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배양에 의한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를 평가하기 위하여 chlortetracycfine fluorescence분석법을 이용하여, glycosidase가 체외수정능력과 정자침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돼지난자의 투명대내에서 발견된 당잔기에 대한 정자의 glyco-sidase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α-L-fucosidase, α-D-mannosidase, β-D-galactosidase 및 N-acetyl-β-D-glucosaminidase (β-GlcNAc''''ase)의 activity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lycosidase activity는 동결정자의 응해 후 배양하지 않았을 때보다 2시간 배양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β-GlcNAc''''ase의 activity 는 정자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glycosidase 처리시보다 최소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체반응이 유기된 정자의 비율은 glycosidase (α-D-mannosidase; P<0.05)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자를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배양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시간에 따른 정자의 존성에 대해 glycosidase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투명대내 정자의 접착과 입에 대한 또 다른 실험에서, 서로 다른 glyco-s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수정된 정자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침입율은 낮아졌다 β-GlcNAc''''ase; P<0.05). 투명대내의 정자접착정도는 glycosidase의 첨가시에 무첨가시보다 접착정도가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접착율은 β-GlcNAc''''ase 첨가시 나타났다. 또한 모든 glycosidase 처리시 2시간 배양한 정자보다는 배양하지 않은 정자에서 투명대에 대한 접착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α-D-mannosidase의 처리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본 연구의 결과, β-GlcNAc''''ase가 주로 돼지정자의 원형질막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배양된 정자에 의한 투명대 접착정도와 침입율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glycosidas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관상피세포와 그 배양액에서 분비된 고분자 분획이 소정자의 수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한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난관상피세포배양액으로부터 MW 5 kDa cut-off bucket을 사용하여 탈염 및 농축을 실시, 단백질/고분자분획을 회수하고 이를 체외수정용 배양액에 첨가하고 난관상피세포 monolayer와 공배양을 통해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고분자분획첨가 및 난관상피세포 공배양(OM+OEC)군이 고분자분획첨가
본 연구는 종모우의 선발방법으로 난포란을 이용하여 실험실내 정자의 수정능력을 직접 검정하여 평가코자 시도되었다. 즉 본 실험은 후대검정중에 있는 한우 후보종모우 15두의 동결융해정자의 수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액을 고장액(HIS)에 처리한 후 DM에서 6시간 그리고 소 난포액이 20% 첨가된 DM에서 4시간 전배양하여 수정능을 획득시켜 정자의 활력과 첨체 반응율을 조사하였고 전배양된 정자의 체내(토끼 난관) 또는 체외수정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FC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n fertilization rate (FR), hatching rate (HR), and normal individual rate after artificial fertilization using frozen thawed sperm according to the cryoprotectant (DMSO) concentration and the period of cryopreserved sperm of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Performing artificial fertilization using frozen-thawed sperm, after freezing the sperm at different DMSO concentration of 5.0%, 7.5%, 10.0% respectively, FR were (DMSO 5.0%: 99.5±0.8%, DMSO 7.5%: 99.5±0.7%, and DMSO 10.0%: 99.6±0.6%). The result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fresh sperm (100%). HR also (DMSO 5.0%: 96.2±2.3%, DMSO 7.5%: 95.3±3.6%, 10.0%: 96.6±1.8%)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The normal individual rate after hatching using with control fresh sperm (98.4%±0.5) and DMSO concentration level of 5.0% (97.8±0.1%)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with 7.5% (97.2±0.6%) and 10.0% DMSO concentrations (95.9±0.2%) are lower than the normal individual rate after hatching observed in the control and 5.0% DMSO. Performing artificial fertilization using frozen-thawed sperm at different frozen period (2 days, 2 years, and 3 years), 10% DMSO FR and HR of 3 years (FR; 66.8±1.8%, HR: 82.0±12.9%) and 2 years (FR; 78.5±14.8%, HR: 79.3±0.6%) cryopreserved sperm were lower than control (FR; 100%, HR: 91.1±3.6%) and 2 days cryopreserved sperm (FR; 99.6±0.6%, HR: 96.6±1.8%). These results suggest suitable DMSO concentration ranges of cryopreservation sperm for E. bruneus is 5 to 10% and with 2 to 3 years cryopreservation period, cryopreservation sperm can be useful for seed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