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구기자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얻어진 추 출물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3 mg/mL이었으며,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결과 1000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항산화 효능 실험으로 DPPH radical 소거 시험을 실시한 결과 1000 μg/mL의 농도에서 84.97%의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SOD 유사 활성 실험 결과 1000 μg/mL에서 80.54%의 결과로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 과 1000 μg/mL에서 50.93%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구기자 추출물이 elastase 저해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구기자 70% ethanol 추출물은 항산화와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기능 성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자생 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을 시료로 선정하여 80% EtOH 추 출 및 EtOAc, BuOH, D.W. 분획믈로 항노화 및 항산화 분석을 통해 복합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물세포주인 HaCaT cell을 이용하여 시료의 세포 독성을 분석한 결과 시료의 독성은 세포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농도 10%에서 30.41%의 elastase 저해율을 보였고 collagenase 저해활성은 시료농도 1%에서 11.65%의 저해율을 보여 유사 버섯류보다 우수한 항노화 활성을 보였다. 분획물의 총 페놀 함량은 778.4 mg, 흰만가닥버섯 1 g당 2.59 mg으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만가닥버섯 추출물은 항노화 및 항산화 기능의 천연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발효된 대두, 미강, 홍삼 3종을 배합을 하여 시너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개별 시료보다 더욱 더 좋은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3가지 혼합비율 262, 622, 442를 비교하였을 때 442 비율이 항산화활성과 항노화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42 혼합비율은 개별 재료의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개별 홍삼보다 높은 시너지 효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홍삼을 원료로 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때는 홍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미강과 대두와 혼합된 442 혼합비율 재료가 항산화활성과 주름개선에 더 높은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의 중요 원료로 선호될 수 있다. 앞으로 이 물질에서 주요한 유효 성분을 분리, 정제하여 항산화 검증과 항노화 검증의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nd elastase of Sorbus commixta (S. commixta) twig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aglycone fraction of S. commixta twig extract showed the prominent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FSC50, 13μg/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f S. commixta twig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3+-EDTA/H2O2 system were investigated by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50 % ethanol extract among extracts showed the most prominent ROS scavenging activity (OSC50, 0.189μg/mL).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s of S. commixta twig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50 %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gainst RO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5~50μg/mL). The inhibitory effect of S. commixta twig extract on tyrosinase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whitening efficacy. The ethyl acetate (IC50, 113.2μg/mL) and aglycone fraction(IC50, 105.3μg/mL) on tyrosinase showed more remarkable inhibitory effect than arbutin(IC50, 226.88μg/mL), known as the whitening agent. The inhibitory effect of aglycone fraction (IC50, 6.9μg/mL) on elastase was simillar to quercetin(IC50, 6.1μg/mL), flavonoid known as reference compou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fractions of S. commixta twig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1O2 and other ROS,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S. commixta twig extracts can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aging produc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xidative,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of Tetrapanax papyriferum extract. Tetrapanax papyriferum was extracted by two different solvents which were n-Hexane, ethyl acetate.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An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for whitening effect and collagenase, elastase for anti-wrinkle were investigated. For anti-oxidant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of Tetrapanax papyriferum extract showed more significant activity than n-Hexane fraction of Tetrapanax papyriferum extract. For whitening activity, n-Hexane fraction of Tetrapanax papyriferum extract exhibited strong inhibition effects compared with reference. Therefore, Tetrapanax papyriferum extract may be useful as a new antioxidant and whitening agen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xidativ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Duchesnea indica (Andr.) Focke was extracted by two different solvents which were n-hexane and ethyl acetate.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An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for whitening effect and collagenase for anti-wrinkle were investigated. For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showed more significant activity than n-hexane fraction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For anti-wrinkle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exhibited strong inhibition effects compared with reference. Therefore,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may be useful as a new antioxidant and anti-aging agent.
