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의 심리적 독백을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으로 접근하여 인류보편적인 도덕적 삶의 양태를 포착하려한다. 진실에 대하여 실천적으로 접근한 푸코의 파레시아는 자 기의식 지도라는 측면에서 자기비판의 개념을 포함한다. 특히 나카야마겐은 기독교 역사에서 파레시아가 가지는 의미로 중간적인 로고스적 인 간상을 추구하게 한다고 지적한다. 즉 기독교가 초월적 사랑을 이상적 으로 추구하지만, 현실적으로 차선의 방안으로 윤리적인 결혼을 제시하곤 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는 극단적인 두 사랑, 이드와 초자아개념을 형이상학적 기상과 같이 결 합하고, 양자 사이의 윤리적 삶의 양태를 고민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엘리엇의 심리적 독백을 사고실험으로 간주하고, 그가 인간의 도 덕적 삶의 한 양태로 극단적 개념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실을 추구하는 것임을 규명한다.
        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에서 나타나는 시적 화자의 불안의 기분은 엘리엇의 초기시에 보여주는 다른 여러 감정들처럼 현대인들의 실존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적 화자의 불안의 감정을 하이데거의 초기 사상에서 비중 있게 다뤄진 불안의 의미와 함께 분석함으로써, 불안의 실존론적 의미에 주목하고자 한다. 실존론적 의미에서 프루프록의 불안은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존재를 깨 닫게 되는 기분이다. 불안은 자기를 상실한 채 비본래적으로 살아가는 시적 화자에게, 섬뜩함으로부터 존재를 알려오며 양심의 목소리를 통해 본래적인 삶의 가능성을 개시하는 기분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엇은 프루프록의 불안을 통해 어둡고 절망적인 현대사회를 진단하기 보다는 불안을 통해 오히려 자기를 상실한 현대인들의 실존 회복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불안은 하이데거의 초기 사상에 해당하는 존재와 시간과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에서 “무”와의 관련성을 가지고 깊이 있게 사유되고 있다. 불안과 불안이 드러내는 무의 성격은 「프루프록」에서 시적화자의 불안과 불안이 가져다주는 “압도적인 문제” 를 해석하는 바탕이 된다.
        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모더니즘의 최초시라고 평가받고 있는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1915)에 나타난 엘리엇의 다양한 모더니즘 기교를 천착하는 것이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에서 구축된 모더니즘의 대 표 시인 엘리엇의 시적 기교는 인간의 자아를 성적 본능인 이드, 자아, 초자아로 구분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제임스의 “의식의 흐름”의 영향으로 낭만주의나 빅토리아조 시인들의 기교와 확연히 다르다. 엘리엇은 신중하고 우유부단한 화자 프루프록의 내적 독백, 즉 백일몽을 통하여 무의식 속에서 관능적인 여인들과의 조우 단절을 묘사함으로써 모더니즘의 한 주제인 도시 생활 속의 “소외”(疏外)를 표출하고 있다. 아 울러 시인은 베르그송 시간관의 영향으로 기계적인 “시계 시간”보다 프루프록 의식의 “심리 시간”을 수월하게 표출하고 있다. 또한 엘리엇의 모더니즘 기교는 독특한 은유, 직유, 환유, 상징 그리고 형이상시인들의 기상(奇想)보다 더 복잡한 기상의 사용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화자의 망설이는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을 투사하고 있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는 확실히 그의 전통적인 하버드 습작시와 모더니즘 대표시 황무지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는 혁신적인 모더니즘 최초의 시이다.
