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췬(舒群)의 소설 「조국 없는 아이(沒有祖國的孩子)」는 일제가 식민지화 하고 있 는 조국을 버리고 간도-만주라는 이상향으로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나 힘들게 살아가 는 고려인(조선인)-궈리(果里)의 삶을 중심으로 묘사하고 있다. 소설의 배경인 간도- 만주의 공간은 유토피아가 아닌 소외와 낯설음의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을 적용하여 공간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4,9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췬(舒群)이 쓴 단편소설 『바다의 피안』은 조국을 등지고 중국 ‘상하이’라는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나는 조선인의 삶을 매우 감성적이면서도 극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다. 수췬(舒群)은 동북작가 출신으로 자신의 디아스포라의 경험으로 조선인의 디아스 포라를 진솔하게 작품으로 그려보고자 했다. 그것이 바로 『바다의 피안』이다. ‘피안 (彼岸)’의 의미 설정에서 푸코가 일찍이 주장하였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과 서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겠다.
        4,900원
        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일상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권력들이 어떻게 대중들에게 행하여지고 있으며, 어떻게 일상의 삶을 지배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최근 10년 동안 중국 대중들에게 이슈화 되었거나 인기를 끌었던 TV드라마를 통하여 그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권력들을 분석하고 이들의 문제점들이 무엇이며 어떻게 중국을 바라볼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푸코가 주장한 권력 담론을 방법적 틀로 삼아 일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권력의 형태를 분석하고, 권력이 어떻게 대중의 삶을 지배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려 하였으며, 특히 감시, 규율, 생체(몸)의 권력으로 나누어 드라마 속에 어떻게 이들이 작동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4,600원
        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rief statement about the historiography of architecture by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and the possibility of a historical description according to his method. His historiographic propositio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back in (the) general history of techne,” is a novel idea not only for his contemporaries but also for us. To grasp the meaning of Foucault’s proposition, we begin by considering his position with regard to architecture or architectural space in certain discussions till then. We then compare his standpoint on historical recognition with other viewpoints about historical narratives that can be found in books written since 1930. Finally, we interpret the concept of “techne” in the sense of “relation,” whose objectivation is for him his concern on architecture and examine possible aspects and their limits.
        4,000원
        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미디어 속에 내포된 복지철학적 이슈, 즉 클라이언트(client, 예컨대 사회 적 약자나 취약계층)의 주체화 문제를 복지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이론—대표적 비판사회이론의 하나로 꼽히는—에 입각하여 영화 <완득이>를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 영화 <완득이> 를 분석대상으로 삼은 건, 이 영화가 클라이언트를 ‘시혜의 대상’(객체)으로만 인식하 는 기존의 인식(주류사회의 시각)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주로 미디어 에 대한 비판사회복지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데, 그 핵심 주장은 주류사회의 비가 시적이고 미시적인 권력 작용이 복지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의 객체화를 야기하고 있 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복지서비스가 본디 클라이언트를 위해 존재함에도 정작 복지 서비스의 제공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거의 갖지 못한 채 주변 적 존재로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대략 두가지 실천전략을 제시한다. 첫째, 권력은 잘 사용할 경우 부조리한 현실을 조금이라도 개선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는 만큼,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권력이 클라이언트를 옹호하고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선택권을 강화하는 데 쓰일 수 있도 록 윤리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인식의 재 고와 변화를 꾀함으로써 단기적으로는 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의 주체화를 도모하 고, 장기적으로는 우리사회에서 사회권의 실체적 권리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 적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6,100원
        7.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글에서는 지아장커 영화중에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를 축소시킨 영화 <세계>를 중심으로 그 속에 던져져 있는 많은 영화적 기호들,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푸코와 부르디외가 말한 권력의 양태들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또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를 고민하면서 이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될 것이다. 본 글에서 지아장커의 영화 속에서 권력을 장악한 자가 누구냐에 따라 권력의 선과 악이 정해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영화 속에서 ‘차이의 정치’를 발견하였다. 차이의 대상이 인위적인 정치의 장치로 형성되는 것에 비판을 가하여야 함에 있어 감독은 조용한 외침을 보여주었다. 왜냐하면 권력관이 없는 차이의 정치는 공허한 외침이나 강자에게 시혜를 구걸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며, 정치를 이야기하면서 권력을 말하지 않는 것은 제대로 된 비판의 자세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떠한 현상에 추상적 비판을 가하는 것은 연약한 은둔자적인 태도이기 때문이다.
        6,400원
        8.
