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考에서는 『般若心經』 呪文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을 漢語에서 ‘揭帝 揭帝 波羅揭帝 波羅僧揭帝/誐諦 誐諦 播囉誐諦 播囉僧誐諦’라고 對譯하고, 韓國 漢字 音으로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로 읽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고 아래의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梵語 ‘gate’를 ‘揭帝’를 써서 對譯한 것은 문제가 없다. 즉 梵語의 ‘g-’는 全濁聲母인 ‘羣母字’를 써서 對譯하였고, 梵語 ‘te-’는 舌尖塞音인 ‘端母字’를 써서 대역하였기 때문이다. (2) 梵語 ‘gate’에서 ‘ga’ 를 羣母字인 ‘揭’나 疑 母字인 ‘誐’로 대역할 수 있는 것은 ‘揭’의 中古音 추정음이 유성음 ‘g-'이고, 아음 ‘誐’의 中古音 추정음은 ‘ŋ-’로 ‘g-'와 조음 위치가 같으면서 次濁으로 기식이 적어 상대적으로 유성 무기음을 나타내기에 적절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3) 梵語 ‘gate’ 를 ‘誐諦’를 써서 對譯한 것에 대하여는 숙고한 결과, 梵語 ‘g-’는 단지 순수한 有聲 無氣音이 아니고 鼻音 성분이 내포된 音으로 인식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梵語 ‘t-’는 ‘諦’를 對譯한 것은 ‘帝’와 같이 舌尖塞音인 ‘端母字’를 써서 대역하였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4) 『般若心經』 呪文에서 ‘gate’는 漢語로 ‘揭帝’로 對譯한 글자를 쓰고 있지만, 韓國語로 ‘아제’로 읽는 것은, 梵語의 ‘ga’가 鼻音聲母인 것을 인식하고 漢語에서 ‘誐’로 對譯한 것을 따라 읽은 것이다. (5) 梵語 ‘pāragate’ 중의 ‘pā’를 漢語에서는 幫母字인 ‘波(播)’로 對譯하였다. ‘波(播)’는, 幫母字로서 漢語 에서는 無聲無氣音인 /p-/로 읽히고 있으며, 현대의 韓國 漢字音으로는 우리말의 激 音化현상에 의해 音이 변화하여 ‘파’로 읽히지만, 『東國正韻』시기에는 脣音 全淸 ‘바’ 로 주음했고, 『般若心經』의 呪文을 읽을 때도, 『訓民正音』시기의 音을 따라 ‘바’로 읽는다. (6) 梵語 ‘pāragate’에서 ‘-r-’는 에 해당하는 讀音은 漢語에 없으므로, 그것과 유사한 것으로 來母字인 ‘羅’를 써서 對譯하였다. 그러나 音譯本에서는 口邊字인 囉 를 만들어 梵語 ‘r-’을 나타내었다. (7) 梵語의 ‘pārasaṃgate’에서 ‘saṃ’은 曾攝字를 써서 對譯하였다. 梵語의 ‘-aṃ’은 漢語의 宕摄(/-ɑŋ/)과 曾摄(/-əŋ/) 그리고 梗摄(/-ɐ ŋ/) 등으로 나누어 배열하고 있으나, 굳이 曾攝字인 ‘僧’을 써서 對譯한 것은, ‘僧’의 문자학적인 의미에서 찾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았다.
In the early stage of foreign element words entering the Chinese system, the translator of Huaxue Jianyuan has established the translation principle of element names. It mainly uses monosyllable and phonetic Chinese characters. It determines 48 transliteration elements either by referring to the transliteration of element names in Jinshi Shibie or by self-formulation. 47 out of 48 characters are ligatures, 21 of which are newly-formed, and 26 are borrowed from unfamiliar inherent Chinese characters. It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high proportion of new characters, strong systematicness and applicability. There are 48 transliterated element names with recorded characters used by translators, 34 of which are still in use today. The transliteration principles established by translators and the selection or creation methods of transliterated element name character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ubsequent element name characters.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the translator of Jinshi Shibie transliterates names with foreign elements into multisyllabic Chinese word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found that the translator’s choice of Chinese characters to be used in the transliteration element was mainly based on Xiaoyun of Guangyun. The characters selected with the principles include those easy to write, easy to distinguish, commonly used, and used for systemization. The main reason for different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 transliteration name was mainly the switch of homophones or variant characters.
In the study of Thai-Chinese transliteration(referring to the Thai-Chinese Dictionary, The Foreign Name Handbook, and The World of Country Maps), it is found that some Thai place's names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but have different versions of pronunciation due to dialect language usage. The Thai-Chinese Dictionary transliteration, based on Chaozhou dialect, sound and pronunciation are quite different from Foreign Name Handbook and The World of Country Maps transliterations which are based on Mandarin pronunciation. To be more precise, there are [-p], [-t], and [-k] consonants in Thai language but there are only [-p] and [-k] consonants in Chaozhou dialect. When a Thai word which ends with [-t] sound, Chaozhou uses the [-k] sound instead. However, because there are no similar consonant sounds in Mandarin, Thai words must be uttered the same tone as existing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