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ybean aphid, Aphis glycines Matsumura has been identified as a pest of soybean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use of synthetic chemical insecticides is a major option to manage this pest, but the demand for environmental-friendly insecticide is increasing. Entomopathogenic fungus is one of the alternatives which is safe for the environment. In this bioassay, leaf dipping method was used to evaluate Beauveria bassiana (Balsamo) Vuillemin ARP14 and GHA. The mortality of both adults and nymph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fungus strains. However, faster mortality rate in both life stages of aphid was found in ARP14 compared to GHA strain. Also, the mycosis rates of both adults and nymphs were higher in ARP14 than in GHA strain. Our results suggest that B. bassiana ARP14 can be an effective and an environmental-friendly control agent for A. glycines.
        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초파리를 당뇨병을 연구하는데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당뇨병이 유전적 요인에 작용하여 다음 세대에 미치 는 영향을 다루고 있는 연구는 적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파리에 고당도의 먹이를 통해 당뇨병을 유발하고, 류신(leucine)의 당뇨병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하고 다음 세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는 Drosophila melanogaster를 초파리 모델에 사용했다. 먹이에 고농도의 설탕, 고농도의 설탕과 류신을 첨가하여 당뇨의 발병과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확인했다. 당뇨병의 발병을 확인하기 위해 초파리의 체내의 포도당을 측정 하여 대조군에 비해서 고농도의 설탕을 섭취한 경우에 포도당의 농도는 증가했고, 류신을 섭취한 경우에는 포도 당이 대조군에 비해서도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고농도의 설탕이 포함된 먹이 조건을 유지하고 교배를 통해 자손을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의 설탕을 섭취한 경우 자손의 몸의 크기가 0.1mm 정도 감소하고 무게 또한 감소했다. 그러나 고농도의 설탕과 류신을 섭취한 경우 자손을 얻지 못했다. 당뇨병을 유발시킨 초파리 를 이용해 류신과 운동의 효과를 동시에 확인했다. 당뇨병이 유발된 경우 운동만으로는 포도당의 감소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류신 운동을 병행한 경우에는 포도당이 감소했고 수컷 초파리에서 잘 관찰되었다. 운동과 류신 섭취를 병행하는 실험에서는 당뇨병을 유발한 초파리의 자손을 사용했기 때문에 크기는 당뇨병을 유발하지 않은 것보다 작았다. 따라서 초파리의 당뇨병 모델을 통해서 당뇨병이 유전적으로 전달되며 Leucine에 의한 치료 는 성충에 수행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 monocytogenes는 Listeriosis를 일으키는 중요한 식중독 균으로 현재 국내 식품공전에서는 증균배양을 기초로 검출하며, 규격은 불검출로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Listeria 종 간의 혼합오염시 증균 과정에서 경쟁생육이 존재하여 L. monocytogenes 위음성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국내 식품공전은 L. monocytogenes 증균을 위한 1차 배지로 규정되어 있으나 LEB 배지에서의 Listeria 종 간의 생육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식품에서 주로 검 출되는 Listeria 속 4종(L. monocytogenes, L. innocua, L. ivanovii, L. seeligeri)을 LEB배지에 혼합배양하며 증균과 정에서 생육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L. innocua에 의해 L. monocytogenes의 생육이 저해되며, L monocytogenes가 L. innocua보다 초기균수가 2.0 log CFU/ mL 이상 오염이 되어있어야지만 L. innocua보다 생육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Listeria 종 간의 혼합오염이 있 을 경우 현재 검출법으로는 L. monocytogenes의 검출이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L. monocytogenes 검출 율을 높이는 새로운 증균배지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는 L. monocytogenes 검출률을 높여 국내 식품의 식품 안전에 기여 할 수 있으며 국내 식품 관리 규격 개정 시 기초가 되는 참고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7.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동화 MPN 분석 장비인 TEMPO (TEMPO BC)와 MYP 배지법을 이용한 바실러스 정량 시험 결과에 대한 상관관계와 유의성을 연구하였다. 자연적으로 오염 되어 있는 B. cereus 다빈도 검출 식품을 선별하여(N = 384) 두 시험법으로 정량 시험한 결과값의 차가 1 log CFU/g 미 만이 95.3%였으며, B. cereus가 검출된 시료에서는 92.5% 였다. 통계학적으로 TEMPO BC 시험법과 MYP 배지법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 < 0.05). 국내 정량 규격이 있는 식품에 인위적으로 B. cereus를 접종하고 두 시험법을 비교 하였다. R2값은 소스류(0.98), 조림식품류(0.98), 젓갈류(0.96) 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생식류(0.94), 청국장류 (0.86), 된장류(0.71)는 시험법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콩, 메밀 등의 곡류 제품은 TEMPO BC 결과값의 오류가 날 수 있는 재료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선식류와 청국 장류, 된장류는 자동화 시험법인 TEMPO BC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험법을 추가적으로 검증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자연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식품 시료와 인위적 으로 접종한 시료에 대한 선형 방정식은 log(TEMPO BC) = 0.8453 × log (MYP배지) + 0.1642이며 paired t-test를 이용 하여 검증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최근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여 식품공전 및 국제 기준에 정량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TEMPO BC의 수요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비 하여 식품의 안전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존의 실험법과의 비교 및 타당성 연구 기초 자료로 쓰일 것이라 생각된다.
