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light of the expanding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 we attempted to analyze how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e use of Machine Translation (MT) tools in the classroom.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ability to use MT tools and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MT-generated output, along with measuring students’ general sense of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This research analyzed 183 EFL college students’ responses to an online survey, and a one-way ANOVA was used to test for the differences in the averages of three group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revealed that 1) Among beginners,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those self-identifying as advanced had the highest scores on all the factors measured.; 2)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ability to use MT tools, their beliefs regarding MT’s effectiveness as a learning tool, and affective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MT tools between beginner and advanced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MT tools in the Korean EFL classroom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5,700원
        2.
        201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differences, if any, of EFL learners' and teachers'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perception of the role of grammar instruction and error correction in L2 learning. For this study 617 college students, 53 non-native teachers, and 41 native teachers were asked to respond to a survey questionnair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some discrepancies were evident between the two teacher groups in perception of grammar instruction, while they shared similar perceptions of error correction; 2) the more proficient in English the students were,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two constructs they showed; and 3) the Korean teacher group and students showed less negative perceptions of grammar instruction than the native teacher group, whereas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two teacher groups were noticeable. Teaching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view of the necessity of exploring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grammar instruction and error correction.
        5,7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plored usage patterns of English coordinating conjunctions(CCs) in Korean EFL learner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written corpus. Focusing on the morpho-syntactic use and cohesive functions of and, but, or and so as focal examples in academic pros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employed. Findings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opinion essays showed that both groups used and most frequently, which is used mostly in word/phrase levels rather than in clause levels. On the other hand, so is especially used as a clause-level CC. Because or and and used most frequently in word/phrase levels are recognized easily as CCs, they rarely appear in a sentence-initial position. By contrast, so and but used more often in a clause level appear in a sentence-initial position more frequently, which may lead L2 learners to confuse CCs with connective adverbials(CAs). Based on the Subset Principle, it may be interpreted that morpho-syntactic properties on CAs in Korean transfer to those on English CCs due to the morpho-lexical difference of CCs between the two languages.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1 transfer seems to gradually retreat at an intermediate level where L2 learners start to perceive the registers of academic prose.
        6,400원
        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6.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어 재귀사의 해석 가능한 선행사가 문장 안에 잠정적으로 두 개 존재할 때, 한국인 EFL 학습자들이 영어의 통사적 제약보다 그림으로 주어지는 맥락 정보에 기반하여 재귀사를 해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이 그림맥락이 주는 정보를 가지고 영어 재귀대명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복문 내포절의 정형성 여부에 따라 선행사 판단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인 성인 EFL 학습자 23명과 영어 원어민 화자 11명이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총 80개의 영어문장이 다양한 그림과 함께 제시되는 그림기반 진리값 판단과제(Picture-based Truth-Value Judgment)를 온라인으로 수행하였으며, 전반적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인 성인 EFL 학습자들은 영어 원어민 화자와 마찬가지로, 그림 맥락이 특정 선행사를 선호하도록 유도하는 화용적 정보가 제공되는 가운데에서도 영어의 통사적 제약을 위반하는 장거리선행사는 재귀사의 선행사로 허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복문 내포절의 정형성 여부가 EFL 학습자들의 해석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았으므로, 해당 이슈에 관한 재검증의 필요성이 제안된다.
