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of gonadal morphology and mRNA expression patterns of vitellogenin were investigated in Siberian sturgeon Acipenser baerii (Chondrostei) during its early gonadal maturation period. Early differentiations and morphological transitions of both ovaries and testes appeared to occur actively until the age of 3 years, however from then on, the maturation patterns to full maturity were largely gender-dependent, in which males showed a faster progression of maturation than did females while females experienced a steady-state progress with a lagged interval before entering the final maturation. Expression of vitellogenin mRNAs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ransitional patterns of gonadal appearances. In both females and males, hepatic mRNA levels of vitellogenin exponentially increased in the earliest interval (up to 1-year-old). However, in subsequent periods, vitellogenin expression in females continued to increase with age, whereas in males, the expression stabilized at a younger age. Nevertheless, at the age older than or equal to 7-year-old, fully matured individuals showed a quite low level of vitellogenin expression in both females and males. Collectively,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ful as a fundamental guideline to address the gonad maturation of this sturgeon species, which is helpful for making practical decisions about farming practices and management for caviar production on local sturgeon farms.
        4,000원
        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nadosomatic index (GSI), gonad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hormones in plasma level of the indoor cultured grunt (Hapalogenys niten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study from August 2011 to October 2012. The GSI showed similar trends with gonad developmental stages during the culture periods. Changes in plasma level of estradiol-17β of female H. nitens reached the highest value before the spawning period, and seasonal changes in plasma level of estradiol-17β were similar in trends of oocyte developments and GSI changes. Testosterone levels of male H. nitens reached the highest value before and after the spent stage. Ovarian developmental stages of H. nitens could be classified into early growing stage, late growing stage, mature stage, ripe and spawning stage, recovery and resting stage. The testicular developmental stages could be divided into growing stage, mature stage, ripe and spent stage, and recovery and resting stage.
        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us의 명확한 생식년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그들의 자연 서식처인 섬진강에서 채집한 성체 참게의 생식소 조직의 계절적인 변화 그리고, 암 참게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에 미치는 환경요인 즉, 온도, 광주기 그리고, 염분 농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암 참게의 생식소 발달과 GSI의 계절적 변화를 기초로하여 생식년주기를 다음과 같이 4단계로 구분하였다: 난황형성전기월), GSI는 낮았으며, 난소내에는 난황형성전난황형성전기와 감수분열전기의 난모세포들을 가지고 있었다; 성숙기(11월~다음해 3월), GSI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난모세포내에는 난황구들이 축적되었다; 산란기(4~6월), 암 참게의 GSI는 최고치를 나타내며, 포란한 암 참게들이 나타난다; 휴지기(7~8월), GSI가 급격하게 감소하며, 난황형성기의 난모세포들은 퇴화한다. 암컷 생식소의 성숙은 수온에 의한 영향을 받으나, 광주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광주기 조건(12L12D, 9L15D)에 관계없이, 10℃ 실험군의 암 참게보다, 18℃ 실험군의 암 참게의 GSI가 더욱더 증가하였다. 그리고, 26℃ 실험군에서 두 개의 광주기 조건(12L12D, 9L15D)에서 암 참게의 GSI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난소내에는 난황이 축적되고 있는 난모세포들은 없었다. 산란은 수온과 염분 농도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으며, 난황형성중인 암 참게는 두 달간 사육하여도, 10℃에서는 전혀 산란을 하지 않았으며, 18℃와 26℃에서 사육한 암 참게의 반 이상은 염분 농도 9.6‰와 19.2‰의 조건하에서 산란하였다. 그러나, 염분 농도 0.0‰의 조건에서는 산란한 암 참게가 한 마리도 없었다.
        4.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해남부해역의 수하식 우렁쉥이 양식장에서 양식되고 있는 2년산 우렁쉥이, Halocynrhia roretzi의 생식세포 및 생식소 발달과 성숙 조사를 위하여 1996년 5월부터 1997년 4월에 걸쳐 조사되었다. 우렁쉥이는 자웅동체형으로 난생이었다. 난소는 체벽에 평행하게 붙어 좌측에 6~8개, 우측에 8~10개의 가는 생식수관을 가진 구조이며, 정소는 난소 사이에 불규칙 한 많은 낭상 구조를 가진 복합 생식소이었다. 난원세포는 직경이 11.
        5.
        2001.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중 밀어 (Rhinogobiw brumeu)의 생식소 성숙을 조사하였다. 난소 및 정소의 성숙은 체장 60 mm 이상의 개체에서 뚜렷하였다. 난소는 원추형이며 정소는 쐐기모양으로 복강의 등쪽에 위치한다. 연중 성성숙지수 (gonadosomatic index)의 변화는 암컷 0.19 - 14.28 수컷 0.15-13.34로 산란시기는 5월 하순부터 6월 초순의 하계번식 어류로 사료된다. 성숙기에서 산란기에 이르는 동안 난소내 난자의 성숙정도는 불균질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