한련초는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국화과 한련초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살무사 독에 대한 해독효과, 항산화효과, 발모효과, 상처치유효과 등의 효능들이 확인된 바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한련초의 항산화 및 항노화효과를 확인하여 피부보호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련초를 5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과 이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지표인 FSC50과 OSC50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OSC50은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보다 2.7배 이상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시료의 세포 내 활성산소 종 소거능과 H2O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1O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광용혈에 대한 지연효과의 평가에서 64 μ g/m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적혈구 광용혈의 소요시간을 6배 이상 지연시켜 한련초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반영해주었다. 한련초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s68에서 추출한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16 μ g/mL의 두 시료 모두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각각 6.8%와 14.0% 억제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련초가 식품 또는 화장품 등의 소재로 사용됨에 있어 화학적 방부제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항균실험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그람 양성 균주 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mehyl paraben과 동등하거나 더 뛰어난 항균활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통해 한련초는 피부보호 소재 또는 천연방부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천연소재라 생각되며,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돌나물(Sedum sarmentosum)의 기능성과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돌나물을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에탄올로 추출한 후 -20 ℃에 저장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돌나물 의 에탄올 추출물(SE) 내에 포함된 총폴리페놀화합물(TPC)의 함량은 27.98 ± 0.34 g/kg (건조중량)이었고, epicatechin (162.14 ± 5.07 mg/kg), epigallocatechin (55.99 ± 2.49 mg/kg) 및 kaempferol (47.96 ± 3.02 mg/kg)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E는 organic radical 소거효과(78.43 ± 1.08%) 와 금속이온환원능(FRAP value 2.54 ± 0.12)을 나타내었다. 또한 SE는 지질과산화 반응의 초기 단계(FTC assay 62.03 ± 0.38%)와 최종단계(TBARS assay 55.36 ± 2.05%)를 저해하였다. SE (5 mg/mL 건조중 량)는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SE의 elastase 저해율은 38.94 ± 7.09%이었 고, collagenase 저해율은 78.94 ± 2.49%이었다. SE 처리구는 Col3A1 발현양이 증가하였고 collagen 생성율 은 대조구보다 58.11 ± 1.07% 높았다. 0.5% SE가 함유된 수중유적형 크림은 pH 6.88, 밀도 1.47 g/mL이었 고, 다양한 온도(-20 - 45 ℃)에 4주간 저장하는 동안 크림은 안정한 유화상태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SE는 항균, 항산화, 항노화 활성을 지닌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큰뱀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과 주름에 관련된 tyroinase,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4.70 μg/mL로 측정되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 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큰뱀무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ethyl acetate 분획 0.22 μg/mL로,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큰뱀무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큰뱀무 추출물의 경우 1 ~ 25 μ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은 10 μg/mL 농도에서 τ50이 416.2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측정으로는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를 측정하였는데 ethyl acetate 분획에서 95.23 μg/mL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50 % 에탄올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이 각각 6.27, 4.31 μ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큰뱀무 추출물이 1O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큰뱀무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분석 결과 유산균 발효에 의해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1.00 %의 농도에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86.34, 76.82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49.78, 40.80 %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 0.50 %의 농도로 처리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 (COL1A1)은 828.13 % 증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은 87.88 %, tumor necrosis factor (TNF)-α는 99.92 %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항산화, 주름, 항염에 효능을 보이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뀌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과를 통한 항노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에서 5.23 µg/mL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여뀌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0.40 µg/mL)이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뀌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경우 1 ~ 10 µ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aglycone 분획(8.90 µg/mL)에서,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도 aglycone 분획(2.37 µg/mL)에서 가장 큰 저해활성을 나타났다. 여뀌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에 대한 실험 결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초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와 tyrosinase 저해효과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50 % 에탄올 추출물(15.0 µg/mL) < ethylacetate 분획(4.5 µg/mL)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0.9 µg/mL)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Fe³+-EDTA/H₂O₂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현초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에탄올 추출물(OSC50, 0.23 µg/mL) < ethylacetate 분획(0.16 µg/mL) < aglycone 분획(0.04 µg/mL)순으로, aglycone 추출물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현초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 ∼ 50 µ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에서 50 µg/mL 농도에서 τ50이 676.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Aglycone 분획은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활성(IC50)이 각각 70.0, 19.9 μ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70 nm)에서도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quercetin, kaempferol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5.3 %, 82.8 %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현초 추출물이 ¹O₂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현초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tate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도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에 대한 결과의 일부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나머지 37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으로 인한 luminol의 화학발광을 이용한 소거 활성, 사람 적혈구를 대상으로 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free radical의 소거 활성(FSC50)은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5 g/mL),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 g/mL)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50)은 상수리나무 잎(Quercus acutissima)과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에서 0.009 g/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보호 효과( 50)는 50 g/mL에서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95 min),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640 min)에서 크게 나타났다. 200 g/mL에서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77.8 %),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76.2 %)에서 큰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대싸리 수피, 소귀나무 수피, 상수리나무 잎, 버드나무 줄기, 동백나무 잎/줄기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 제품화를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