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8주간의 고강도 동계 훈련 시 L-아르기닌 섭취가 남자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경기수행능력, 젖산, 젖산탈수소효소 및 암모니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L-아르기닌 섭취군 (n=14), 위약군(n=14)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L-아르기닌 섭취군은 일일 아침 1 g, 점심 1 g, 저녁 1 g으로 총 3 g 섭취하였고 위약군은 말토덱스트린을 동일한 방법으로 섭취하였다. 8주간의 동계 훈련 프로그램은 70-90%HRR로 실시하였다. 측정된 자료의 L-아르기닌 섭취군과 위약군 간의 그룹 및 시기 간 상 호작용 효과는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그룹 내 시기 간 차이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으 며,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TAAA (Taekwondo-specific aerobic anaerobic agility) test를 통한 경기수행능력 중 평균 발차기 수에서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 가 나타났으며 그룹 간 주효과가 나타났다(p<.05). 또한, 발차기 피로지수에서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 과가 나타났다(p<.05). 한편, 젖산에서는 시기 간 주효과가 나타났으며(p<.05) 젖산탈수소효소에서 상호작 용 효과 및 시기 간 주효과 나타났다(p<.05). 암모니아의 경우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p<.05). 이러한 결과는 남자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고강도 훈련 후 피로에 쉽게 노출되는 선수들에게 L-아르기닌 섭취로 인해 체내 피로 유발 물질들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고강도 엘리트 태권도 겨루기 운동선수의 경기수행능력 향상과 피로 회복 방법으로 L- 아르기닌 섭취를 권장한다.
        4,5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co-friendly material was synthesized through interfacial polymerization of aniline on particles of g-C3N4 with arginine, resulting in Arg-PANI@g-C3N4 composite. The as-synthesized composite was characterized by the Brunauer, Emmett, and Teller (BET) surface area, X-ray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X-ray diffraction (XRD). The adsorption capability of as-synthesized composite towards Orange G (OG) dye has been evaluated under several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adsorbent dosage, initial dye concentration, contact time under agitation, pH of dye solution and temperature. Thermodynamics parameters such as free energy (ΔG°), entropy (ΔS°), and enthalpy (ΔH°) were also calculated and suggested that the adsorption process is spontaneous and endothermic in nature. The kinetics data revealed that the adsorption of OG dye onto Arg-PANI@g-C3N4 follows the pseudo-second order kinetics model.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found to be 80.54 mg·g−1. Furthermore, the Arg-PANI@g-C3N4 surface exhibited a Langmuir-like adsorption isotherm in contrast to a Freundlich isotherm due to homogeneous active site distribution. Regeneration investigation showed the excellent reusability of Arg-PANI@g-C3N4 composite during the cleaning up of solution containing OG dye molecules.
        4,300원
        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arginine 섭취가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카누선수의 근 손상 지표, 피로 물질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카누 선수 7명을 대상으 로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화, 목), 주 3회 의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6주 과정 중에 처음 2주는 약물섭취(L-arginine or 위약)를 실시하고 다음 2주는 wash out, 그리고 마지막 2주도 약물섭취(L-arginine or 위약)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들이 L-arginine 섭취(시험군)와 위약 그룹(대조군)으로 배정되는 교차설계로 디자인하였다. L-arginine은 하루 총 3g으로 섭취하였다. 채혈을 통해 L-arginine 섭취에 따른 근 손상 지표, 피로 지표, 항산화력을 확인하였으며, 혈관내피세포기능 분석을 위해 FMD, 그리고 카누 에르고미터를 활용하여 카누 경기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L-arginine 섭 취에 따른 Ammonia, IP, CK의 수준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LDH의 수준은 L-arginine 섭취로 인해 PLA 그룹보다 ARG 그룹에서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rginine 섭취에 따른 Total NO, d-ROMs, BAP, 그리고 FMD의 수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카누 경기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500M 카누 에르고미터 결과에서 총시간, 스트록 거리, 평균 속도 분석에서 L-arginine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L-arginine 섭취로 인해 근손상 지표, 피로 지표, 항산화력, FMD, 그리고 카누 경기력 수준이 개선되는 경향은 나타 났다. 따라서 L-arginine 섭취의 잠재적인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endoparasitoid wasp, Cotesia plutellae parasitized young larval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Parasitized larva exhibit significant immunosuppression and fail to metamorphose to pupal stage. Especially, during last instar of parasitized P. xylostella, massive nutrients divert from host to wasp development. HTIF (host translation inhibitory factor) encoded in C. Plutella bracovirus (CpBV) play a crucial role in suppressing host usage of amino acids. However, its inhibitory activity is selective by discriminating mRNAs based on their 5’UTR secondary structures. Our RT-PCR and proteomic analysis indicated that arginine kinase mRNA was inhibited by HTIF, but imaginal disc growth factor was not. Arginine kinase and IDGF were persistently expressed in parasitized P. .xylotella with the gradual decrease at the late parasitisation period. Expression of arginine kinase and IDGF were also tissue specific in the gut/epidermis and haemocyte but not in fat bodies. Subsequent analysis of these gene functions by RNA interference explained the benefit of parasitoid for the mRNA discrimination by HTIF.
        5.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green tea tannin ameliorates abnormal arginine metabolism as the result of excessive arginine, we have assessed the effects of the administration of green tea tannin mixture in rats treated 30 days with 2% arginine. In the arginine-treated group, the level of guanidino compounds such as arginine (Arg), guanidinoacetic acid (GAA), creatinine (Cr), methylguanidine (MG) and guanidinosuccinic acid (GSA), nitric oxide, urea, protein and gluco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erum, urine and kidney, whereas the oxygen species-scavenging enzymes of kidney wer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non-argmme-treated group. By way of contrast, the administration of green tea tannin reduced blood urea nitrogen and serum creatinine, and reduced the urinary excretion of guanidinoacetic acid, creatinine, and NO2-+NO3-. The increased levels of urinary urea, protein and glucose in the arginine-treated group were also lowered by the administration of green tea tannin. In these groups,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in the kidneywere increased, thereby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radicals in the normalizing of kidney fun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bnormal renal function induced by the adminstration of excessive arginine in rats may be restored by treatment with green tea tannin.
        4,000원
        6.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대두유의 항온저장시 tryptophan과 arginine의 첨가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 및 기존 항산화제들의 항산화력에 대한 상승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지의 항온저장시 tryptophan과 arginine을 각 농도별로 첨가한 경우 모든 시료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tryptophan 1%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좋았고 그 정도는 TBHQ를 첨가한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tryptophan과 arginine첨가시료는 α-tocopherol보다 월등히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tryptophan과 arginine을 α-tocopherol, ascorbic acid, citric acid와 혼합하여 대두유에 첨가했을 때 α-tocopherol과의 혼합물이 상승효과가 가장 높았다. 또한 citric acid나 ascorbic acid의 혼합물도 약하지만 상승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tryptophan과 arginine은 유지에 대하여 항온저장시 모두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1%농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른 항산화제와 병용했을 때 상승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