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성주지역에 분포한 선사∼삼국시대 유적에 대해 정리하고, 지역 내 삼국시대 고 분의 편년과 성격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성주지역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의 거주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고, 그 시작은 구석기시대 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성주읍과 선남면 일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이 다수 출 토, 채집되었고, 지역을 관류하는 이천(伊川), 백천(白川), 신천(新川) 등의 소하천 유역에 형 성된 하안단구상에 구석기시대 유적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신석기시대 유적은 아직 지역 내에서 확인된 바가 없지만, 성주와 인접한 김천지역의 송 죽리유적을 비롯하여 합천, 거창 등지에서도 신석기시대 유적들이 확인되는 것을 토대로 성 주지역 내에서도 신석기시대 문화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청동기시대 유적은 낙동강 및 지역 내 소하천 등지에 입석, 지석묘, 유물산포지 등 53개소 정도가 보고되어 있고, 성주지역에서 확인된 지석묘는 모두 165여기 이며, 입석은 6기이다.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유적도 지역 내에서 다수가 조사되었는데, 특히 백전·예산리유 적은 원삼국시대 전기에 목관묘를 축조하고 철기를 사용한 세력이 당시 성주지역 내에서 성 장,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대외교류 등을 통해 철기류와 같은 선진 문물을 받아 들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삼국시대가 되면 지역 내 3대 고총고분군인 성산동고분군, 수죽·용각리고분군, 명 천리고분군을 중심으로 많은 수의 고분군이 조영되는데, 60여개소의 삼국시대 고분군이 지 역 내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 중 성산동고분군 내에서는 22호분, 48호분, 수죽·용각리고분 군에서는 수죽리고분군Ⅱ 30호분, 353호분, 명천리고분군 내에서는 6호분 등이 최근 발굴 조사되었고, 성산성과 할미산성에 대한 정밀지표조사도 최근 실시되는 등 다양하고 활발한 조사가 지역 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성주지역 내 삼국시대 고분에 대한 편년은 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성산동고분군을 중 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지역색이 강한 성주양식 토기가 성주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낙동강 이동지역까지 확인되며, 대형의 판석조 석곽 역시 성주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중상류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7,8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evel of aging in Yanbian area has surpassed that in China so that the situation is very serious. With the high propor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poor elderly in Yanbian area and the premise of insufficient provision for the age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diversification of the elderly problem, the disparity of the elderly individuals, the weak awareness of the old-age planning and the weak subjectivity of the elderly. The home-based care for the elderly in Yanbian community is also facing great challenges. There are some problems in Yanbian community pension service, such as insufficient special funds, low level of professionalism, contradiction of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lack of a joint force among the main bearers of social work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dical treatment+supporting+nursing" combined, "four in one" multi-linked community home service model and set up a service network system for the elderly to realize the diversification of the service carriers for the elderly, fulfill the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service needs of the elderly groups in Yanbian in the process of service specialization to meet the diversified and individual service needs of the elderly groups.
        4,300원
        3.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지난 1990년부터 추진된 포동 개발·개방의 배경과 목적, 추진 과정에서 등소평의 역할, 구체적인 추진 방식, 네 개의 핵심 기능클러스터의 형성 등을 중국의 최근 자료에 기초하여 상세히 고찰하였다. 1990년 개발·개방을 시작한 이래 포동신구의 경제는 경이적인 고성장을 계속하였다. 포동의 GDP는 1990년의 60.2억 위안에서 2006년에는 2,365억 위안으로 급증해, 16년간 연평균 18.4%의 실질성장을 기록하였다. 또 2006년 말까지 외국인 직접투자 계약건수는 1만 4,910개, 계약금액은 357.1억 달러에 이르렀다. 타 성·시에서 투자한 국내기업도 9,300여 사이고, 등록자본은 600억 위안에 이르렀다. 그 결과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었던 포동은 이제 외향형, 다기능의 현대화된 신도시로 바뀌었다. 이제 포동은 중국 전역에서 가장 경제발전 수준이 높고, 주변에 대한 파급력이 강하며, 가장 개방적이고 국제화된 지역의 하나가 되었다. 포동의 개발·개방을 계기로 1990년대 이후 장강삼각주 경제권은 전체 중국경제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몇 가지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지난 15~16년간 포동의 개발·개방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8,100원
        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e bridge have been built by government over the several years. Additionally, there are too many mountain and river and the bridge have been built in rural area. But bridge designers weren't considering the bridge landscape. And bridge was a negative factor in regional landscape. Because of this, this study surveyed the landscape preferences of rural bridge landscapes according to different bridge typ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nd this research include conducting a study on visua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bridge's type and background. And, the landscape of arch bridge in the river 1 is landscape of the highest preference. The the landscape of girder bridge in the river 2 is landscape of the lowest preference. In the river 1 and 2 landscape, high preference is observed in the arch bridge and low preference is noted in the girder bridge. In the mountain 1 and 2 landscape, high preference is observed in the cable-stayed bridge and low preference is noted in the girder bridge. In conclusion, th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depend on the background and bridge shape, the study said. Therefore, when bridge designer design the bridge, designer have to choose proper bridge shap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ly in bridge landscape of rural area but th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arious backgroun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according to the various background.
