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19세기 한국의 음악 선교를 이끌었던 드와이트 말스베리(Dwight R. Malsbary, 1899-1977)의 생애를 살펴봄으로 써 그를 통하여 바라보는 현대 음악 선교의 역할의 중요성과 방향을 진단하는 것이다. 한국에 양악이 들어오게 된 초기에 그는 음악을 전문으로 교육받은 선교사로 왔으며 그의 음악 선교는 교육자로 지휘자 로 연주자로 작곡자로 다양하게 활동하며 기독교음악과 서양음악을 한국 내에 전파하였다. 이것으로 인하여 한국의 1세대 음악가들이 배출되었고 그들을 통하여 한국문화에 맞는 음악과 찬양이 작곡되었다. 이와 같이 한 사람의 전문적인 선교의 영향력과 파급력은 선교지의 문화를 바꾸고 기독교를 뿌리내리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 고 음악의 사회적, 교육적, 치유적 기능은 말스베리의 선교역할과 맞닿아있다. 현재 음악 전문인으로서의 선교는 전략적으로 목회자, 선교사들의 선교를 허락하지 않는 국가에도 가능하므로 음악이 주는 선교의 유익이 크다. 그러므로 말스베리와 같은 한국의 젊은 음악 전문인들이 사명을 갖고 적극적으로 선교 현장에 함께 동원되도록 한국교회와 선교회가 앞장서야 한다.
본 연구는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바울의 선교전략과 현대 적용점을 밝히고자 논의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바울선교와 현대선교의 연결점 에서 찾고자 노력하였고, 바울의 선교 방법과 전략에 대하여 집중하여 다루었다. 바울선교에서 자비량선교, 도시중심의 선교, 현지의 문화와 상황을 이해하고 접근하는 토착화 선교, 현지에 현지인을 중심으로 개척하였다. 현지교회가 자립, 자치, 자전의 선교를 시행하고, 현지 지도자들을 육성하고, 리더십을 개발하여 더욱 성숙하고, 영성이 있는 리더십을 개발하는 전략적 선교를 행하여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선교지 교회의 헌신자들을 사후관리하고, 선교사 멤버 케어와 위기관리 까지 시스템화하는 선교가 요청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성육신의 의미와 그 분을 통해 나타난 선교적 삶의 모습을 근거로 통전적 선교를 위한 현대교회의 성육신적 모습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그 모습을 정리하면, (1) 사도적 리더십으로 한 몸된 ‘모이는 교회,’ (2) 메시아적 영성으로 존재하는 ‘공생하는 교회,’ (3) 그리스도적 성품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열린 교회,’ (4) 복음적 침투성으로 파송된 ‘흩어진 교회’이다. 예수님은 하나님으로 부터 택함 받아 기름 부음 받은 자로서 인류를 구속하기 위해 유한한 인간의 몸을 입고 이 땅에 오신 최초의 선교사이시다. 때문에 예수와 한 몸된 이 땅의 모든 교회는 동일한 하나님으로부터 택함 받고 파송된 선교적 교회로 존재한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전략적이고, 마케 팅적이며, 공격적 형태의 일방적 선포방식에 메여 있는 현실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에 담긴 기독론적 의미를 깊이 깨닫고 실천함으 로서 올바른 복음적 가치관을 가질 수 있고, 일상에서 나타나는 언행, 성품, 태도와 같은 삶의 전 영역을 통한 통전적 선교의 선교적 교회와 백성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유대인들은 포로가 되면서 왕조의 정통성과 성전파괴를 경험하였지만, 자신들이 갖고 있던 기존의 편협된 틀을 깨고 야웨신앙을 견고히 하면서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그리고 그들은 공동체와 정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회당을 세웠으며, 그들의 생활을 만인에게 공개하고 율법을 실천하며 모범적인 공동체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실생활에 서도 경건한 생활을 통해 이방인들에게 유대교에 대한 도전을 주었으며 그 자체가 유대교 선전의 효과를 낳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존재의 선교, 즉 삶을 통해 보여주는 선교에 중심을 두고 있다. 포로기에 유대인들의 생활을 통해 그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자각하며, 회당을 세우고, 신앙재건을 위해 노력한 점을 확인하였으며, 그들의 열악한 상황 가운데서 자신들이 섬기던 하나님의 뜻을 어떤 방식으로 수행해 나갔는지 회당공동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현대교 회가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칼 라이헬트는 노르웨이 출신 중국선교사로서 중국 불교승려들에 대한 초점을 맞추어 사역한 선교사로서 그의 위대한 업적에 비해 선교역사에서 드러나지 않은 인물이다. 당시 승려들의 복음화를 위해 그들과 동일화하는 과감한 상황화 입장을 펼쳤으므로 선교부의 오해와 불신으로 추방당하기까지 하였다. 그는 성취론(Fulfillment Theory)적 입장에서 불교철학과 기독교와의 접촉점을 발견하여 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가르쳤다. 하남성에서 홍콩으로 선교지를 옮긴 후 도풍산에 불교양식의 선교센터를 건립하고 찾아오는 불교승려들과 도교인들에게 함께 기숙하며 토론하면서 복음을 가르쳤으며, 270여명의 불교승려들과 다수의 도교인들을 개종시켰다. 또한 루터교 연합신학교를 설립하여 제자들을 배출시켰으며, 중국어 성경주석발간 등 교육사업과 출판사업에도 업적을 남겼다. 당대 선교부로부터의 냉대와 추방에도 불구하고 일생에 걸친 불교의 지도자들을 향한 사랑과 전도행로는 기독교 선교역사에서 재평가되고 연구되어야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칼 라이헬트의 저서와 그에 관한 저널들, 성취론에 대한 견해들과 라이헬트의 입장, 도풍산 현장의 증거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Recently, most Christians in Korean have felt shame at watching the status quo of Korean protestantism. Almost everyday, we Christians faced unpleasant news about churches and clergies. At the same time, Christians feel the crisis of church growth and mission. At this moment, it would be significant and meaningful to search for the church reform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and to be taught from the past. For this reason, the writer investigated several historical events which caused the church reform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everal types of church reform in the church history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The first case of church reform was accomplished for the purpose of the ecclesiastical and the social change by means of the political struggle. Second, for the purpose of the ecclesiastical and the social change by the revolutionary method. Third, for the purpose of structural subversion by the political struggle. Finally, for the purpose of structural subversion by the revolution. Among these four, because the second type of reform is illogical, the writer would consider the others. The rest of three cases of reform, however, whether it would be successful or not, had the