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화석 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 악화 등의 관점에서 볼 때 에너지 절약 및 배출가스의 저감은 동시에 해결해야 되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바이오연료는 대체연료의 하나로서 이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먼레일 터보과급디젤기관에서 카놀라유 바이오디젤연료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연료는 ULSD(초저황 디젤유), BD20(체적비로 20%인 카놀라유와 80% 디젤유 혼합) 및 PCO(순수한 카놀라유)를 사용하였다. 카놀라유 바이오디젤연료의 혼합율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상물질(PM)과 일산화탄소 (CO)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질소산화물(NOx)은 약간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canola oil biodiesel (BD) blended fuel on the combustion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4-cylinder common-rail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In this study, with the increasing of engine loads, the biodiesel blend fuels(100 vol.% ULSD and 0 vol.% biodiesel blend, BD0; 80 vol.% ULSD and 20 vol.% biodiesel blend, BD20; 0 vol.% ULSD and 100 vol.% biodiesel blend, BD100; ULSD: ultra low sulfur diesel) were used at an engine speed of 1,500rp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increasing of biodiesel blend rate, the combustion pressure decreased slightly at engine load of 20~60Nm. However, the rate of heat release (ROHR) increased clearly and ignition delay time was shortened. With the increasing of biodiesel blend rate, the carbon monoxide (CO) and particulate matter (PM) emissions were more decreased at all of the engine loads.
Canola(Brassica napus) 엽에서 추출한 미세막으로부터 PEG-dextran 2상분획법을 이용하여 세포막과 세포내막을 분리하였다. U2 상에 있는 원형질막의 K+-ATPase의 특이활성도가 미세막에 비하여 25℃에서 자란 canola는 6.6배, 10℃에서 4.6배 각각 증가되었다. 원형질막(U2)은 미세막이나 세포내막(L2) 보다 cytochrome-c-oxidase 활성이 적게 나타난 반면, 세포내막에서는 K+-ATPase의 특이활성도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10℃에서 생장한 canola의 18:3/18:2 률은 25℃보다 29.2% 더 높게 나타났다. 원형질막의 2중결합지수는 10℃에서 생장한 canola가 25℃에서 생장한 것보다 8.9% 더 증가되었으며 세포내막에서도 같은 경향으로써 10℃에서 19.7% 더 증가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엽록소 함량은 10℃에서 생장한 것이 25℃에 비하여 17.3% 낮았다. Canola가 저온에서 생장시 주로 C18 지방산들이 변화되어, 세포막 내에 불포화 지방산이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리롤렌산(18:3)이 크게 변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생리적으로 canola의 세포막이 저온에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