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59년 일본의 재일조선인 북한송환(북송) 발표 직후인 2월 부터 6월까지 한일 양국의 국회에서는 재일조선인 북송에 대해 어떻게 논의를 전개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의 질문은 ‘1959년 초반 한국 국회와 일본 국회는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에 대해 어떠한 논의를 했는가?’이다.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 국회와 일본 국회의 1959년 회의록을 분석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의 국회는 북한을 주권국가가 아니라고 보며 일본의 재일조선인 북송 계획에 반대 하는 논의를 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국회 내의 의견 차이로 한 국 국회가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이고 본격적인 논의 를 진행하는 것은 어려웠다. 반면 일본의 국회는 한국 정부와의 관계 악 화를 우려해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를 한일회담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 안을 논의했다. 또한, 일본 국회는 일본 정부가 북송 문제에 직접 관여하 지 않도록 국제적십자위원회가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를 주도하여 해결해 야 한다는 방침을 세우며, 동시에 북송 실행을 위해 북한적십자사와의 회담에서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논의를 확장하였다. 그러므로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에 대한 1959년 2월부터 6월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양국 국회 의 논의를 비교하면, 일본 국회의 논의가 한국의 국회 논의보다 구체적 이고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후 1959년 12월 재일조선인 의 북송은 결국 실행되었다.
        4,8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전후하여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에서의 언론 보도확산과 반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일본 의 신문과 언론의 보도에 대한 분석, 재일동포 관련 단체의 보도와 반향에 대한 분석, 재외동포단체의 보도와 반향의 순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일본에서의 5・18 광주 민주항쟁 관련 언론신문, 잡지 등에서 보도확산과 반향에 대하여 자 료를 수집하고 대표적인 논조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 본의 대표적인 3대 신문인 아사히신문, 요미우리신문, 마이니치신문의 논설을 중 심으로 5・18 광주 민주항쟁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유신체제의 계승 반대, 국군 의 무력진압에 따른 국민 불신과 반감 증폭, 폭력적 억압은 문제해결이 될 수 없 고 민중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둘째, 재일동 포의 반응에 대해서는 민단은 광주 민주항쟁에 대해 민단 중앙의 입장과 견해를 밝히도록 요구하였다. 총련은 조선 시보를 통해 광주 시민봉기의 진상을 왜곡하여 전두환, 박정희 등을 찬양하려고 시도하는 일본인들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셋째, 재외동포의 언론 보도에서는 재미 뉴코리아 타임스의 경우 미국에 대한 환 상에서 벗어나 한민족 스스로 인권과 민주주의 수호 및 통일을 위해 싸워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5・18 광주 민주항쟁 관련 그동안의 연구 가 왜 미국 일변도였는지 고찰하고 일본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로의 광주 민주항 쟁 언론 보도와 미디어의 확산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향후 연구에서 는 5・18 이후 시대별, 국가별, 미디어별 논조의 변화, 국가별 반응과 대응, 사회 단체별, 방송 미디어별 보도행태에 대하여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6,300원
        3.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ruling Chosun, with a view to making Chosun the primary supplier of food, Japan made the peasantry of Chosun go to ruin by leaving land from them through land enterprises, and the projects of increasing rice production. At the same time, Japan formed the higher classes comprising pro-Japanese capitalists, landlords and intellectuals, and protected them in order to carry out her colonial policies. Naturally there came into being a great gulf between the minority of high society and the majority of the poor in Chosun. As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food life between the two, I'm going to examine the literature of those days to grasp exactly the condition of their food intake. As for the staple food, out of thirteen provinces in Chosun, 13% lived on only rice and 27% on other minor cereals with no rice. As for the subsidiary food, about thirty percents did not take any animal protein. The examination of intake of nutrition by classes shows that the higher and middle classes took the necessary amount of calorie and protein and that the component ratio of calorie was comparatively properly distributed. The lower classes are defined as those whose monthly income was less than 100 won and the peasantry in general. And again the peasantry are classified into three-high, middle and low-according to their farming conditions. The tenant farmers in Kyeongguido and the peasants of Darli community took enough amount of calorie and protein, but much smaller amount of animal protein. Fire-field farmers led not less miserable food intake than the extremely poor peasants. They seldom lived on rice. Potatoes, oats and millets were their staple food. Lastly, Engel's coefficient for the Tomack-min (the residents in mud huts) who were among the three extremely poor classes, was 73.3%,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classes in then Japan. Rationed rice and barley were their staple food but the rationed amount was not sufficient to satisfy needs of physical labor. In conclus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ing of Chosun, the minority of higher and middle classes in Chosun generally took sufficient amount of nutrient, while the status of food intake with poor peasants, fire-field farmers and Tomack-min was extremely miserable.
        4,300원
        4.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a view to making comparative study and promoting the interchange of food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a sensory test was given to 60 female college students (30 Koreans and as many Japanese) in order to find out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various tea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pecific tea and total evaluation: Significant level of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indicated in case of color, taste, and aftertaste by both Koreans and Japanese. In case of odor, and flavor the Koreans indicated insignificant level of nought, and the Japanese significant level of high negative correlation one. In sweetness and total evaluation the Koreans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Japanese insignificant level of nought. 2. Comparison of preference of various teas by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1) Ginseng tea A and Ginseng tea B As to Ginseng tea A and Ginseng tea B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liked flavor best. In general preference the Koreans liked them better than the Japanese, and both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01). 2) Black tea A: As to Black tea A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taste, and in general preference the Japanese liked them better than the Koreans and both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01). 3) Black tea B. As to Black tea B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color, and in general preference the Japanese liked them better than the Korean and both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1). 4) Coffee A.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flavor, and neither of the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5). 5) Coffee B. The Koreans liked color best while the Japanese flavor, and neither of the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5). 6) Green tea A and Green tea B. As to Green tea A and Green tea B,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taste. In general preference the Japanese liked them better than the Koreans, both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01). 7) Malcha (a kind of traditional Green tea) Both groups liked flavor best, in general preference the Japanese liked it better than the Koreans, and both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01).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