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기 대순환 모형인 GCPS를 이용하여 북서태평양에서의 태풍 활동의 계절 예측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1979년부터 2003년까지 각 해에 대해 해수면 온도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5개월간 초기 조건을 달리한 10개의 앙상블 멤버를 적분하였다. 모형은 발생 빈도의 평균적인 월변화 경향과 발생 분포를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였으나, 발생 빈도의 경년 변화는 신빙성 있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는 관측과 모형간 태풍 발생 빈도와 ENSO의 상관성 차이에 인한 것으로 실제 태풍 발생 빈도와 ENSO가 뚜렷한 상관 관계를 갖지 않는 것과 달리, 모형에서는 엘니뇨 시기에 평년에 비해 많은 태풍이 발생하고 라니냐 시기에 평년에 비해 적은 태풍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반면에, 관측과 모형 모두 ENSO와의 상관 관계가 높게 나타난 태풍 발생 경도의 경우에는 모형이 발생 경도의 경년 변화를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였다.
        4,000원
        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potential and difficulties of reflective teaching through keeping teaching journals. The focus of reflection was also examined. Six primary English teachers wrote teaching journals throughout one semester. And they were interviewed regarding keeping teaching journal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n the contents of teachers’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analysis of teachers’ journals shows that their reflection included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on the use of learning activities, the problems of learner differences in English ability,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the structure of lessons, their role as a fully charged English teacher, the use of classroom English, and the concern abou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talk. The data analysis also reveals that the teachers considered journal writing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improve their teaching, thus being a mea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n English teacher. However, the lack of time and not being familiar with keeping teaching journals were perceived difficulties in keeping teaching journals. Furth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follow-up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on and discussion with other teachers or teacher educators were needed for journal writing to be a more beneficial tool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6,300원
        4.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양대 축은 교과 교육과정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학교 현장의 교육과 학생의 발달에 있어서 긍정적인 역할을 많이 수행하였다. 그러나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연구는 그 고유한 특성과 성격을 반영하면서 다양하게 실시되지 못하였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실시되었던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연구는 양적인 연구에 치우쳐 있었으며, 연구의 주제가 몇 가지 측면에서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다른 연구 활동과 같이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연구도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탐구와 이해가 실시된다면 그 타당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의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는 질적 접근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에서 질적 접근의 가치와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분야에서 심층적이고 다양한 질적 연구가 실시된다면 학교 현장, 교사와 학생의 삶을 이해하는 인식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5.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향유하기(savoring)는 긍정정서의 지속과 증폭을 위해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전략으로서 긍정심리학의 학문적 취지와 함께 최근 들어 개념적, 이론적 틀을 확립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향유방식을 탐색하고 긍정심리학 관련 연구에서 제시된 향유방식과 비교한 뒤, 신체활동에서의 향유하기 도입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향유하기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된 10가지의 향유방식을 토대로 무용전공자 7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설문을 진행한 결과, 총 327사례의 향유방식이 수집되었다. 무용전공자들은 긍정적인 경험을 만끽하기 위해 다양한 향유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유하기가 긍정정서 지속뿐만 아니라 역경극복과 동기부여, 자기고양 등 최상수행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집된 무용전공자의 향유방식과 선행연구의 향유방식을 비교한 뒤 신체활동에서의 향유하기 도입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6.
        200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acroeconomic minimodel was simulated to analyze the effect of global exchange on the Korea's economy. The simulation results illustrate some of the consequences of public policy and some insight into current world problems. All computer simulation runs made under various conditions suggest that the Korea's system in the near future may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favorable availability of outside resources, while the national power and assets may be declined by indigenous environmental stock depletion. The borrowed capital allows the temporary money stock to increase and the national assets to grow faster and a little higher, as using up the environmental resources more quickly. Later, when the debt is paid off, the foreign exchange holdings may not go so high.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ver 75% of total economic production should be invested to th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Therefore, the economic structure of Korea should be transferred from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to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ecological-recycling concept.
        7.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the key concept, both in economic policies and in environmental management. On the basis of an systems ecology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s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activity using the EMERGY evaluation. The total EMERGY use(7,730 E20sej/yr) in Korea is 81 percent from imported sources, fuels and goods and services. The ratio of outside investment to attracting natural resources is already large, like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Continued availability of purchased inputs at a favorable balance of EMERGY trade, currently about 2.85 to 1 net EMERGY, is the basis for present economic activity and must decrease as the net EMERGY of purchased inputs including fossil fuels goes down. EMERGY yield ratio and environmental loading ratio were 1.23 and 20.30, respectively. The population level is already in excess of carrying capacity. Its carrying capacity for steady state on its renewable sources is only 2.2 million people, compared to 45.9 million in 1997. EMERGY sustainability index is therefore less than one, which is indicative of highly developed consumer oriented economies. Until now the development of a country has been achieved by the economic growth, but it can be sustained in the long run by the use of renewable resource systems, the efficiency of energy usag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an ecological-recycling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