        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에서 엘리엇은 프루프록이라는 내성적 인 낭만적 주인공을 내세워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직면한 도덕적 위기 를 경고한다. 이 시는 그동안 다양하게 해석되어왔지만 그 해석의 틀은 상당히 제한된 것이었다. 지난 세기 줄곧 엘리엇의 시들은 대부분 모더 니즘의 관점에서 조명되어왔다. 그러나 지난 수 십 년 동안 포스트모더 니즘의 새로운 이론의 파고 속에서 일단의 비평가들은 서구 형이상학의 이성 중심주의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보이는 엘리엇의 시를 해체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본고는 엘리엇의 「프루프록」의 해석에 있어서 기존의 서구 형이상학의 전통에 선 주지주의적 해석과 그 이후의 해체주의적 해석의 중간 고리인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 철학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고백시에서 20세기 초반의 현대화된 도시 속에서 프루 프록이 삶에 대해 던지는 철학적 회의와 사유가 하이데거가 제시한 실 존론적 존재론의 철학적 사유와 맥락이 닿아 있기 때문이다. 「프루프록」에서 엘리엇의 눈에 비친 현대인은 무의미한 시간의 반복 속에서 권태와 불안 속에서 살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가 담아내는 동시대 전반에 팽배한 도덕적 타락의 징후와 철학적 위기는 바로 하이데거가 그 의 존재론에서 구체적으로 논한 것이다. 따라서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을 토대로 엘리엇의 프루프록 을 연구하는 것은 이 시에 대한 새로운 읽기를 가능케 하리라고 믿는다. 특히 엘리엇이 이 시에서 그려낸 암울한 시대 상황은 하이데거가「존재와 시간」을 비롯한 그의 주요 저작에서 구체화한 동시대의 상황에 대한 사유와 접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6.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에서 화자 프루프록은 상징계의 주체 이자 욕망의 결핍을 느끼는 현대인의 전형, 탈주를 꿈꾸는 자이다. 그는 타인/대타자의 욕망에 의해 소외되어 있는 한, 진정한 자신, 진정한 주 체로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주체가 상징계에 들어갈 때 존재는 타자 적 이미지와 언어에 의해 소외된다. 그리고 주체탄생이란 소외를 댓가 로 지불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미켈란젤로, 여인, 인어는 프루프록의 주체에 대응되는 대타자로서 시니피앙의 연쇄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엘리엇은 억압된 인간의 욕망이 끊임없이 무의식의 구멍/환상 으로 출몰하여 미끄러지는 상징계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대상 a와 실재계로서, 이들은 환상적 형태로 상징계에 침투하였다.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는 값싼 식당과 호텔, 여인 들의 방, 바닷가, 바다 소녀의 방의 배경을 따라, 노란 안개, 향기, 베개, 복숭아, 인어의 노래 등으로 재현되는 대상 a등을 소개한다. 무엇보다도 이 시는 시적화자/주체가 대상 a를 통하여 상징계의 틈을 발견하고, 자 신의 쾌락을 추구하여, 시니피앙에 의하여 자신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언술행위의 주체/진정한 주체의 해방을 이루는 상징계의 연쇄작용을 효 율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간의 삶에는 항상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요소가 상존해왔다. 엘 리엇의 작품에도 그러한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요소는 매우 흥미롭게 뒤섞여 나타난다. 엘리엇의 변동이 심했던 종교적인 배경은 별개로, 엘 리엇은 고전문학의 유산을 충실하게 흡수했던 작가였다. 물론, 그 전통 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고전으로부터 그가 받았던 영 향을 고려한다면, 엘리엇은 고전을 호위하고 유지하려는 작가가 분명하 다. 하지만 동시에 그는 모더니즘을 형성하는 매우 혁신적인 인물이기 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작품 속에는 매우 상반된 요소들이 공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 그의 작품들은 매우 종교적이고, 철 학적이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황무지와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 가 와 같은 그의 작품 속에는 다양한 대중적인 요소들이 함께 공존한 다. 다시 말해, 가장 성스럽게 다루어지는 성경과 같은 텍스트가 아주 저속한 요소들과 병치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스러운 요소와 세속적인 요소의 공존에 대한 인식은 엘리엇 작품의 이해뿐만 아니라, 엘리엇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해석의 관점도 함께 제시해 줄 것으로 여 겨진다.
