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

        6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ytic acid, myo-inositol (1, 2, 3, 4, 5, 6)-hexakisphosphate, is a material that plants store phosphorus in seeds. Phytic acid is classified as an antinutrient because of indigestibility. Non-ruminant animals, such as human and swine, excrete unavailable phytic acid. The unavailable phytic acid run off to ground water, river, sea, causing eutrophication as a factor. Accordingly, low-phytic acid crops draw the attention due to both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reasons. Using more than 900 Glycine accessions including G. max, G. soja and G. gracillis, colormetric method was applied for detecting low-phytic acid mutant. Two hundred fifty accessions were screened by the colormetric method so far, but no mutant was identified. Screening of mutants with the rest 710 accessions is in progress. MIPS1 (D-myo-inositol 3-phosphate synthase) is considered as gene related to phytic acid content in soybean. Also, lpa1 (Zea mays low phytic acid 1) known as controlling phytic acid content in maize was recently reported that homologs of lpa1 were responsible for phytic acid content in soybean and located on linkage groups L and N (Chromosomes 19 and 3). After primers were designed from these three candidate genes for phytic acid content, identification of genes responsible for low phytic acid and investigation of genetic variation among 960 accessions will be performed as further study.
        6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rough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ypes of abiotic stress that affects stability and amount of y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for drought tolerance at early seedling stages for 318 ecogeographically diverse wild barley (HordeumvulgareL.spp.spontaneum) diversity collection (WBDC). Considerable variation was observed for all the seedling characters examined. Seedling growth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17% polyethyleneglycol -induced osmotic stress with significant variation among accessions. Comparison of mean performance under normal and osmotic stress conditions indicated that shoot length was the most sensitive trait, followed by seedling length, seminal root number, root-shoot length ratio and root length. The mean of root-shoot length ratio, however, increased under osmotic stress. Correlation studies indicated that the root length was the most important trait, followed by shoot length and root-shoot length ratio. The accessions from the Fertile Crescent and North Africa showed more drought tolerance than those from the other geographical regions. The accessions WBDC009 (Jordan), WBDC075 (Libya), WBDC181 (Jordan), WBDC242 (Jordan) and WBDC280 (Israel) exhibited the lowest stress susceptibility index ‘S’ values. Consequently, these accessions showed tolerance to drought at the early seedling stage and are considered to be good sources of drought tolerance for cultivated barley improv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Regional Subgenebank Support Program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
        63.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as performed to define the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of Artemisia capillaris. Fifteen populations by the distributions and habitat were collected to conduct RAPD analysis. RAPD markers were observed mainly between 300bp and 1600bp. Total 72 scorable markers from 7 primers were applied to generate the genetic matrix, and 69 bands were polymorphic and only 3 bands were monomorphic. The genetic dissimilarity matrix by Nei's genetic distance (1972) and UPGMA phenogram were produced from the data matrix. Popula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were clustered with high genetic affinities and cluster patterns were correlated with distributional patterns. Two big groups were clustered as southern area group and middle area group. The closest OTUs were GW2 and GG1 in middle area group, and GB1 from southern area group was clustered with OTUs in middle area group. RAPD data was useful to define the genetic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of A. capillaris.
        6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품종들의 교배친인 11개의 자식계통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간 유연관계를 50개의 SSR 마커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0개의 SSR primer들은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품종들의 교배친인 11개 자식계통들에서 총 171개의 대립단편을 증폭시켰고, 각 SSR primer들에서 증폭된 대립단편의 수는 최소 2개에서 최대 6개의 범위로 나타나 SSR loci당 평균 3.4개가 증폭되었으며, 유전
        67.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목화의 실용형질 향상으로 새로운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육지면 5개 품종과 이들을 이면교잡 하여 얻은 F1 10개 조합을 재료로 주당 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종자장, 종자폭, 1삭 조면중 등 6개 형질에 대한 잡종강세, 조합 능력, 유전성분, 유효유전자수, 유전력 등을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Heterosis와 heterobeltiosis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 1삭 조면중에서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GCA와 SCA는 모든 형질에서 고도로 유의하였다. 평균우성정도는 주당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및 종자폭에서 초우성으로 나타났고, 종자장은 완전우성, 1삭 조면중은 부분우성으로 나타났다. 유효유전자수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에서 2개, 1삭 종자수, 종자폭 그리고 1삭 조면중에서 1개로 추정되었다. 협의의 유전력은 주당 수량, 주당 삭수 및 1삭 종자수에서는 낮았으나 종자폭에서는 높았다. 광의의 유전력은 1삭 조면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높았다.
