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lobal apparel manufacturers have produced apparel and textiles to meet consumers’ needs. Recently, they have applied the sophisticated technologies and more effective organizational systems to improve the efficiencies in apparel product development and their applications have led to enhancement of consumers’ satisfaction (Kunz, Karpova, & Garner, 2016). In this study, we identified novel approaches of product innovation strategies includ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ort which a representative mass-scale Bangladeshi apparel manufacturer, Ananta Group has practiced.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managerial staffs who were managers and assistant managers working a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duction, marketing and quality control departments in Ananta Group. The interviewees were male employees having degrees higher than bachelor’s degree in textile engineering. Their work experience years ranged from 5 to 15 years within their respective fields and their ages ranged from 28 to 55 years (m=40). Qualitative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t was found that Ananta Group has used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advanced softwares, process systems and machineries i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its organizational effort of running specialized teams of desig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activities has enhanced technological innovation. These findings provide global apparel manufacturers with valuable information on how product innovation strategies for new apparel development are important and what technological approaches can be used to accomplish i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both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at large discount stores,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each dimension of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satisfaction with PB apparel products and on repurchase intension.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64 large discount store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buying PB apparel products at large discount sto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rchased PB items and image, improvement of PB apparel products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Second, the dimensions for store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convenient of shopping environment, product quality, customer service, advertising reach, convenient location, and reasonable prices. The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material handling management, quality, fashion ability, and brand power. Third, generally, both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at large discount stor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B apparel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PB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males were partly affected by store attributes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PB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of females, however, were partly affected by only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not store attributes.
본 연구는 제1보와 제2보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1) 동작인식형 입력기술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이하, DMDI로 약칭함)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2) 소비자의 잠재적 수요에 기초하여 DMDI의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2보에서는 제1보에서 도출된 DMDI의 가능성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디자인 지침을 토대로 하여 의류상품으로서의 착용성과 실용성, 상품성을 갖춘 DMDI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형 디자인을 설계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5가지의 DMDI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제1보와 2보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1) 동작 인식형 입력기술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이하 DMDI로 약칭함)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2) 소비자의 잠재적 수요에 기초하여 디지털웨어의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1보에서는 소비자의 DMDI 대한 잠재수요를 고찰하기 위하여 디자인 에스노 그래피적 견지에 기초하여 개발된 심층면접 방식 및 범주분석 방식을 취하였다.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DMDI를 위한 7가지의 가능성 있는 어플리케이션 영역과 6가지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대문 패션시장의 의류제품 품질구성요소를 알아보고, 품질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지역의 20대 이상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하였으며,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설문지방식으로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요인분석,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의류제품 품질구성차원은 심미성, 의복 관리성, 실용성, 상징성, 개성 차원의 5개로 구성되었다. 즉 심미성은 색상, 디자인 등 미적요소를 의미하였고, 의복 관리성은 의류제품을 구성하는 세부속성들의 관리 측면을 설명하였다. 또 실용성은 활동의 편안함, 착탈의 편안함 등의 의복착용의 실용적인 측면을, 상징성은 사회적인 품위와 지위를, 개성표현은 유행성이나 상품의 차별화 항목을 의미하였다. 그리고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개성차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격차분석 그래프 상에서 심미성은 I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강점 항목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상은 IV영역으로 품질개선이 요구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징성, 관리성, 실용성은 III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출점과 성장을 해온 대형마트 점포수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신규 출점은 계속적으로 지속될 전망이고 향후 대형마트 성장세는 둔화되나 점 포수 등 외형적 성장은 계속되는 가운데 상품 차별화 추구, 고객 니즈부응, 고마진획득 등이 지속적으로 가능해져 PB상품 개발이 불황 국면 극복을 위한 저성장 시대의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 된다. 또한 국내 3대 대형마트가 의류PB 브랜드 를 계속적으로 출시, 확장하고 있는 상황과 운영전략에 대해 연구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형마트의 PB의 성공사례와 문제점을 도출하여 PB의 필요성에 대해 차별화와 고이익 창출을 위한 성공 적 전략 방안을 논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형 마트 PB의 개념과 전략 방안 및 성공사례와 전 망을 살펴보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빠른 성장을 보이는 PB를 단 순히 유통업체가 상품을 유통시키면 된다는 제한된 역할 수행에서 벗어나, 제조업체가 지닌 유통 채널에 대한 지배력을 얻을 수 있 다는 것을 의미 확장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미 세계 주요 선진 유통업체들은 자사의 상품차별화와 수익성향상을 위해 PB상품 개 발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국적전략 및 외형적 확장, 더불어 높은 재무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좋은 사례는 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할인점의 포화에 따른 새로운 대안을 위해서는 차별화된 PB운영 전략이 필요함을 국내3개 주요할인점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특히 의류 PB상품은 철저한 시장분석과 디자인트렌드 및 고객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로 차별화된 상품력 및 고마진 획득을 통해 출점 정체된 대형마트 지속성장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좋은 계기를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여 할 인점 출점 한계에 따른 새로운 상품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할인점 주요 3개사의 경영실적과 세계 몇 개국의 대표적인 PB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국내 전체 소매 산업에 일반화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향후에는 국내에 입점된 다국적 SPA 브랜드와 국내 할인점 PB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가치를 극대 화한 의류PB 확대전략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