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aponica 7’(Registration No. BPI-NSIC-2019-Rc 584)은 열대지역에 적응하는 고품질 다수성 자포니카 벼를 개발 하기 위하여 2020년 육성되었으며 육성 과정 및 주요 특성은 다음 과 같다. 1. ‘Japonica 7’은 열대지역 적응 고품질 자포니카 다수성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 (IRRI)에서 농촌진흥청 파견 연구원 주도로 2012년 건기에 필리핀 국제미작연구소에서 ‘Japonica 2’와 ‘IR11K233’를 교배한 후 계 통육종법으로 육성된 품종이다. 2. 2012년 우기에 F1세대로 부터 얻은 종자를 이용하여 F6 세대까지 계통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선발된 ‘IR101055-52-2- 1-2-2’ 계통을 대상으로 2017~2018년 2년간 우기 및 건기 각 2회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20 년에 필리핀 벼 품종심의위원회에서 장려품종으로 선정되고 ‘Japonica 7’으로 명명되었다. 3. ‘Japonica 7’은 파종부터 수확까지 생육일수가 111일인 조생종으로, 간장과 수장, 포기당 이삭수는 ‘MS 11’과 비슷하다. 등숙률은 89%로 ‘MS 11’보다는 낮은 편이나 ‘Japonica 1’ 보다는 높았다. 현미천립중은 23.3g으로 ‘MS 11’과 비슷한 중립중이다. 4. 병해충 반응은 도열병과 잎집무늬마름병 및 흰잎마름병 에는 중도저항성이나 퉁그로바이러스에는 약하다. 벼멸구와 애멸구에는 중도 또는 감수성이었으나 이화명충의 일종인 White stemborer에는 ‘MS 11’과 비슷하게 강한 편이다. 5. ‘Japonica 7’의 곡립은 중립종이고 완전미 도정수율이 58.8%로 ‘MS 11’보다 높았으며, 필리핀 소비자 선호도는 ‘Japonica 7’이 대비품종인 ‘MS 11’ 보다 쌀에서는 75.6%, 밥맛에서는 81.1%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6. ‘Japonica 7’의 수량은 필리핀 지역적응시험 평균 3.03 MT/ha로 대비품종 ‘MS 11’보다 17% 높았으며 시험한 전지역에서 전반적으로 표준품종인 ‘MS 11’보다 전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4,000원
        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chyranthes japonica Nakai (AJ) is a perennial herb with a wide distribution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and it is mainly used as a medicinal plant. In Korea, AJ has been widely used to control pain and improve symptoms in OA patients. AJ contains several important phytochemicals such as saponins, inokosterone, ecdysterone, and oleanolic acid bisdesmoside. Methods and Results : The aim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ermented and ethanol extra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J). The extracts showed strong reductive power and nitrite scavenging, hydroxyl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DNA damage prevention activities. Treatment of RAW 264.7 macrophages with AJ inhibit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O secretion and iNOS expression without affecting cell viability. AJ also inhibited cyclooxygenase 2 (COX-2) expression, leading to the suppression of COX-2-derive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These inhibitory effects of AJ were accompanied by reduce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s (IL)-1β, -6, and -10. Furthermore, AJ suppressed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c-Jun N-terminal kinase, and p38. Moreover, AJ inhibited malondialdehyde production and myeloperoxidase activity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onclusion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is closely related to their medicinal properties and is widely used as a parameter to determine the bioavailability of medicinal plants. The antioxidant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J extracts might be due to the synergistic actions of multiple bioactive compounds. It can be concluded that AJ extracts are a potential source of biologically important drug candid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