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울산 무거동 옥현유적의 자료를 중심으로 옥현유적의 취락구조와 출토유물양상을 검토하여 주거지의 규모나 배치양상에 따라 주거군집을 설정하고, 출토유물양상에 따른 각 주거군집의 특징을 파악 하여 당시의 생업경제활동이 취락 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옥현유적에서 확인된 주거지는 독립 구릉의 능선부에 형성된 4개의 정상부와 그 사이 소곡부를 기준으 로 4개의 주거군집으로 나누었다. Ⅰ·Ⅱ군은 주거지 2~3기가 소군집을 이루고, Ⅲ·Ⅳ군은 대형주거지 3 기와 다수의 중형, 소형주거지들이 소군집을 이루고 있다. Ⅰ·Ⅱ군은 Ⅲ·Ⅳ군에 비해 공지가 많아 취락 전체의 집회나 회의 등의 장소인 광장의 기능이 보다 더 강조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Ⅲ군은 주거지의 밀 집도가 높고 농경구를 비롯하여 모든 생업경제활동과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어 논 경작을 중심으로 생업경 제활동을 주도한 주거군으로 파악된다. 옥현유적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논은 논경작에 유리한 입지선정 과 논둑과 수구, 수로 등 물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통해 당시의 농경기술의 체계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울산지역 취락에 대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옥현유적과 비교하면 한 구릉내에서 정형화된 구조의 주거지가 축조되고, 일정한 배치양상을 가지고 주거지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양상이 공통적으로 확인된 다. 대부분의 취락이 주거중심의 생활공간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생업경제활동에 있어서도 울산지역에서 옥현, 입암리유적을 제외하면 비교적 큰 규모의 경작유구(논)가 확인된 예가 없고, 출토유물 중 농경구보 다 수렵구, 어로구의 비중이 더 높다는 점에서 청동기시대 전기의 수렵과 어로를 통한 생업경제활동이 울 산지역에서는 청동기시대 중기에도 활발하게 지속된 것으로 볼 수 있다.
        5,800원
        3.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통해 당시 취락사회의 성장과 그 배경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전기의 이른 단계에 소규모 취락단위로 이주해온 집단은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치 않는 화전과 같은 농경방식으로 생계를 꾸려나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안정적으로 취락을 유지하고 자원예측성을 높이기 위해서 농경에 대한 의존도가 강화되고, 그에 따라 취락의 규모가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지역의 전기 유적에서 확인되는 탄화미 등의 자료로 보아, 당시에 벼재배는일반적 현상으로 생각된다. 천안 백석동 취락의 규모와 구조로 볼 때 수전의 경영도 가능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보았다. 당시의 소규모 취락의 경우, 주변의 취락사회와의 관련 없이 단독으로 영속하기 어려웠을 것이며,주변의 취락사회와의 상호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취락사회의 안정을 얻고 생태적·사회적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개별 취락조직의 확대를꾀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형성된 대형취락들은,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두고 분포하는데,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8,000원
        4.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경기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자료를 정리하여, 유적의 시기별 편년을검토하고, 이에 맞는 주거지의 배치를 통하여 취락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부지방의 청동기시대 취락의 시기적 구분은 조기,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한 안과, 전기(전·중·후), 중기(전·중·후), 후기로 나눈안으로 크게 대별될 수 있다. 두 구분 모두 토기문양과 유물의 조합을 기준으로 나누는데 있어서 큰 차이점은 없지만, 후기를 점토대토기단계로 인정하는 것은 공통점이며, 돌대문토기 단계를 조기로 인정할 것인의 여부, 구순각목공렬토기의 중기여부의 차이라 할 수 있겠다. 본고는 토기문양의 계기적 변천과정이 잘 나타나는 후자의 안을 기준으로 시기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시기별 주거지 배치관계도 살펴보았다. 전기취락의 구조는 정상부의 능선을 중심으로 구축하였고, 계획배치 형태보다는 주거지간의 공간확보차원에서 조성되었고, 중기에는 구릉사면에 집중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후기에 들어서서는 외곽으로 배치되고 있는 특징이 확인된다. 이는 중기중반이후에 인구가 줄어드는 양상과도 부합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한편, 중기에 분묘가 확인되기 시작하는데, 집단묘보다는 소규모로 조성되는 현상이 간취되는데, 이는 분묘공간의 확대로 정의될 수 있으며, 농경과도 연관된다. 대형 및 중형취락의 기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김포 양촌, 소사동, 토진리·양교리 주변 일대 유적을 대형취락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소사동유적은 전기~중기에 걸쳐 시기별로 고른 분포를 보이면서,마을이 운영된 점이 돋보이며, 양촌리, 토진리·양교리 주변 일대 4개유적은 중기에 집중된 유적으로,유적 상호간의 거리가 근접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한단위의 취락으로 판단하였다. 경기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시기적 변천은(물론 지역적 변천은 인정하며), 중기전반에 가장 취락의 규모가 융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전기에 있어서 평택 소사동유적과 같은 규모가 큰 유적도 존재하지만, 대체적으로 중기전반에 규모가 최정점을 이루다가 중반이후로 규모가 쇠퇴하기 시작하는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9,000원