        8.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iot was impressed with Charles Baudelaire’s technical mastery and particularly with his employment of symbolic imagery as a means of representing a spiritual or emotional state of modern man. This paper makes it clear that Baudelaire’s decadent metropolitan settings appear in Eliot’s early poetry including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This paper argues that Eliot not merely presents the imagery of the sordid common life of a metropolis but attempts to transform such imagery to disclose the symbolic landscape in the protagonist’s mind. Eliot recalls from his past life memory and daily observations concrete physical equivalents for intangible feelings of modern humans. This paper shows how all the scenery of the poem, indoor and outdoor, is transferred to the psychological landscape of Prufrock himself. And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symbolist device of objective correlative, then, in Eliot’s hands, renders the complexity of modern human experience as well.
        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and “Portrait of a Lady,” two major works of T. S. Eliot’s early poems, have been regarded as a kind of ramatic monologues. Many critics indicated that Eliot’s use of dramatic monologue was different from Victorian poets’, so they called Eliot’s dramatic monologues “interior monologues” or “psychologues.” However, some critics like Won-Chung Kim insisted that Eliot’s and Robert Browning’s dramatic monologues shared som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ir masterpieces,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and “My Last Duchess.” In this paper, my premise is that Eliot’s dramatic monologues are different from Victorian poets’ like Browning’s because I think that Eliot changed the technique of dramatic monologue to reflect the spirit of his age, that is,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early 20th century, many writers including Eliot thought that the self is illogical and split, and claimed that they should focus on the human consciousness and try to find the method to express it. In his early poems, Eliot expressed the speakers’ consciousness that was divided. Some critics has also indicated that the speakers of Eliot’ early poems have self-conscious character caused by the split self. To create this character of the speakers, I think, Eliot adapted the technique of dramatic monologue. While the traditional dramatic monologues focus on showing the speakers’ values, Eliot’s show the conflict of the speakers’ doubling self that produces the effect of irony. The speakers’ doubling self consists of the superficial and the fundamental self. One represents the self that tries to conform to the life style of the bourgeois world and is very concerned about people’s judgment. The other represents the self that longs for something higher, more emotional and spiritual. When this doubling self collides with each other and causes conflict, the speaker observes himself in a dramatic way, that is, as a object. Then, the speaker returns to his daily life again.
        10.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arly poems of T. S. Eliot. In this poem Eliot expresses the sordid and waste world which shows no possibility of salvation. The method of salvation or the salvation itself is symbolized as the “overwhelming question”. The question of salvation is overwhelming not only because the speaker of this poem cannot deal with it properly but also it cannot be solved in this waste world. The world is sordid, turbulent and waste, and human beings in this world are alienated. Eliot’s sense of alienation has its root in his early life, social activities, leaving America and acquiring British citizenship. This alienation is expressed in this poem as the impossibility of expressing his own thoughts and communicating with the women. The speaker even wishes to lead an animal life. The speaker’s wish to be lower animals indicates that the world is in the lowest level of existence. The speaker’s wish to save the world is expressed as the action of going to the women. What the speaker aspires is the true communication with the women not only on the physical level but also on the spiritual level. The communication will put an end to the alienation and save this world from its sordid and waste situation. Though the speaker’s wish isn’t fulfilled, we understand the “overwhelming question” is connected with the salvation of the world.
