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2.
        201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H2O2가 함유된 (Na2CO3-NaHCO3) 혼합 탄산염 계에서 사용후핵연료를 산화용해할 시 U과 함께 공용해 되는 Cs, Te, Tc, Mo 등의 핵분열생성물로부터 Cs과 Tc의 선택적 침전 제거 거동을 규명하였다. Cs과 Tc은 각각 장수명 핵종으로 지하에서의 빠른 핵종 이동성과 고방열성 등으로 최종 처분 시 처분 환경 을 저해하는 핵종으로 처분 안전성 제고 측면에서 이들의 제거는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Cs과 Re (Tc대용원소)의 선택적 침전제로는 각각 NaTPB, TPPCl를 선정하였으며, NaTPB에 의한 Cs 침전 및 TPPCl에 의한 Re 침전 모두 5분 이내로 매우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온도를 50℃, 교반속도를 1000 rpm 까지 증가 시켜도 이들의 침전 속도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 NaTPB 침전 및 TPPCl 침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침전 용액의 pH 이며, 특히 TPPCl에 의한 Re의 선택적 침전의 경우 낮은 pH 에서 Mo가 Re과 공침되므로 pH 9 이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NaTPB]/[Cs] 및 [TPPCl]/[Re]의 몰 농도 비 1 이상에서 Cs 및 Re을 각각 99% 이상 선택적으로 침전 제거할 수 있었다.
        4,000원
        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범람모의에 주로 활용되는 LISFLOOD-FP 모형은 하도에서 1차원 운동파 방정식을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평평하여 흐름이 확산되는 홍수터 에서 단순화된 2차원 확산파 방정식을 이용하여 흐름을 해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인 LISFLOOD-FP 모형의 하천홍수위 예측 적용 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수영향을 받는 만경강 하류구간에서 기 발생한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모형을 보정하고 검증하였다. 모형의 주요 매개변수 인 Manning 조도계수와 하류단 경계조건의 민감도를 분석하였고, 초기조건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warm-up 유무에 따른 해석결과를 비교하 였다. 그 결과, 운동파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배수영향을 받는 만경강 하류구간의 홍수위를 비교적 잘 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민감도 분석은 실 제 홍수사상의 적용 시 여러 가지 매개변수와 경계 조건에 의해 홍수위 값이 상이한 결과를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파 수문모형의 적용시 홍수위 해석에 대한 충분한 검증 및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검증된 모형을 바탕으로 다양한 유역의 홍수범람모의에 적용이 된다면 향 후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정책적인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0.
        2001.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mprove the iron content of red pepper, we have transferred the entire coding sequence of the ferritin gene(Fpl) into Capsicum annuum (L. cv. Chungyang and Bukang) by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Transformants were found to contain the Fp1 gene at up to three loci, increased distinct iron content changes. In transgenic plants, iron content was as much as 7-fold to 8-folds greater than that of their untransformed counterparts. Furthermore, the Rl progenies from transformant(A7, A8) co-segregated into a 15:1 ratio for both Kanamycin resistance and genotype of high iron.
        11.
        199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DNA Fragment encoding iron storage protrin gener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using highly conserved regions of ferritin related genes were used to sereen a red pepper cDNA library. cDNA clone was designated as Fp1. Fp1 clone contatines a 5' nontranslated region of 51dp containing stop conds. Down stream from 5' UTP. an open reading frame of 750bp was observed. followed by a 3' UTR of 272bp. The deduces amino acid sequence of red pepper protein(Fp1) showed 84%, 48% and 36% identity with soybean(SolC). human(HuL H) and horse spleen(HoS-L) ferritin mRNA accumulation in response to iron. Ferritin mRNA accumulation was transient and particularly abundant in leaves. reaching a maxmum at 12h. The level of ferritin mRNA in roots was affected to a lesser extent than in le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