        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산만지역은 역삼동·흔암리유형의 취락이 가장 밀집되어 분포하는 지역이다. 또한 금강유역의 가락동유형과는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분포범위가 명확하게 구분되고 있어 양자의 관계를 조명하기에도 매우 중요한 지역에 해당한다. 또한 중기의 송국리유형의 기원 및 형성과 관련해서도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주목을 받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렇듯 아산만지역은 한반도 청동기문화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아산만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의 구성은 전기에 해당하는 생활유적이 대부분이다. 일부 중기 단계의 유구들이 전기 단계가 중심인 유적들에서 소수 확인되는 양상을 보이며, 순수하게 중기 단계의 유구로 구성된 유적의 분포는 매우 희박하다. 또한 분묘, 경작유구 등 생활유적 외의 다른 성격의 유적은 거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도 생활유적으로 한정된 취락에 중심을 두고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기 전엽에는 독립된 생활단위인 개별 주거지가 구릉의 능선을 따라 병렬 배치되는 양상을 보이며, 이후 전기 중엽 단계에 인구증가에 따른 주거지 밀집화가 발생한다. 전기 후엽에는 구릉정상부의 공지를 중심으로 소주거군과 주거군이 형성된다. 전기 전엽과 중엽에 소수의 수혈이 취락 곳곳에 분산되어 분포하였지만, 후엽에는 주거군 내에 군집된 채 확인되고 있다. 이는 주거군에 포함된 구성원들이 공지 인근에 조성된 초·대형주거지를 중심으로 통합된 생활단위를 구성하여 수혈을 경영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고, 이러한 양상을 토대로 전기 후엽에 이르러 보다 구조화된 취락의 모습을 갖춰 나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전기의 인구밀집지였던 곡교천유역은 중기 단계에는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반해서 충청 서북부의 서산지역은 반대로 인구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후 이러한 인구이동은 차령산맥 이남의 금강유역으로 확대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8,400원
        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국리유적의 남서쪽에 해당하는 54지구는 1974년 이래 가장 집중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특히 서쪽으로 뻗은 舌狀의 구릉성 대지는 주변조망이 용이한 곳인데, 삭토와 성토공사로 대지를 정지, 확장한 후 목책을 설치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최근 시행된 조사를 통하여, 목책으로 인식되었던 주열의 성격이 대형 굴립주건물로 판명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하는 특수한 구획시설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이 시설은 대지의 북동쪽과 남동쪽에 각각 11×1칸의 대형 굴립주건물을 배치하고 건물의 주위와 대지의 서쪽을 견고한 鬱柵으로 둘러싼 특이한 구조를 띠고 있다. 건물을 둘러싼 울책의 내외에 前庭과 廣場을 두고 망루로 추정되는 주혈군과 1×1칸의 굴립주건물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이 공간이 취락 내에서 특별히 구별된 공간으로서 격리·보호·방어적 성격과 함께 공공 집회를 염두에 둔 광장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송국리 취락이 수전 농경을 기반으로 형성된 취락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대형 굴립주건물은 곡물을 저장, 보관하는 고상창고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함께 농경과 관련한 의례행위도 함께 행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즉, 송국리취락의 특수공간은 생산물의 저장·관리공간인 동시에 의례공간으로 판단 된다.
        6,300원
        8.
        199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of residents'attitudes and spatial structures in the rural villages reconstructed by the Rural Village Improvement Project(type A), and suggesting the guiding directions for planning rural villages. Six rural villages located in KyungGi province were selected for case study.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ratio of type A project(newly planned village) in the total cases of the Rural Village Improvement Project has increased since 1990, In the majority(91.2%) of the type A project, the project area is below 2 ha and density of dwelling unit is below 40 households/ha. 2) The three spatial structures of newly planned rural village, i.e., Loop pattern, Cul-de-sac pattern, and Dendritic pattern, are identified. And the barns in the newly-build houses are categorized into the five types : the vertical addition type, the horizontal addition type, the vertical- horizontal addition type, the no- barn type, and the reused -barn type. 3) In the newly planned rural villages, the level of satisfactions for the quality of house and water & sewer system is remarkably higher than in the existing rural villages. These are the positive effects caused by the Rural Village Improvement Project. 4) The majority of the villagers think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rural village, instead of redevelopment or newly planned village, is most desirable, which means the improvement of houses, roads, and sanitary facilities while preserving the spatial structures of the existing vil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