        7.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어 능력 초급 수준의 EFL 성인 학습자들의 글쓰기 불안이 과정 중심 쓰기 접근(process writing approach) 교수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였다. Daly and Miller(1975a)의 DM-WAT를 근거로 본 연구의 영어 글쓰기 학습자들을 위해 약간의 수정을 가미한 WAT (글쓰기 불안감 테스트)를 사용하여 과정중심 쓰기 접근 교수를 실시하기 전과 후의 학습자들의 심리적 변화를 조사하여 글쓰기 불안의 네 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1) 영어 글쓰기를 좋아하는 정도(Enjoyment of writing in English, EOW); (2) 영어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Negative perception about writing in English, NPW); (3) 평가에 대한 두려움(Fear of evaluation, FOE); 그리고 (4) 영어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Self-confidence of writing in English, SCW). 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학습자들의 부정적인 영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이 과정 중심 글쓰기 교수 이후 네 가지 요인에 있어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특히 여성 학습자들의 사전 사후 부정적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의 차이가 남성 학습자들보다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학습자 모두가 두 가지 글쓰기 요인, 즉 NPW 와 FOE 요인에 있어서 과정 중심 글쓰기의 효과를 더욱 나타내었다. 이는 흔히 제 2 언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불안은 언어적 지식 및 자신감의 부족에서 비롯되기에, 본 연구의 학습자들은 5단계의 과정 중심 글쓰기 활동들이 언어적 자신감을 높이는 스캐폴딩 글쓰기(scaffolded writing)와 같은 역할을 하여 그 결과 부정적 글쓰기 불안감이 현저히 낮아짐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사전 쓰기(pre-writing) 활동에서의 브레인스토밍, 모델텍스트를 통한 구조, 어휘, 문법, 주제문 찾기 등의 언어적 요인 살펴보기 및 개인별 쓰기 완성(drafting), 그리고 수정단계(revising)에서의 교사의 피드백 및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피드백 등을 통해 그들의 영어사용에 대한 지식의 부족을 향상시키고 협력하는 학습 분위기의 영향으로 영어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 감정적인 면에서 훨씬 완화되고 편안해짐을 보여준 결과로 여겨진다.
        8.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전 준비활동이 EFL 학습자의 교실 공개 구두 발표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 였다. 이는 언어적 지식 (language knowledge)의 준비는 제 2 언어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여 정서 적 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한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들은 4 주 간 (1) 스피치 모델 읽기 (reading a model text), (2) 스피치 초안 쓰기 (writing a draft), 그리 고 (3) 구두 연습 리허설하기 (rehearsing for oral practice) 등 세 가지 사전 준비활동을 수행하였 다. 사전 준비활동 전 후의 교실 공개 발표 불안 정도의 차이는 PSCAS (Public Speaking Class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네 가지의 불안 구성요소에 대해 비교하였다: ‘test anxiety’(TA: 시험 불안), ‘communicative apprehension’(CA: 전달 불안), ‘fear of negative evaluation’(FNE: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comfort of using English’(CUE: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 결과 분 석에 의하면 사전 준비활동은 네 가지 구성요소의 구두 불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에 있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결 과를 가져왔다. 이는 ‘reading a model text’ 및 ‘writing a draft’ 등의 사전 준비활동 중에 이루 어지는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 피드백을 통한 언어적 지식 스캐폴딩으로 인한 학습자의 자신감 이 상승하고, ‘rehearsing for oral practice’활동으로 인한 발표연습 기회,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서 이루어지는 친밀함의 관계형성이 동료 및 교사에 의한 평가 불안을 완화하고 이전 보다 편안 하게 영어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9.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designed to help to understand the Korean EFL teachers` experience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 focused on the topics of collaborative computer-mediated interaction. With respect to one of the major conditions for collaborative learning, we should recognize that it occurs when the communicators actively and willingly cooperate based on strong motivation. Moreover, we should understand how the both sides help each other to achiev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 the target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what the participants` motivation for collaborative experiences is like, how native/nonnative speakers perceive these motivation, what the main factors interfering with nonnative speakers` collaborative learning are, and how the both sides endeavor to enhance more desirable environment for collaborative interaction.
        10.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cohesive devices, especially conjunctions, in oral narratives spoken by adult Korean EFL learner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by English native speakers in the same experimental setting. The data consist of a total of 83 narratives spoken by 43 Korean EFL learners and 40 English native speakers, who were each asked to tell a brief story based on a sequence of 12 pictures in accordance with a given title. Our hypothesis is that learners will have difficulty in using cohesive devices such as conjunctions appropriately; More specifically, learners will underuse and misuse conjunctions in discourse due to the lack of their language proficiency. The results show that except for differences in some of the conjunctions, the learners were strikingly similar to the native speakers in the inventory and distribution of conjunctions they used, although there were some misused errors. The learners had a great tendency to overuse coordinate conjunctions, especially but and so, whereas they tended to underuse temporal subordinate conjunctions such as while and as. However, the overuse of initial subordinate clauses by the learners suggests that they haven not quite acquired the uses of conjunctions in dis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