulation of porcine follicular cell apostosis by gonadotropin, steroid, and nitric oxide, we analyzed DNA fragmentation, the hallmark of apoptosis, and nitrite production of porcine granulosa cells. Dissected indiidual follicles from ovary were separated in size (small, 2-3 mm; medium, 5-6 mm; large, 7-8 mm) and isolated granulosa cells were classified morpholocally as atretic or nonatretic. Nitrite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mixing follicular fluids with an equal volume of Griess reagent. Follicular nitric oxide (NO) concentration of healthy follicles was higher than that of atretic follicles. Apoptotic DNA fragmentation was suppressed in non-apoptotic granulosa cells. Follicular apoptosis was induced by androgen but prevented by gonadotropin in vitro. Apoptosis was confined to the granulosa cells. But it was not clear whether apoptosis of granulosa cells were isolated, incubated with or without gonadotropin, androgen and sodium nitroprusside (SNP), respectively at for 24 hrs. Cultured granulosa cells were used to extract genomic DNA and culture media was asssayed for nitrite concentration. Nitrite production of culture media was increased, while apoptotic DNA fragmentation was suppressed in PMSG, hCG, testosterone+SNP and SNP treated groups. Nitrite concentration in culture media was decreased, but apoptotic DNA fragmentation was induced in testosterone treated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NO production and apoptosis may be involved of granulosa cell apoptosis induced by testoster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