        2009.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화 ‘풀밭위의 식사’ (2004)는 1963년 프랑스의 그 당시 보수적이고 권위적이며 전통적이라 할 수 있는 “살롱전” 에서 낙선 후 이에 반발하여 소위 “낙선전”에 전시된 마네의 “풀밭 위의 식사” 의 제목을 차용하고 있다. 미셀 푸코는‘풀밭위의 식사’, ‘올랭피아’등 마네의 그림 13점을 선택하고, 그것을 다시 캔버스라는 공간의 문제, 조명의 문제, 관람객의 자리라는 세 항목으로 나누어 하나씩 꼼꼼하게 분석한 후 마네를 현대 회화의 물질적 조건을 선취한 화가라고 말하였다. 영화 ‘풀밭위의 식사’가 극의 내용과 전혀 상관이 없는 마네의 그림에서 굳이 제목을 차용한 것은 영화를 구성하는 많은 장면들이 기존의 전통적인 촬영방식으로 만들어진 영화들과는 차별이 있는 실험적인 장면들이 많다는 것과 그 장면들이 푸코가 분석한 마네 그림의 특징들이 그대로 따르고 있는데 기인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영화 ‘풀밭위의 식사'의 장면들이 푸코가 분석한 마네의 작품들의 특징들을 어떻게 반영하였고 변형했는지에 대해 영화의 장면들과 마네의 그림들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5,100원
        9.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he architectural thought of Michel Foucault with that of Manfredo Tafuri in order to make clear the architectural identity as a social institution. In Michel Foucault's case, the archeology of discourse and the geneology of power were central method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occidental society since the Renaissance. Four him, architecture is assumed as a mechanism of operation which make the power effectively radiate in th space. He thinks that a new discursive space was arranged since the 18th century in Europe, the architecture played a role to coordinate divers powers. Mafredo Tafuri, architetural historian, depends on the criticism of ideology in search of the relation between the economic system of capitalism and modern architecture and urbanism. He thinks that all architecture is an institution. And any attempt to overthrow the institution, is bound to see itself turned into a positive contribution and into an ideology, So all architectural attempts to conceal the contradiction of capitalism are negated. This different perspective on architecture exposes many points of dispute: historical periodization, disciplinary limit of architecture,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architecture, utopia and heterotopia, etc.
        5,700원
        10.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rveying the literature of architecture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one can identify two dominant but problematic attitudes, among several, that pursue the task of defining what modern architecture is and should be. The first is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second is the pursuit of form. This study, following Michel Foucault, asserts that the dual formation of meaning and form is a historical product of modernity and belies architecture's uncritical dependence on language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This study is a critique and historical analysis of this pernicious reliance, and constitutes a first step towards thinking of alternative relations between 'words and architecture' in the modern world. In reconstructing this problematic, the paper has called on Foucault's seminal The Order of Things. The study follows his construction of the Renaissance, the Classical and the Modern episteme, and in brief fashion, reconstruct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architecture in each episteme. In analysing the Modern, the study focuses on Hegel's Lectures on Aesthetics. Hegel placed architecture in a genre hierarchy within which architecture, because of its material basis, was fundamentally limited in its ability to express the Spirit. For Hegel it was, among the arts, poetic language, and beyond art, the language of philosophy, through which the Absolute Spirit could be atttained. Much of post-nineteenth century architecture has remained within the shadow of Hegel, where architecture's materiality is perceived to be a burden, and in order to secure its relevance in modern society, architecture was deemed to pursue the role of language. As the most recent and sophisticated example of architecture's pursuit of form, the paper analyses the work of Peter Eisenman. Though Eisenman's theoretical writings are replete with post-Hegelian rhetoric, his architecture remains dependent upon the model of language, albeit a structuralist one. The paper concludes that ultimately, the pursuit of meaning and form is unable to face the crucial issue of value in modernity. While the former decides to easily what it is, the latter evades the issue itself. The second installment of this ongoing study will pursue a third possibility alluded to by Foucault, where language remains silent, pointing only to its 'ponderous' material existence.
        5,400원
        1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의 심리적 독백을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으로 접근하여 인류보편적인 도덕적 삶의 양태를 포착하려한다. 진실에 대하여 실천적으로 접근한 푸코의 파레시아는 자 기의식 지도라는 측면에서 자기비판의 개념을 포함한다. 특히 나카야마겐은 기독교 역사에서 파레시아가 가지는 의미로 중간적인 로고스적 인 간상을 추구하게 한다고 지적한다. 즉 기독교가 초월적 사랑을 이상적 으로 추구하지만, 현실적으로 차선의 방안으로 윤리적인 결혼을 제시하곤 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는 극단적인 두 사랑, 이드와 초자아개념을 형이상학적 기상과 같이 결 합하고, 양자 사이의 윤리적 삶의 양태를 고민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엘리엇의 심리적 독백을 사고실험으로 간주하고, 그가 인간의 도 덕적 삶의 한 양태로 극단적 개념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실을 추구하는 것임을 규명한다.
        12.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게임 거버넌스의 핵심적 요소로서 게임등급시스템을 분석하고, 주요 행위자들 사이의 균형과 조정, 그리고 문제지점을 조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급시스템은 일련의 합의적 절차에 의해 수행되는 안전메커니즘으로 간주되지만, 한국에서 등급분류는 사실상 게임물의 생사여부를 결정하는 사법메커니즘 또는 규율메커니즘으로 작동하고 있다. 국내의 관련 이해당사자 집단들이 대체로 자율등급시스템의 형성에 동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메커니즘으로의 이행이 어려웠던 기원에 대해 고찰한다면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에 맞는 게임 거버넌스 모델을 위한 담론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