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이 50대, 60대, 70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6월 1일부터 동년 9월 30일까지 부산에 위치한 I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뇌졸중 진단을 받고 발병일로부터 24개월이 경과한 50대, 60대, 70대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n; MMSE-K) 점수 18점 이상 23점 이하의 환자이며, 중재는 1회 30분씩, 주 3회, 9주 동안 Rehacom을 이용한 전산화 인지재활이 제공되었다. 중재 전과 중재 3주, 6주, 9주에 걸쳐 인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Modifi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3MS)과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와 기능적 독립측정(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을 시행하였다. 결과 : 중재 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능력에서 50대, 60대, 70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중재가 진행되면서 각 집단의 NCSE와 K3MS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공분산 분석에 의하면 중재 후 세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상생활활동 분석결과 50대 군은 중재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60대와 70대는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중재 후 세 집단 간 비교 시 FIM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연령에 따른 인지기능의 회복정도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전산화 인지재활을 통한 K-3MS의 점수향상과 연령은 MBI점수와 FIM점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이 발병일로부터 24개월이 경과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도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인지기능 향상은 고연령층에서 일상생활활동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나 연령이 높은 환자에게도 전산화 인지재활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4,800원
        2.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컴퓨터 보조 인지 재활프로그램으로 사용되는 Rehacom을 이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총 3명을 대상으로, 15인치 노트북과 컴퓨터 보조 인지 재활프로그램의 전용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1회기 치료시간은 30분이며, 10분씩 정해진 3가지 컴퓨터 보조 인지 재활프로그램(위치기억, 지속적 집중력, 공간적 조작 능력)을 6주간, 주 2회 시행하였다. ◉ 결과 : 대상자 A를 제외한 B와 C는 공간적 조작 능력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위치기억력, 지속적 주의력은 3명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Rehacom 치료 프로그램 적용 후 향상된 기능수준을 나타냈다. ◉ 결론 : 3명의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보조 인지 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위치적 기억과 지속적 집중력이 점차 향상되었으며, 일상생활이 이전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2011.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사례연구를 통해 근거중심의 컴퓨터-보조 인지 프로그램 중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MCOG)을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기억력 감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전산화 신경 인지재활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 대상자는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은 77세 노인 환자이다. 대상자의 인지치료는 COMCOG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인지기능은 CARDS, MMSE-K, COPM, ACL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치료 기간은 2010년 11월 20일부터 동년 12 월 21일까지 주 5회 4주간 총 20회기였다. 결과 : 컴퓨터-보조 인지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지치료 훈련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 단어지연회상(10개 단어, 물건), 재인지(10개 단어, 물건), 최근기억, 과거기억에서 의미 있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컴퓨터-보조 인지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지치료 훈련은 MMSE-K와 ACLS, COPM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컴퓨터-보조 인지 프로그램 사용이 치매환자의 기억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조기에 컴퓨터- 보조 인지 치료적 접근방법을 사용한다면 환자들의 삶의 질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4,200원
        4.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훈련 전, 후에 뇌 활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의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충남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80세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MMSE-K와 K-DRS를 이용하여 인지장애가 있는 치매노인 집단과 일반노인으로 구분하였다. 컴퓨터 보조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 중 주의력과 집중력 프로그램(AUFM)을 수행하기 전과 후에 뇌파를 측정하였다. 두피에 전극을 부착한 후, 대상자가 검은색 점을 3분간 응시하는 동안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과 : 일반노인군은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 수행 후 활동지수는 Fp1, F3, F4, T1, P3 영역에서, 집중지수는 F4 영역에서 유의한 변화(p<.05)를 보였다. 치매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뇌 활성이 증가되었다. 일반노인군과 치매군을 비교하면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 수행 전에는 F4 부위에서만 활성과 집중지수가 차이가 났지만 수행 후에는 F3, F4, T1, T2, P4 부위의 집중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의 활성화를 비교한 결과, 일반노인은 전두엽 영역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 치매노인은 전체적인 활성의 증가를 보였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집중력을 자극하고 훈련하는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뇌 신경생리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4,500원
        5.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find effectiveness of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with head injury patients through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CACR) program within various training programs. The subjects were three inpatient persons with head injury on Rehabilitation Hospital in Yonsei University and aged 28 and 14 and 2 woman and another man. It was used PSS CogRehab program during 15 days. Cognition,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were compared pre-CACR with post-CACR by LOTCA, MVPT and MBI. According to this case study, in spite of short-term period, the subjects had changed of performance skills of cognition,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were as follows : 1. LOTCA score of 3 cases showed increasing change after CACR performance, especially perception and visuoperception organization were increased. 2. Raw score was increased and processing time was controlled adjustable of MVPT within 3 cases. 3. MBI score of 3 cases were improved, especially dressing, feeding and toileting were improved each one step.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