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과 가족 의사소통간의 관계 정도를 파악하고,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영향 요인을 알아보려는 목적의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 부 재학생 251명이었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 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의 상관관계,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 다. 연구 결과로 간호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평균 점수는 34.8점, 가족 의사소통 평균 점수는 62.1점 이었고, 인터넷 중독 고위험 사용자군은 9.2%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과 가족 의사소통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가 있었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가족 의사소통, 건강 저하, 수면 부족은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설명력은 23.6%(F=4.52, p<.001)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인터넷 중 독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족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적용하기를 제안한다.
The paper presents the longitude study of Internet technologies introduction into business model. Rapid spread of Internet technolog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models transformation. Today,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n 2017 the penetration rate of the Internet in Russia reached 73%. Thus, almost 3/4 of the population is currently Internet users and be reached online. On the one hand, Internet communication speeds up and simplifies the processes; on the other hand, the key competitive advantage of direct selling business model is blurred. For ages business model was based on direct interpersonal contacts between the distributor and the customer. In this business model relationship creates more value than the product itself [Luk, Fullgrabe, Yi, 1996] and face-to-face meeting is the key descriptor [Sanan, 1997]. Direct selling is cultivated through relationships and provides customer-centric marketing opportunities [Harrison, Hair, 2017].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whether introduction of innovative Internet technologies into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s beneficial for traditional direct selling business model. Empirical research i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from three survey waves (6380 respondents in 2011, 5638 respondents in 2014 and 6800 respondents in 2017). Effectiveness of Internet usage the for communicate with customers was analized in dynamics over the three waves of 2011, 2014, 2017. Using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method 15 (fifteen) hypotheses were checked. Nine (9) out of 15 (fifteen) hypotheses were confirmed. Research revealed that personalization determines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via internet-based tools (e-mail, web site, social networks, professional social networks, video channels, blogs, microblogs, videoconferences and webinars, messaging applications and files). Nevertheless, face-to-face communication remains significant communication channel for success in direct-selling
기술 표준은 기술적 특성과 사양에 대한 일종의 사회적 합의로서 기술의 발달 과 함께 모든 산업에 걸쳐 존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술의 상호호환성을 제공하고 시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전략적인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기술 표준 연구(표준화 연구)는 기술 표준의 채택 과정과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이론적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술 고유 의 가치와 상호호환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술 중심의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데 있어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기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한 기술 차별화 정도와 기업별 기술 선호도 함 수를 두 단계 게임 이론 분석 방법에 반영하여 새로운 기술 중심 표준 연구 방법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실증 사례로 사물인터넷의 무선 팬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해당 시장의 기술 구조 및 표준 관련 함의를 도출하였다.
Consumers today are not passive recipients of a constructed brand identity that is communicated towards them. Instead research suggests that the consumer is in fact an active part in constructing brand meaning. Salzer-Mörling and Strannegård (2004) held that brand managers are confronted with the fact that they are not the owners of the brand who can actively manipulate brand images in the minds of passive consumers. The importance of consumption activities and how these play a part in the development of meaning has been demonstrated by authors such as Wallendorf and Arnould (1991), who interpreted the consumption rituals of Thanksgiving and explored the linkages and cleavages between consumer ideology and consumer practice. Arnould and Price (1993)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and concluded that the narrative of the rafting experience (multiday river rafting trips in the Colorado River basin was the empirical context for their article) rather than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tions and outcomes was central to its evaluation. Belk and Costa (1998) showed the creation of fantasy consumption enclaves through processes of inventing and mythologizing tradition, and Peñaloza (2001) investigated consumers‘ cultural production processes at different levels and concluded that consumers negotiate meanings and that business activities and specific references are significant for consumers in providing authenticity. In later research it is argued that brands belong to and are created within groups, communities or tribes (e.g. Brown, Kozinets and Sherry Jr., 2003), or that consumers are actively creating brandscapes (Thompson and Arsel, 2004) neo-tribes (Cova and Cova, 2002), the concept of brand communities (Muniz and O‘Guinn, 2001; McAlexander, Schouten and Koenig, 2002; Muniz and Schau, 2005; Algesheimer, Dholakia and Herrmann, 2005), subcultures of consumption (Schouten and McAlexander, 1995), and brand cultures (Schroeder and Salzer-Mörling, 2006). Muniz and O‘Guinn (2001) emphasized the tri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the brand and consumer relationships. McAlexander, Schouten and Koenig (2002) broadened this perspective by studying customers´ relationships with a branded product and related marketing agents, institutions as well as other customers. In their view, consumers socialize around brands, which