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osymbionts of the genus Buchnera, which belong to γ-Proteobacteria, reside in specialized cells known as bacteriocytes. In this announcement, we present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uchnera aphidicola (Aphis gossypii) isolated from Aphis gossypii with Plantago asiatica. The genome spans 628,098 base pairs and has a GC content of 25.4%. A total of 589 CDs, 32 tRNAs, and 3 rRNAs were predicted. Interestingly, the evolutionary rate of the endosymbiont's genome, inferred from intraspecific variations, may be slower than that of the host's mitochondrial genome.
Metarhizium은 대표적인 곤충병원성 진균 중 하나로,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 곤충에게 병원성을 일으키는 폭 넓은 기주범위를 형성한다. 이들이 주로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destruxins (DTXs)이라는 2차 대사산물은 살충 활성 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 항증식, 항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능이 연구되고 있어, 해당 물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살충 물질로서의 DTXs는 여러 곤충에 있어 병원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해충 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일으킴과 동시에, 화학 살충제 저항성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목화진 딧물에 대해서는 아직 DTXs의 역할이 연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화진딧물에 대해 곤충병원 성 진균 Metarhizium spp.의 병원성 발현에 DTXs가 미치는 역할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qPCR을 활용하여 진균 처리 후 목화진딧물 사망 시간과 관련하여 충체 내 DTX 합성효소의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Aphis gossypii is a representative pest that transmits plant viral diseases. It is difficult to control with chemical pesticides alone due to their high pesticide resistance. Entomopathogenic fungi are biological control agents that can replace chemical pesticides and have characteristics of high host specificity and safety to human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immune pathways of aphids against initial infection by entomopathogenic fungus. We treated aphids with the Beauveria bassiana JEF 544 strain and examined the immune response in early infection by qPCR. furthermore, we also studied changes the molting time of nymphs and changes in adult nymphal production caused by entomopathogenic fungi.
식물에 전기장을 처리하면 식물의 생장속도가 빨라지거나 영양학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음이온 처리 시 식물에 전기장을 처리한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이온을 온실해충인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에 처리하여 방제효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음이 온 처리 시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에서 살충효과와 기피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점박이응애 알에서도 음이온 처리가 부화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온실에서 밀도실험 결과, 700,000 ion/cm3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밀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이온 처리 시, 부가적인 효과로 온실해충(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에 대해 친환경적 방제 가능성을 보여준다.
살충제 저항성 목화진딧물 집단(완주, 춘천, 고성)에 대한 3종(afidopyropen, chlorfenapyr, cyantraniliprole) 약제별 감수성과 혼용에 따른 방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3개 야외집단에 대해서 3약제 모두100배 이상의 저항성비를 보였다. 혼합제의 협력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반수치사농도(LC50) 을 이용한 조합지수(CI), %M(synergism), 연합독성계수(CTC), 와들리 비율(WR), 상승비율(SR)와 사충률을 이용한 아보트 비율(AR)로 비교하였 다. Afidopyropen + chlorfenapyr은 모든 야외집단에 대해서 살충활성의 증가를 보였고, chlorfenapyr + cyantraniliprole, afidopyropen + cayntraniliprole은 완주, 춘천 집단에 대해서 살충활성의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chlorfenapyr + cyantraniliprole (CI, 1.63; %M(synergism), 30; CTC, 64.0; WR, 0.6, AR, 0.54)과 afidopyropen + cyantraniliprole (CI, 6.7; %M(synergism), 1; CTC, 19.8; WR, 0.2, AR ≤ 0.55)은 고성 집단에 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포장조건에서도 afidopyropen + chlorfenapyr, chlorfenapyr + cyantraniliprole, afidopyropen + cyantraniliprole 은 99% 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여 향후 살충제 저항성 목화진딧물 방제용 혼합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Soybean aphid, Aphis glycines Matsumura has been identified as a pest of soybean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use of synthetic chemical insecticides is a major option to manage this pest, but the demand for environmental-friendly insecticide is increasing. Entomopathogenic fungus is one of the alternatives which is safe for the environment. In this bioassay, leaf dipping method was used to evaluate Beauveria bassiana (Balsamo) Vuillemin ARP14 and GHA. The mortality of both adults and nymph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fungus strains. However, faster mortality rate in both life stages of aphid was found in ARP14 compared to GHA strain. Also, the mycosis rates of both adults and nymphs were higher in ARP14 than in GHA strain. Our results suggest that B. bassiana ARP14 can be an effective and an environmental-friendly control agent for A. glycines.
The cott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Hemiptera: Aphididae), is the world-wide agriculture pest and has the ability to become resistant to many pesticides. Hence, we conducted behavioral tests on apterous and alate aphids for series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by using a two-choice test, a no-choice test, a host choice test and electroantennography (EAG). As a result, we found 3 out of 30 compounds for apterous aphids and 2 out of 15 compounds for alate aphids, both of which showed powerful repellent effects on these aphids.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our findings could be useful and eco-friendly spatial repellents for controlling cotton aph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