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도시 개발은 오늘날 도심 골목길의 쇠퇴와 직결 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급격한 도시 개발과 도심 주거지 형태의 변화로 인해 사라질 위기에 처한 지역 문화자원인 골목길의 가치를 분석하고 활 성화 전략을 고민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특히 골목길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살펴보고 골목길 쇠퇴와 지역공동체 형성 간의 직·간접적 인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 로 세 가지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골목길은 화석화된 문화유산이 아니라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따라서 골목은 지역의 과거와 현재의 모 습을 모두 담고 있으며 그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한다. 둘째, 골목길은 근 린주구의 공간이며 근린주구 커뮤니티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왜냐 하면 이미 우리는 골목길이 이웃과의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경 험한 바 있기 때문이다. 셋째, 골목길은 기존 상권과는 다른 새로운 상권 이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화산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이러한 세 가 지 이유만으로도 골목길은 중요한 지역 문화 자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호될 필요가 있다.
        6,900원
        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공보건자원이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조절 역할을 하는 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144개의 지역사회이며, 자료는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과 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확보하였다. 연구변수 중 공공보건자원은 공공보건예산, 공공정신보건예산 및 공공정신보건인력으로 구성하였으며, 정신건강수준은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및 자살률로 하였다. 조절효과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공공정신보건예산이 우울감 경험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공공정신보건인력이 우울감 경험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공공정신보건인력이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도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공공보건자원의 정신건강수준에 대한 영향이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공공보건자원 강화가 지역사회 정신건강수준의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방안에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 개선을 위한 내용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4,200원
        3.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공급에서 자발 혹은 자원부문(the voluntary sector)이 가지는 중요성에 착안하여, 이의 자원화를 통해 지역사회복지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 논의 및 분석의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자원봉사 활성화가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향상에 미치는 이론적 논거를 파악했다. 둘째,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경북 북부 지역의 자원봉사 활동실태, 사회복지시설 관련 자원봉사 활동실태, 자원봉사조직 관련 자원봉사실태 등을 조사하면서, 각 유형의 파트너십 및 네트워크를 집중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한 실증분석의 연구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국내․외의 학술서 및 학술지를 비롯하여 각종 연구보고서, 학위논문, 정부와 공공기관의 각종 통계자료, 인터넷 자료, 기타 월간지와 계간지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로 부족한 것은 지역사회복지 관련 담당 공무원과 NGO 그리고 주 수혜자들과 자원봉사 조직 관련 전문가들을 심층 면접하여 보완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지역의 자원봉사활동을 분석한 결과, 낮은 참여율과 낮은 지속율, 학생이나 주부 위주의 참여, 자원봉사자에 대한 교육 부족, 전담기구의 부족 및 자원봉사 육성․추진기관 간의 네트워크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구축의 목적은 공동체 사회를 만드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내에 있는 사회복지 이용시설과 수용시설, 보건소, 시민단체와 의사협회나 변호사 등의 전문가단체, 종교기관, 지방정부 등이 망라된 지역복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원봉사센터가 직접적으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자원봉사센터가 지역단위의 사회복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구심점이 되어 복지 네트워크 형성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
        4,800원
        4.
        2008.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has had problems of low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because of service discontinuity, redundancy and incomprehensiveness for a long time. A model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Office was implement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but stopped its operation without being expanded nationally in 1990's. In 2004 a new experiment of the Social Welfare Offices was launched to solve the problems. One of the important goals of the new experiment of the Social Welfare Offices was to reinforc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s in providing various social services and social welfare benefits, to deliver coordinated services and to activate participation of the local people for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through construction of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the private sector. This paper analyzed how different linkage of financial resources in the social service network for the elderly was between the experiment and the control areas during the second experimentation period of the social welfare offices. It compare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ervice network for the elderly, frequency and density of networking, and degree centrality of the network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areas. The findings show that the social welfare offices are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in activating network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experimentation caused the difference in networking between the two areas because the research design did not take before and after comparison for the experiment and control areas. Discussion can be advanced if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would be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8,600원
        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community resource building for the protective and corrective agencies. Because of lack of skills and funds at these agencies, it becomes known that various resources should be mobilized from the community to enhance the capacity of those correctional institutions. The mob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 is much required not only for the high quality of programs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ocial exchange theory and some concepts including voluntary are mentioned to rationalize the process of community resource building. Also three cases are introduced as the community resource building in the field of corrections. A model of community resource building for the protective and corrective agencies i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and those concepts. Community resource building could be processed through the following levels; assessment, recruitment, training, application, and evaluation. Specially, community resource building should be emphasized to reward the participants for their efforts. Furthermore, community resource building is an important independent program from the main program which is to be conducted at the correctional centers. The model of community resource building developed in this study needs to be applied at the correctional institutions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6,600원
        6.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유치원 가족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하여 적용하는 과정에서 부모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원장으로 근무하는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6명과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21일부터 2017년 11월 7일까지 부모와 협의한 일정에 따라 가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가족 프로그램의 구성과 프로그램 전개의 두 단계로 이루어졌고 총 9회기의 프로그램 전개는 다시 사전단계(지역기관 탐색하기, 관련도서 찾아보기, 주제와 관련된 궁금증 알아오기)와 본 활동 단계(도입, 전개, 마무리)로 이루어졌다. 이상과 같은 절차를 통해 연구자의 참여관찰, 참여교사저널, 연구자 메모, 부모질문지 및 면담 등의 다면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 분류, 관련짓기의 순환적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유치원 가족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은 첫째,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고, 둘째, 유치원 가족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향상되었으며, 셋째, 단위 가족에 국한된 것이 아닌 다른 가족들과의 유대와 연합을 통해 현대의 개인주의, 인간소외를 극복하는 협력과 화합의 장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유치원 가족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를 비롯하여 유치원 구성원 전체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고찰하여 유치원 가족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