are defined as brand objects, but they still consider brand meaning as being developed first by marketers. Related to the brand community is the concept of ‘neo-tribes‘, examined by Cova and Cova (2002), who hold that a tribe is not necessarily a brand community, since brand communities are explicitly commercial, whereas tribes are not. However, when a tribe is organized around a same passion of a cult-object it exhibits many similarities with a brand community (p. 603). Alongside the concept of brand community research has viewed the consumer-producer dichotomy in new ways of co-production: the customer as co-producer (Wikström, 1996; Vargo and Lusch, 2004), the reversal of consumption and production (Firath and Venkatesh, 1993), the consumer role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Firath and Venkatesh, 1995), consumers as customizers and producers (Firath, Dholakia and Venkatesh, 1995), customers as active co-creators of experience (Prahalad and Ramaswamy, 2000), the concept of customerization (Wind and Rangaswamy, 2000). Bendapudi and Leone (2003) viewed customer co-production in the construc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claimed that consumer co-production extends to meanings as well and that consumers are not ―just passive receptacles of brand identity projected by marketers; they are active co-producers of brand meanings (p.26). They called for more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consumer co-produced marketing images given the empowerment of consumers through the Internet. Kozinets et al. further (2004) introduced the notion of ―interagency where consumer and producer interests are embedded in one another. Quinton and Harridge-March (2010) investigated relationships in online communities and the potential influence of consumer generated communication in online discussion fora on wine. This paper views consumer generated communication on luxury brands online and its impact on luxury brand image. With the growth of the Internet and brands’ use of it so has consumer initiated sites grown. Consumer communities and brand communities are today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creation of brand value and brand meaning. However there is still a gap in the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generated communication and how this type of communication impacts brand image.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nsumer community communication is presented and three empirical examples of consumer-generated communication and its impact on brand image are presented. The approach is a qualitative online study. Consumer community sites show clear examples of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conversation aspects. This study shows that information seeking is the most prevalent in the impact on brand image. The strength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qualitative nature with consumer interviews and online observations of consumer-generated brand communication. Given the exploratory nature of this research the online material had to be systematized during the course of the work and could not be chosen based on a set of criteria or evaluation methods already established.
Il est devenu presque banal de parler aujourd’hui d’exploiter Internet en classe de français. Mais j’espère tout de même réussir à pointer ici quelques paramètres qui me semblent cruciaux, paramètres que j’illustrerai de plusieurs exemples liés à ma pratique de formation d’enseignants de français ou tirés d’articles d’autres didacticiens. Mon propos sera articulé en trois parties, qui correspondent à trois approches différentes d'Internet – approches nullement exclusives les unes des autres -, la conception de cybertâches, l’introduction des apprenants dans les discours qui se développent sur le réseau, enfin les projets de télécollaboration permettant de mettre en contact des apprenants de pays différ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그들의 인터넷게임 중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된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문헌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하였고, 실증분석은 설문지로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빈도분석(frequencie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reliability),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즉, 부모-자녀(청소년)간 의사소통이 수용적일수록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낮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하위변수인 대화수용성과 배려성은 높을수록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은 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인터넷 이용시간, 그리고 부모와의 대화시간을 통제변수로 하여 변수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대화수용성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중독은 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하는 것이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중독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수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고 인터넷을 통해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 인터넷은 소위 '정보의 홍수'라 일컬어 질 만큼 무수한 정보를 매일같이 쏟아내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지식을 얻고, 세상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렇듯 수많은 정보가 넘쳐나기에, 그리고 정보의 신속한 배급을 최우선으로 삼기에,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피하기 어려운 현상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것과, 아마추어 작가들이 글을 작성하여 인터넷을 통해 배포하는 것들에서조차 언어사용에 있어서의 엄격한 잣대를 모두 들이대기는 어렵겠지만, 뉴스보도의 작성자라든가, 기자, 편집자들, 특히나 사람들이 많이 보는 중요 매체의 뉴스 작업자들은, 자신들에 의해 만들어진 뉴스에 책임감을 가져야 하고, 그 뉴스를 읽는 독자에 책임감을 가져서, 자신들이 올바른 언어의 전파를 책임진다는 사명감을 가지고서 최대한 언어 사용에 있어서의 오류는 범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많은 인터넷 뉴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국어 가운데, 20여개의 대표적인 예를 들어, 오자, 어법 오류, 불합리적인 사용 등 여러 방면에서 문장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본인은 인터넷 뉴스에서 사용되는 중국어의 혼란 현상을 지적하고 바로 고치기 위해 노력하고, 인터넷 뉴스의 언어 사용 오류에 대한 엄정성을 제기하여 기자, 타이피스트, 편집원 등 뉴스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인들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는 한편, 인터넷 문화 상품의 함양 개선을 강화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 중에서 예로 든 오류 문장들은 중국어를 가르치는 사람들에게도 충분히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으리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