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special roundabouts using simulated programs. METHODS: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comparing the delays and traffic flow disturbances occurring at special roundabouts.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450 scenarios (5 roundabout types × traffic volumes × directional ratios × measur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elays and traffic flow disturbances using VISSIM and SSAM.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amburger roundabouts are determined to yield the least common-type delays, 2) the amount of delays at Turbo and Flower roundabouts with respect to relatively increased right-turn-type delays,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delays at the Left-turn slip-lane roundabout with respect to relatively increased left-turn-type delays, are found to be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mmon-type delays. Lastly, common- and increased right-turn-type traffic flow disturbances at the Turbo roundabout and increased left-turntype traffic flow disturbances at the Left-turn slip-lane roundabout are determined to be the most infrequent. CONCLUSION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five roundabout types: standard, Flower, Turbo, Hamburger, and Left-turn slip-lane. The effectiveness of roundabouts can increase according to given traffic volume, directional ratio, and measure of effectiveness.
        4,000원
        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발간 이후 국내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2013년까지 전국 364개의 회전교차로가 설치되었으며, 향후 2022년까지 1,592개소를 설치할 예 정이라고 밝혔다(안전행정부, 2014). 그러나 회전교차로의 경우 특징이 설치조건 및 운영특성이 명확하기 때문에 도입 가능한 교차로가 한정되어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2015년부터는 1일 15,000대 미만인 구간을 대상으로 회전교차로의 확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밝힌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와는 달리 회전교차로가 일찍이 도입되어 왔던 미국, 유럽 등 세계 여러나라의 경우 기존에 도입되고 있던 표준적인 회전교차로에서 많은 진전이 이루어져 왔다. 2차로 회전교차로의 단점을 극복한 Turbo형 회전교차로, Flower형 회전교차로, Target형 회전교차로가 개발되었다. 또한 높은 진입교통량 으로 인한 지체증가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신호형 회전교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이 외에도 자전거 이용자 들과 진입차량의 합리적인 이용을 위한 C-Roundabout, 교통량 방향비에 따라 설치되는 햄버거형, 좌회 전 Slip-lane형 등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가 존재한다. 이처럼 많은 유형의 회전교차로가 개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는 표준적인 회전교차로 의 도입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국내 회전교차로 도입이 최근에 이루어졌으며, 아직 정착단계에 이르 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착단계 이후에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국내 정서에 적합한 회전교차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를 소개하며, 이 중 기존 회전교차로와 기 하구조 및 운영방식이 상이한 Target형 및 Turbine형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3.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7년 6월 시행된 개정 저작권법은 특수한 유형의 OSP에 대하여 권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기술적 보호 조치를 의무화(저작권법 제104조) 하였고 동법 시행령(저작권법 시행령 제46조)에 의해 기술적 보호조치의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이 법에서 특수한 유형의 OSP는 P2P와 웹하드(Webhard) 서비스를 지칭하며, 이러한 특수한 유형의 OSP 사업은 기본적으로 불특정 다수에 의한 콘텐츠 불법복제 전송을 기대한 사업 형태이므로 OSP가 상당한 정도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일반 사용자가 저작물 불법복제 침해 행위에 너무도 쉽게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또한 개별 권리자들은 자신의 저작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해당 OSP에 대하여 일일이 이를 추적하여 기술적 보호 조치를 요구하거나 이에 대한 이행을 모니터링 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나아가 민·형사 상의 소송을 통해 권리를 보호 받기에도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본 조항이 신설된 것은 상대적으로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가 저작물에 대한 권리침해의 정도가 많고, 용이하다는 측면과 그 폐해의 정도가 심각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적극적인 기술적 보호조치를 요구함으로써 건전한 시장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보다 높은 수준의 주의 의무 및 관리책임을 부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특수한 유형의 OSP의 서비스 방식에 의해 콘텐츠 산업은 물론 IT기술 발달에 기여가 증명되거나 관련 산업 발달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힘든 상황이며, 오히려 무분별한 불법복제로 인해 폐해가 산업 곳곳에 발목을 잡고 있음을 직시할 때, 특수한 유형의 OSP의 산업적 재평가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accidents by side-wind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when vehicle passes through the bridg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needs to investigate the accident cases and to classify the accident types. Therefore, it can lead to adequate plans for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