        6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le and female strobilus production was assessed annually over a five-year period for a clonal seed orchard of sugi (Cryptomeria japonica D. Don) in Korea. Clonal fertility and fertility variation, expressed by both sibling coefficient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in strobilus production among 40 orchard clones, were reported. Fertility varied among clones and among years, producing five-year averages per ramet of 464.3 and 971.1 for female and male strobili,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female and male strobilus production was positive in each of the five years studi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one poor flowering year. The clonal status number (Ns), a measure of genetic diversity, was calculated based on the observed clonal fertility variation, varying from 27.6 (N = 40) in the poorest flowering year (2002) to 35.8 in the best year (2005). On average (pooled), the relative status number was 95% of the census number (N). Variation of female fert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fertility for the five consecutive years, and the status numbers of female and male parents reflected this variation. The pooled Ns estimation from all five years was higher than any single year, implying that genetic diversity would increase when seeds collected from different years are pooled. Sexual asymmetry calculations showed that clonal contributions would be balanced between genders
        69.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산수종이며 조경 및 원예적 가치가 높은 노각나무 유전변이를 조사하기 위해 6개 천연집단을 선발하여 DNA I-SSR 표지자를 사용, 유전다양성 및 유전구조를 조사하였다. 5개의 I-SSR primer(#813, 815, 818, 820, 823)에서 총 61개의 증폭산물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유전 다양성을 나타내는 P(Percentage of polymorphic loci)값과S.I.(Shannon's information Index)가 남쪽에 분포하는 오봉산(P=88.5%, S.I.=0.467), 금산(P=86.9%, S.I.=0.427), 바랑산(P=83.6%, S.I.=0.425)집단이 높았으며, 북쪽(내륙)에 분포하는 소백산(P=80.3%, S.I.=0.396), 지리산(P=77.1%, S.I.=0.368), 가야산(P=75.4%, S.I.=0.358)집단은 낮았다. 전체 유전변이 중 11.8%만이 집단간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88.2%는 집단내 개체간의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유전거리를 이용하여 UPGMA법에 의한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리적 분포에 대한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70.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고산 지역에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희귀 유전자원인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의 설악산 및 한라산 집단을 대상으로 동위효소 분석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총 7개 동위효소에서 11개의 재현성 있는 유전자좌가 분석되었으며, 이중 Mdh-1, Mdh-2, Mdh-3 및 Pig-1 유전자좌를 제외한 7개 유전자좌에서 다형성이 관찰되었다. 분석된 두 집단의 유전변이량은 각각 A=2.2, Ae=1.61, P95=54.5, Ho=0.179, He=0.287(설악산 집단)과 A=2.1, Ae=1.48, P95=63.6, Ho=0.270, He=0.250(한라산 집단)으로 국내 타 침엽수종으로부터 동위효소 분석을 통해 추정된 유전변이량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분석 집단간 유전적 분화 정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ST=0.039). 설악산 집단의 경우 이형접합도의 관찰치가 기대치에 비해 매우 낮았으며 근교계수 값이 매우 높게 나타나(F=0.376), 전반적으로 근친교배 또는 유전적 부동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설악산 눈향나무 집단의 분포 면적이나 개체수가 한라산 집단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설악산 집단의 보존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71.
        200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used RAPD markers to assume genetic diversity and variation in selected population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Ratio of polymorphic RAPD markers were 93.4% in selected populations of Hovenia dulcis Thunb., difference of genetic structure among populations and within populations showed 16.45%, 83.55%, respectively in amount of total genetic variation of 4 populations. Total gene diversity(HT) that show genetic diversity appeared 0.313 and coefficient of gene differentiation(GST) that compare genetic differentiation of populations appeared 0.1645, analysis of AMOVA for variation among populations and within popula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Genetic diversity of whole populations showed that 12.44% difference among population and 87.56% difference within populations. As a result, difference within populations was larger than difference among populations in genetic diversity. Nei's genetic distance and cluster analysis appeared that mean genetic distance among populations was 0.076, thus dividing two main groups and geographic relationship did not show in populations.
        80.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생식물 유전자원의 체계적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유전자원 수집과 보존 전략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강원 및 경북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꼬리 진달래 의 수집 계통들에 대하여 분자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다형성 및 유연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RAPD분석에 이용된 10개의 primer에서 총 48개의 band가 관찰되었으며 이중에서 15개(31.3%)가 다형화 band였고, 1개의 primer당 평균 1.5개의 다형화 band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AFLP 분석에서는 4개의 primer조합으로부터 총 62개의 band가 관찰되었으며 이중에서 33개(53.2%)가 다형화 band였고, 1개의 Primer조합당 평균 8.3개의 다형화 band가 관찰되었다. RAPD 및 AFLP band들을 이용한 UPGMA방법에 따라 작성된 dendrogram작성에서는 유전적 유사성 73.3%수준에서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는데, 첫 번째 그룹에는 강원도 및 경북지역에서 수집된 대부분의 계통들이, 두 번째 그룹에는 lIII번 지역에서 수집된 7계통 모두가 포함되어 있었고 그리고 세 번째 그룹에는 경북 봉화에서 수집된 IV지역의 계통들 중 2계통(35, 36)이 각각 포함되었다. 따라서III번 지역과 IV번 지역의 일부 계통들을 제외하면 DNA 수준에서 꼬리 진달래 대부분의 계통들은 수집 지역에 따른 유전적 유연 관계를 명확히 나타내지 못하였다. RAPD및 AFLP분석 결과를 기초로 한 수집된 집단들 사이에서의 다형성 빈도는 II지역과 IV지역의 계통들에서 각각 45%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고, 반면에 Ⅵ지역의 계통들이 33%로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그리고 집단들 사이에서의 유전적 유사성은 Ⅵ지역의 계통들이 평균 0.8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I지역의 계통들은 평균 0.78을 나타내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비록 III번 지역과 IV번 지역에서 수집된 일부 계통들은 다른 지역에서 수집된 대부분의 계통들과는 유전적으로 명확하게 구별되었지만, 수집 지역의 집단들 사이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므로, 꼬리진달래의 현지외 보존을 통한 유전자원 보존원 조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전자원 수집은 III번 지역과 IV번 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역별로 균등하고 가급적 광범위하게 수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