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년간 터키, 인도네시아, 멕시코 등 전세계 곳곳에서 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지진피해는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하여 심각성을 일깨우고 있다. 대한민국과 인접 국가인 일본은 난카이 대지진과 같은 위협이 다가오고 있으며 대한민국에 서도 2016년, 2017년 경주와 포항에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대한민국에서 추구하고 있는 안전한 도시환경을 구축 하기 위해서는 지진 재해 대응설계와 연구가 고도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하중의 에너지를 소산함으로써 구조물이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댐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재료의 항복을 통해 에너지 소산을 유도하는 강재댐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루프형 댐퍼를 제안하였다. 루프형 댐퍼는 단일 개체로 이뤄진 띄 형태의 강재가 루프형상을 갖으며 이어지는 댐퍼형태를 갖는다. 해당 댐퍼는 혁신적인 구조를 통해 비교적 작은 강재를 사용해도 큰 에너지 소산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형상적 변수를 설정하여 ABAQUS 프로그램을 사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힘-변위 그래프, 최대하중, 에너지 소산 등 댐퍼의 성능을 파악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더 적은 강재를 사용해도 큰 에너지 소산, 최대하중 성능을 도출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과 실용성을 입증하기 위한 실제 지진하중 적용 프레임 구조물 수치해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Using trapezoidal corrugated plates in shear reinforcing systems improves stiffness and flexibility in the deformation along the corrugation. However, shear buckling behaviors is difficult to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ugated shape. In this study, a cyclic loading test of the trapezoidal corrugated plate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nergy dissipation capacity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In this study, trapezoidal corrugate plate were subjected to cyclic loading under displacement control. And then, results from the experimen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energy dissipation were investigated. This result were different to the cumulative size of energy dissipation capacity in load-displacement curve. Based on these results, Influence of the shape is very large and it is determined the define an appropriate shape for the size.
Steel panel dampers are very economical, easy to maintain and widely used as vibration control devices for building structure. However, this dampers are fractured in the center part under repeated loading so that the strength degrades after attaining the maximum resisting capacity. This issue and other many problems had been pointed out by many researcher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steel panel damper has been enhanced by introducing cover plates on the panel on both side so that the lateral out of plane buckling of panel was protected. Thus, the deformation behavior as well as its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a newly proposed Out-of-plan buckling resisting steel damper (BRSD) were studied
최근 세계 곳곳(중국, 아이티, 칠레, 필리핀, 대만 등)에서 대규모의 지진이 발생되하여 각국에서는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건축물들의 파괴로 인해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속출하는 상황들이 발생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지진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제진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에너지 흡수 특성의 정량화 및 제진장치를 장착한 구조물의 제진특성평가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제진장치를 장착한 건축물의 증가와 더불어 신설 건축물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진개수와 지진응답저감을 목적으로 제진장치가 점차 널리 활용 되고 있다.
제진장치의 하나인 전단형 마찰댐퍼는 감쇠성능이 온도나 주파수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인 거동을 나타내고 있어 신뢰성이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단형 마찰댐퍼의 실재하실험을 실시하여 이력거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특히, 접지면적과 두께를 확대하여 마찰력을 높여주는 평와셔 그리고 특수열처리로 제작 된 접시형의 스프링와셔를 사용한 전단형마찰댐퍼의 마찰내력을 비교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