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62

        8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지석묘라는 것이 과연 어떤 것인가 하는 고고학계의 관점을 학사적으로 검토하고 함안 분지 안에 분포하는 지석묘군의 매장시설 배치와 입지 및 분포에 대해 해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처음 지석묘 연구자들은 한 시대의 문화적 표지물이나 사회발전 단계의 증거물로 파악해 왔지만 최근에는 일정 경관 내의 기념물로 파악하는 관점이 우세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함안의 지석묘군은 일상의 주거와 섞이지는 않지만 일상의 주거군에서 멀지않은 장소에 축조되는 경향은 뚜렷하다. 함안분지는 주변 남강유역이나 남해안 분지의 양상과는 다르게 대규모 매장의례의 복합단지가 조성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 대신 지석묘가 취락 인근에 집중적으로 축조되어 왔다. 함안의 지석묘는 선상 배치되 는 양상이 뚜렷하고 그것은 당시 주민이 일상적으로 이동할 때의 교통로를 따라 배치된 결과일 가능 성이 크다. 특히 남북으로 길게 형성된 곡저평야 하천을 따라 선상으로 배치된 상석 열은 수백 년에 걸친 축조와 의례가 반복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상석 한두 개의 존재가 지석묘군의 위치를 말해주는데 상석 아래와 그 주변에는 10~20여 기 내외로 구성된 매장시설군이 분포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러 한 지석묘군이 길면 2km 이상 연접 배치되어 선상의 지석묘 대군집을 형성한다. 각각의 소군집을 매 장의례의 장소로서 공유한 공동체들이 서로 협상하고 협동하여 축조와 의례를 반복해온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석묘군을 경관 내의 특정한 장소라는 개념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석묘 가 구축된 장소에는 공동체적 경험과 역사적 서사가 깃들여 있어서 기억을 소환하는 능력이 있다. 특 히 기념물적 건축의 축조, 특정한 의미를 지닌 유물의 매납과 같은 수행을 통해 장소가 만들어지고 건 축물이나 매납물의 물질성에는 개인과 집단의 기억이 퇴적되고 오랫동안 역사적 서사가 소환된다. 함 안 분지의 열상배치 지석묘군에는 개인적, 공동체적 경험과 기억들이 퇴적되어 왔기에 역사적 서사들 이 길게 연장되면서 현재의 물질적 흔적이 남아 있는 기념물로 해석될 수 있다.
        6,600원
        83.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Changgyeong-gung was devastgated by Japanease invasion in 1592, it was restored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had remembered of early Joseon danasty's architecturural order. It was destroyed several times by fire after that but was rebuilt i㎜edieately. There are Donggol-do and Donggol-dohyeong, so we can fine the change of architectures in Changgyeong-gung. Jibbokheon(集福軒) and Yeongchunheon(迎春軒) are marked in another location and architectures in Donggon-do and Donggon-dohyeong. The reason has been known that it was rebuilt after the fire in 1830.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cord of birth of crown prince Sado and movement of coffin of King Jeong-jo in funeral ceremony, it was confirmed that notation of Jibbokheon and Yeongchunhyeon was misprinted. In particular, Yeongchunheon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existing building was built by extending it while applying the asy㎜etrical building with four-purlins structure metho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that it was reconstructed by moving Yeonyeonghap when it was destroyed by fire 1830. And although now Jibbokheon and Yeongchunhyeon(延英閤) are connected, nothern part of Jibbokheon did not burn in the fire, so it was judged that original architectural plan were maintained until now. The current building north of Jibbokheon was built before 1695 (21st year of King Sukjong), which was first identified in the Gunggeolji(宮闕志),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have been a part of Janggyeongmun(長慶門) inner corridor built before 1633. The present building north of Jibbokheon has great architectural significance in that it maintains the structural metho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was often applied to buildings with a small scale of inner palace.
        4,000원
        88.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Roller-compacted concrete pavement (RCCP) is a superstiff-consistency concrete pavement that exhibits excellent strength development owing to a hydration reaction and interlocking aggregates owing to the roller compaction. A zero-slump concrete mixture is generally used. Hence,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consistency of the RCCP mixtur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onstruction quality (such as material separation during paving). The workability of the RCCP is characterized by its consistency and controlled by the Vebe time, whereas a conventional concrete pavement is controlled based on the slump test. The consistency of the RCCP changes over time after concrete mixing owing to delivery, construction time delays, etc. Thus, it is necessary to use the optimum Vebe time to achieve the best construction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Vebe time prediction model for efficiently controlling the consistency of RCCPs according to random time variations. METHODS : A Vebe time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 dataset of 131 samples was used to develop the model. The collected data consisted of variables with large potential effects on the consistency of the RCCP, such as the water-cement ratio (W/C), sand/aggregate ratio (S/a), water content (ω), water content per unit volume (W), cement (C), fine aggregate (S), coarse aggregate (G), water reducing admixtrue (PNS), air-entraining admixture (AE), delay time (T), air temperature (TEM), and humidity (HUM).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mentioned parameters were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Vebe time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Vebe time prediction models were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adjusted R2 and p-values. The selection of the model was based on the largest R2 value and an acceptable p-value (p<0.05). RESULTS : The Vebe time prediction model achieved an adjusted R2 value of 64.14% with a significance level (p-value) of less than 0.05. This shows that the predictive model is adequately described for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at the model is suitable for Vebe time predictions. Moreover,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is less than 0.05, indicating significant effects on the Vebe time (i.e., the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 The Vebe time predi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imate Vebe times with an R2 of 63.33% betwe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values. The proposed Vebe time prediction model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quality control of RCCP mixtures. Moreov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hieving good RCCP construction quality.
        4,000원
        100.
        202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옥천 이성산성의 고고학적 조사 성과에 기초하여 그 축성과 운영의 특징을 간략 하게나마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성산성은 삼국시대 신라의 굴현 지역인 옥천군 청산면과 청 성면 일대를 아울러 관리하기에 매우 유리한 위치에 축성하였다. 그리고 가까이는 신라 삼 년산군인 보은 지역, 나아가 영남 중북부 지역과의 교통이 용이한 지점에 위치한다. 이성산성의 초축 성벽은 판축기법을 적용하여 토축성벽으로 축조하였으며, 후대에 지속 적으로 수개축되었다. 특히 초축성벽인 토축성벽 외측에 부가하여 석축으로 성벽의 입면을 이루도록 개축한 부분은 매우 특징적인 모습이다. 성 내부에 대한 조사는 남서쪽 지역 일대 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서 확인된 목곽고, 원형수혈군, 석축 집수시설 등은 성 내부 에 각각의 용도와 기능에 따른 다양한 시설물이 조성되었음을 보여준다. 각 유구에서는 주 로 6~7세기의 신라 토기와 기와 등이 출토되어, 축성 주체가 삼국시대 신라임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특히 저장시설로 추정되는 목곽고와 원형수혈군의 존재는 이성산성이 수행한 역할과 관련하여 의미있는 자료로 여겨진다. 이성산성의 축성 위치와 성 내부에서 확인된 유구의 성격을 통해 성은 신라가 5세 기 후반 소백산맥을 넘어 금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삼년산군 아래 굴현 지역 을 관할하는 중심 거점으로 역할하기 위해 축성한 성으로 보았다.
        5,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