        4,000원
        9.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 건강에 유익한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배변을 촉진하는 효능을 지닌 붉은팥을 식품 발효에 이용되는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발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붉은팥의 일반성분은 회분 3.35±0.04%, 조단백질 21.1±0.19%, 조지방 0.35±0.02% 함 유되었다. 붉은팥 원물 1%, 3%, 5%와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3% (v/v)를 접종하여 0, 24, 48, 72시간 배양 하였다. 배양액의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붉은팥 원물을 3%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군에서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발효가 가장 적합하였다. 발효 시간에 증가함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은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군(2.69±0.003 unit/mL)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발효시간과 붉은팥 원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α -amylase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군에서 0시간 배양군(1.0±0.1 unit/mL) 보다 26.0±0.2 unit/mL로 증가하였다.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72시간 배양한 후 유리아미노산을 측정한 결과 leucine은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0시간 배양군 5.22 mg/L 에서 67.59 mg/L로 증가하였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인 tyrosine은 5% 첨가 0시간 배양군 10.08 mg/L에서 259.35 mg/L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붉은팥을 발효하면 항산화 활성, protease 효소활성, 및 α-amylase 효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유리아미노 산과 유기산이 증가하였다. 붉은팥을 발효하는데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붉은팥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성화시켜 장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 하였다.
        1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the fraction for testing the efficacy of the Astragalus extract was concentrated active ingredient. The concentrated fraction was applied to a cosmetic material that Astragalus testing results confirmed that the improved efficacy. Methods and Results : The fractions were performed using an n-butanol solvent for increasing the efficacy of the Astragalus extract, by using the material fractions collected to compare and ultimately an increase in whitening and wrinkle efficacy. The solvent to be used in the fractions was used for the n-butanol good dissolution to the effective substance(Astragaloside, Isoflavonoid). It increased approximately 6.5 times the sample extract and the n-butanol fraction of the Astragalus as a result Astragaloside 15 ppm, 97 ppm respectively analyzed by HPLC equipment, isoflavonoid content was confirmed by an increase in the content of the fractions increased 4.5 times to 280 ppm, 1,260 ppm.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respectively IC50 5.70 mg/mL, IC50 1.02 mg/mL to, Collagenase producing ability is IC50 4.88 mg/mL, IC50 0.93 mg/mL with n-butanol fraction was good whitening, anti-wrinkle efficacy than the extract.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e same amount of sample, using a purified Astragalus cosmetics received high marks. Stability evaluation(MTT assay) was checked for more than 100% cell viability at the concentration 2,000 ppm. Conclusion : n-butanol fraction of Astragalus was subjected to a component analysis and In vitro test, it was confirmed an increase active ingredient content.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nd stability evaluation, it was confirmed been made to improve qualities as a cosmetic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