        5.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measured with an aerodynamic particle sizer spectrometer(APS) at Gosan site, which is known as background area in Korea,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1. The temporal variation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entire averag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in the size range 0.25∼32.0 ㎛ is about 252 particles/㎝3. The number concentration in small size ranges(≤ 0.5 ㎛) are very higher than those in large size ranges, such as,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larger than 6.5 ㎛ are almost zero particles/㎝3. The contributions of the number concentration to PM10 and/or PM2.5 are about 34%, 20.1% and 20.4% in the size range 0.25∼0.28 ㎛, 0.28∼0.30 ㎛ and 0.30∼0.35 ㎛, respectively, however, the contributions are below 1% in range of larger than 0.58 ㎛. The monthly variations in the number concentration in smaller size range(<1.0 ㎛) are evidently different from the variations in range of larger than 1.0 ㎛, but the variations are appeared similar patterns in smaller size range(<1.0 ㎛), also the variations in range of larger than 1.0 ㎛ are similar too. The diurnal variations in the number concentration for smaller particle(<1.0 ㎛) are not much, but the variations for larger particle are very evident. Size-fraction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are dramatically decreased with increased particle size. The monthly differences in the size-fractioned number concentrations for smaller size range(<0.7 ㎛) are not observed, however, the remarkable monthly differences are observed for larger size than 0.7 ㎛.
        6.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pollution in roadside and residential areas of two Korean metropolitan cities (Seoul and Incheon) and a background area (Seokmolee). This purpose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temporal and spacial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total and 7 individual PAHs, which were extracted from ambient particulate matters, and by utilizing a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r the qualitative determination of potential PAH sources. Target PAHs included benzo(a)anthracene (BaA), benzo(a)pyrene (BaP), benzo(b)fluoranthene (BbF), benzo(k)fluoranthene (BkF), chrysene (Chr), dibenzo(a,h)anthracene (DahA), and indeno(1,2,3-cd)pyrene (IcdP). For all surveyed site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AHs were higher in winter season than in other seasons.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PAHs varied with surveyed sites. In both residential and roadside sites of Seoul and Incheon, BbF revealed the highest atmospheric levels. For all 7 target PAHs, the ambie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Seoul and Incheon than in a background area (Seokmolee). In both residential and roadside areas, the concentrations of 4 target PAHs (BaA, BbF, BkF, DahA) were higher in Incheon than in Seoul. However, both the residential and roadside Chr concentrations were comparable in Seoul and Incheon. In addition, the residential IcdP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Incheon than in Seoul, whereas the roadside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Seoul. The roadside and residential BaP concentrations exhibited the reverse result to the IcdP concentrations. An PCA analysis suggested that atmospheric PAHs in both residential and roadside areas would be due to combined effects of several potential sources such as gasoline- and diesel-fueled vehicles, coal/oil combustion, and waste incineration.
        7.
        200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계적으로 분석된 대구지역의 PM10 오염도의 시간적 및 공간적 특성과 대조지역에서 측정된 PM10 오염도에 근거하여 대구지역의 PM10 오염에 대한 저감 방안이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대구시의 지역특성에 따른 PM10 관리의 관점에서 볼 때 대구지역의 PM10 관리는 다른 지역보다는 도로변 또는 도로변 인근지역, 그리고 공업지역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지역적으로 PM10 관리 전략을 달리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남산동, 삼덕동 및 대명동을 포함하여 도로변 또는 도로변 인근의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의 PM10으로부터 건강 위해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동차 교통 관리가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노원동과 중리동을 포함한 공업지역 또는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의 PM10으로부터 건강 위해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동차 교통 관리 보다는 공단 배출 PM10 관리가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비록 만성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평균농도는 모든 지역에서 PM10 대기환경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지만, 급성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최대 농도와 결코 낮지 않은 PM10 대기환경 기준치를 초과하는 빈도수를 고려할 때, 대구지역의 PM10 관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이 강조된다. 대구지역의 시간대 별 PM10 관리 관점에서 볼 때, 대구의 일반 주거지역의 PM10 관리는 오전 10시에서 오후 1 3시에 집중되어야 효율적인 PM10 관리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공업지역인 중리동과 노원동의 경우, 다소 이른 오전 7시부터 오후 1 2시 사이에 PM10 관리가 집중되어야 효율적인 PM10 관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상업/주거 지역인 삼덕동과 대명동 그리고 도로변 지역인 남산동의 경우, 특정 시간대가 아닌 거의 전 시간대에 걸쳐 PM10 관리해야 하고 특히 자동차 배출 PM10 관리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대구지역의 요일 별 PM10 관리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지역에 대하여 일요일과 월요일의 PM10 농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집중되는 것이 PM10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구지역의 월 별 PM10 관리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지역에서 하절기인 7월, 8월 및 9월에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동절기인 11월 2월 보다는 오히려 이른 봄인 3월에 최대 농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모든 지역에서 3월에는 특별한 PM10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근본적인 문제점인 중국의 황사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중국과의 외교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대구지역의 계절 별 PM10 관리 관점에서 볼 때, 계절적으로는 모든 지역에서 봄철에 가장 PM10 농도, 그 다음이 겨울, 가을 그리고 여름의 순으로 나타났다. 봄철의 가장 높은 PM10 농도와 여름철의 가장 낮은 PM10 농도는 앞의 월별 PM10 농도 변화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황사와 장마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여름과 가을 보다 높은 PM10 농도를 나타내는 겨울철의 경우, 난방 연료 사용의 증가로 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청정연료 사용의 확대가 권장된다. 대부분의 경우, 대조지역에서 측정된 PM10 농도가 대구의 여섯 개 대기오염측정 지점에서 측정된 PM10 농도 보다 낮게 나타났고, 일부는 일반주거지역인 만촌동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구의 PM10 측정망 중에서 만촌동이 주위 PM10 오염원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주거지역임을 함께 고려할 때 대구시의 PM10 관리목표는 만촌동의 PM10 수준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