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생종 벼 품종인 오대, 운광과 HR28021-AC16 계통에 대한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분석과 K1과 K3a 균계를 접종한 후에 수량 및 품질 관련 형질들의 변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오대는 저항성 유전자를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광은 Xa3 유전자를, HR28021-AC16은 Xa21 유전자를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대는 K1과 K3a 균계 모두에 이병성을 보였고, 운광은 K1에는 저항성을 K3a에는 이병성을보였다. HR28021-AC16은 K1 균계에는 이병성을 나타냈고K3a 균계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균계접종에 의한 이병성 정도와 2차 감염 정도로 볼 때, K3a 균계가 K1 균계에 비해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K1과 K3a 균계 접종에따른 생산력검정시험에서 균계 처리와 반응에 의해 변이가발생한 형질들 중에 등숙률, 정현비율, 현미수량과 완전미도정수율은 서로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들 형질들과 현미 및 백미 단백질 함량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사미는 등숙률 및 완전미도정수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성분분석에서 주성분 1을 기준으로 등숙률, 정현비율,현미수량 및 완전미도정수율과 사미, 현미 및 백미 단백질 함량이 다른 방향성을 나타냈고, 주성분 2를 기준으로는 등숙률과 사미가 다른 방향성을 나타냈다. Xa21 유전자를 가지고있는 HR28021-AC16은 K3a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K1 균계 접종구에서는 등숙률, 정현비율, 현미수량 및 완전미도정수율은 감소하였고 사미는 증가하는 등 이병성 반응을나타냈다. Xa21 유전자는 최근 큰 피해를 주는 K3a 균계에대해 강한 저항성을 보이나, 우리나라 우점 균계인 K1에 이병성을 보이기 때문에 K1 균계에 저항성인 다른 유전자와의집적을 통한 활용이 안정적인 저항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 조생종 쌀의 품질을 높이는 재배기술 개발을 목표로 강원도농업기술원 벼 시험포장에서 2년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2010년 운광벼 쌀 수량은 5월 10일 이앙시 높았고, 이앙기가 늦어질수록 감소되었지만, 백미 완전미율은 이앙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져서 완전미수량은 이앙기간에 차이가 적었다. 2. 2011년 운광벼는 6월 10일 이앙시 등숙율과 천립중 증가로 인하여 수량이 증가되어 재식거리와 재식본수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30×13cm -5본 이앙구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3. 오래벼는 6월 10일 관행 재식거리와 본수로 이앙시 수량이 적어졌으나 30×13cm -5본 이앙구에서는 m2 당 이삭수와 입수가 증가되어 관행재배법보다 5% 증수되었다. 4. 운광벼, 오래벼 모두 6월 10일에 이앙구에서 5월 25일 이앙구보다 등숙온도가 낮아져서 완전미율과 도요식 미치가 증가되는 등 품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5. 본 연구결과를 응용하여 평야지 이외의 지역에서도 등숙온도가 22℃ 에 가깝도록 이앙기를 늦추면서 재식거리를 좁히고 주당본수를 늘린다면 조생종 쌀 수량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2002.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selecting early maturing rice varieties which is suitable for early cropping before Alisma plantago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Six rice varieties were grown from May to August in 2002 at Youngjeon Experiment Field, Sunchon and yield components and yield of plants were investingated. Early maturing rice cv. Grubyeo showed higher rough rice yield than any other varieties used in the experiment. It showed high yield components, such as culm length, panicle length, number of panicles per plant,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and ratio of ripened grain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Grubyeo was the most suitable variety with high yield for the cultivation before growing of Alisma plantago at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heritability of culm length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and rough rice yield were high and that of panicle length number of panicle per plant, ratio of ripened grain and 1,000 grain wt. of milled rice were low. According to the result of path coefficient analysis, characters highly correlated with rough rice yield showed large direct effects on rough rice yield.
        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 택사 앞작물에 적합한 조생종 벼 품종의 효율적인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 중산간 및 산간 고랭지용으로 개량된 조생종 벼품종 11품종을 공시하여 유전력, 표현형 상관, 유전상관, 환경 상관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수성이며 수량구성요소가 높은 조생종 벼로서는 Jinbubyeo가 가장 적합하였다. 2. 유전력은 수당입수(91.90), 정 조수량(69.88)에서 높았고 수장, 수수, 등숙 비율을 천립중은 중간정도였다. 3. 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에서 정조수량은 간장, 수장, 수수, 수당입수, 등숙 비율을, 천립중과 고도의 유의차로 정의 상관을 보였다.
        5.
        200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elects Sunwol local group, Gusang local group and Yongjun local group to examine the appropriate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in cultivating the double crop seed of Alisma plantago by transplantation in the southern area, improve and complements the double cropping techniques and contribute to stable production. While the plant height is 45,47 and 49cm and the number of leaves is 11.7, 12.5 and 14.4 at non-fertilizing plot, the plant height is 67, 72 and 75cm and the number of leaves is 15.8, 17.2 and 19.3 at all fertilizing plot and their growth is active and in the character of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leaves, especially in the groove of N-P2O5-K2O= 30-15-45kg/10a, the mean plant height of Sunwol is 75cm and mean number of its leaves is 19.3, the mean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in Gusang are 72cm and 17.2 respectively and those of Yongjun are 67cm and 15.8 respectively. While the number of floral axis is 1,2 in non-fertilizing plot, that of the whole varieties in all fertilizing plot is 3, 4, 5 and the mean floral axis of Sunwol is N-P2O5-K2O = 10-5-15, 20-10-30, 30-15-45 kg/10a and 18-0-18 of complex fertilizer and 21-17-17kg/10a and it is small in all fertilizing plot. The yield of dry root per 10a is high in all fertilizing grooves and especially in the groove of N-P2O5-K2O = 30-15-45 kg/10a, it is 372.6kg, in the groove of 18-0-18kg/10a using complex fertilizer, it is 389.1kg and in that of 21-17-17kg/10a, it is 376.7kg.6.7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