        1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to show how properly the contagious concepts stemmed from Deleuze can be applied to literary text, even if Deleuzean reading that has flooded as yet home or abroad is hard to practice. However, we always feel it troublesome that the challenge is so hard and even fatuous in the sense that Deleuze’s texts are inclined to decline to be grasped by readers. Moreover, even the poem of T. S. Eliot’s also would get out of reader’ obsessional desire to ‘territorialize’ the poem. In the dilemma, we find a aphorism of Lacan’s as a western high monk: we can’t read all texts of an author and can’t grasp all of his/her identity even if he/she has scoured all of his/her texts thoroughly. Thus what we know is no less than broken knowledge, so someone who argues that he/she is a know-all must be totalitarian or paranoiac. Deleuzean reading can be practiced in view of not ‘systematic reading’ but ‘affective reading.’ The former chases after comprehensive ideas as if readers would be gods in the Olympus mount, but the latter enjoys ‘intensity’ or velocity of each part composing of text as asserted by Spinoza. After passing through this poem, the trend of ‘deterritorialization’ is perceived just like a form of melody, ‘rondo,’ in which main melody is recurring with marginal variations intervened every movement and at last reduced to ultimate themes which can be summarized such as state of thought without image, enlightenment and revision. To reach the poetic truth, Eliot mobilizes a collage of intertextual images such as a gruesome world of Dante’s hell to which ‘line of flight’ or ‘singularity’ as death takes human in which confession makes possible atonement or salvation. “a patient etherized” means lethargic being castrated by the norm or value of community and paralyzed by the conventional images in ‘socius’ such as primitive, despotic and capitalistic state. “yellow fog” seems to veil falsehood of reality, but indicates difficulty of rational judgement and “time” as ‘abstract machine’ of self-contradiction frees oneself from oneself with the same identity made up of present(‘chronos’), past and future(‘aion’) articulated only by human as subject of thought. Ego riding on timetable is determined to be confined in routine of life, which means that we must take off each conventional mask. Thus “ragged claws” cut causation as ‘rigid line’ of world and Apostle John and “Lazarus” as saints undergo metamorphosis of death or rebirth in that the one was martyred and the other returned from across Lethe of oblivion as Zarathustra would face against his fate. “the eternal Footman” functions as self-disciplined subject succeeding to regime or prisoner contained in ‘panopticon.’ “Hamlet” and “the Fool” mean that the former as ‘war machine’ tries to subvert ‘the State apparatus’ or ‘molar aggregates,’ and the latter denies despotic ‘normalization’ or generalization. Contrary to the mundane situation, “mermaids” and “sea-girls” stand for becoming-imperceptible through ‘decoded flow’ happening when the poetic narrator fed up with stuffed images drowns himself as moving ‘phenotext’(the signifying system) to ‘genotext’(not reducible to the language system), and awakes himself in the revision of Things. At last Eliot completes “the love song” with the esoteric tree diagram erasing image by image, and shows us the terrible road to enlightenment.
        12.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echnique of dramatic monologue which affords writers an objective and ironic distance from the speaker was a useful method to Robert Browning and T. S. Eliot who tri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excessive pursuit of subjective vision of the Romantic poets, their immediate predecessors. In “The Metaphysical Poets,” Eliot denies any direct influence from and continuity with the Romantic and Victorian poets and finds his inspiration in the works of Metaphysical poets and French Symbolist poets. In a review on John Middleton Murry's Cinnamon and Angelica, however, he recommends Browning to the modern poets, including himself, as a pattern to follow. Eliot's contradictory attitude toward Browning stems, I think, from the fact that his ambition to become a modern poet of the Twentieth Century sometimes overshadowed his acknowledgement of Browning as one of his masters. But it is hardly possible to deny that he knew Browning very well and his early works show a close affinity to the works of Browning, more than those of any other poet. “My Last Duchess,” Browning's masterpiece of dramatic monologue, and Eliot's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share many characteristics; both are written in dramatic monologue, and both are studies of the latent violence and danger of solipsistic self-love. Both Browning's Duke and Eliot's Prufrock are paranoiacs who are imprisoned within their sick self-consciousness. They suffer from their impossible desire for woman, and they reveal their hidden violent nature when their desire for woman is thwarted. As the Duke shows his sadistic character when he transforms his Duchess who was beyond his control into an artifact, the same violence of Prufrock turns against himself and becomes a masochistic one. In this sense Prufrock can be regarded as a modern Duke of Browning, who wallows in the mire of “etherized” self-consciousness. The paranoiac self-consciousness proves itself a hell both to the Duke and Prufrock.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is a good example in which Eliot faithfully followed his own advice to the modern poets, that is “to distill the dramatic essences [of Browning], if we can, and infuse them into some other liqu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