limitation that could not have accomplished the fundamental reform of problems in their own era. For this, the writer has looked for the another way which was named as the fifth way of reformation and the writer considered it as true church reform. Also, it was regarded a genuine church reform as the most effective way of mission. As the fifth way of reform in the church history, the writer analyzed three historical events: the way of St. Francis and his mendicant movement in the twelfth century; the way of religious movement of Beguine in the thirteenth century; and the way of methodist movement of John Wesley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ovement would be as follows. First of all, these movements did not happen to struggle or criticize the existing church power and social structure directly. Secondly, even though there were leading persons in these movements, these movements were empowered by the anonymous laities. Thirdly, the participants of these movements proliferated and flourished very rapid within very limited times. Finally, They were so creative that they created new idea, theology, philosophy, and life styles. In conclusion, the writer proposed the fifth way as the ideal both for church reform and growth simultaneously. Through the fifth way, the people who are sick and tired to churches and protestantism in Korea might come into the world of hope, new spirituality, and creative life that they have never felt in the existing ecclesiastical structure. Then, new Christian communities will proliferate such as the above creative religious movements.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cannot be accurately understood apart from its relationship to the church growth movement and the revival movemen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via historical analysis. Chapter 1 introduc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explains and defines the dissertations title, provides a brief survey of the current Korean missions movement, and outlines the background for the proposal. It also describes the plan and methodology to be used for this work. Because these are some ambiguities about the definitions of the missions movement, this chapter clarifies the definition of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Chapter 2 examines the history of missions in Korea. Though Korea has a brief history of overseas missions experience, this chapter attempts a through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oday's Korean missions movement. This chapter details the earlychurch's foreign mission efforts in Korea and examines the significant role of foreign missions after the Korean War. A brief survey of the monumental efforts toward modern missions are included. Finally, a discussion regarding college campus missions which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birth of the missions movement in Korea isfound in this chapter. Chapter 3 seeks to determine the direction that the Korean church is going in foreign missions in today's world. Accordingly, there are four major missions forces in the Korean church. There are also many denominations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is author discusses the mission boards of major denominations because they represent the Korean church. This chapter attempts to show how para-church missions are successful in Korea. It also explains well college campus missions which have been pivotal in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Finally, this chapter examines how local churches participate in foreign missions. Chapter 4 concerns the main thrust of this dissertation. This chapter examines four significant factors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The important atmosphere of its socio-political factors is examined in this chapter. Economic factors that made rapid Korean church growth possible is studied as part of the missions movement. Theological factors also made a great impact on the Korean missions movement and are discussed in this chapter. Chapter 5 provides an overview of tomorrow's missionary efforts in the Korean church. It explains the strategic sending of missionaries under the current mission circumstances. It also discusses a paradigm shift for Korean missions. Finally, it covers missionary training and networking missions on the mission field. Chapter 6 is the conclusion. It summarizes the ideas and thoughts in a final form, emphasizing important facts presented in the disse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