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L2 motivation of 11 students about to start studying English as junior college English majors.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a ten-day L2 motivational program designed to help them with L2 skills and life on campus. To understand how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ata gathered from online learning logs were coded using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Consequently, the participants shifted to embody ‘none to something’ qualities in terms of L2 selves and effort during the program. That is, they established self-images to believe in when using and learning English, which eventually developed into effort-driven attitudes and behavior. The students also set goals and plans according to their L2 selves created or revealed during the program. Although the program was comparatively short with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entering a junior college, the findings indicate that an L2 motivational program for new adult students could be conducive to promoting and sustaining their effort, L2 selves, and motivation.
        7,7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경력개발역량이 긍정심리자본과 경력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개 전문대학 1학년 재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개발역량은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력개발역량은 경력탐색행동의 직업에 대한 탐색과, 자신에 대한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과 희망은 경력탐색행 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간 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아지도록 동기부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의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 을 제시하였다.
        5,200원
        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tatical analysis of data (828 data in 2010, 752 data in 2012, 648 data in 2014) in order to evaluate laboratory awareness difference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universitie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institutes in the order of polytechnic colleges,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showed the highest laboratory safety awareness in 'awareness and education of laboratorial safety regulation' and 'awareness in laboratory risk factors'. Second, the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of universities by year(years that conducted current status survey) was the highest in year 2014, then in 2010, and in 2008. Third, the difference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for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by year(years that conducted current status) showed that university had the highest laboratory safety awareness in year 2010, but it changed to polytechnic colleges in year 2012 and 2014. Through this study, we could recognize the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in university institutes
        4,000원
        4.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에 비해 열악할 수 있는 2년제 대학생들의 진로인식․탐색․준비를 기초로 졸업 후 취업을 향상하는데에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및 진로지도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강화 대책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취업률을 향상시키고자 학교차원과 학과 차원으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취업률 향상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학교차원으로의 방안으로 첫째, 취업정보센터의 원활한 운영이 무엇보다 강조되어야 한다. 취업정보센터의 업무를 보다 적극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원이나 직원의 순환보직도 학교 내부의 효율성 측면을 보았을 때에는 생산적이겠지만, 전문적인 인력을 고용하여 학교취업을 극대화하는 것을 고려해야한다. 둘째, 학생역량강화시스템의 도입이다. 즉 최근에 정보공시제, 취업률 공개, 성과지표방식 적용, 교육역량강화사업 등 정부의 대학 평가 및 재정지원 기준이 강화되었는데, 이에 학생 입장에서는 입학에서 졸업까지 진로탐색-진로설계-경력관리-진로상담-취업지원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지도교수는 담당학생들의 진로, 경력, 적응, 중도탈락 위험요인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 진로지도 및 상담을 지원하는 시스템 필요하고 대학에서는 중장기적인 학생 역량 인프라 구축, 타 대학과 차별화되는 핵심 서비스 필요, 진로/역량/취업 서비스의 통합적 관리 등 다양한 업무 지원 및 학생 관리 서비스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취업박람회 개최를 고려할 수 있다. 취업박람회는 후원 기관의 협조 및 세미나 행사(IT,전기전자업종협의회 MOU체결) 등과 연계하여 기업체 경영자 및 기관 일자리 담당자 방문으로 실질적인 협력체 관계를 마련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은 학과차원으로서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첫째, 현장실습-직업체험(Job Shadowing)의 효율적 운영이 요구된다. “현장실습” 교과목의 강조이며, 지도교수의 업체 방문을 통해 현장교육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둘째, 취업교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시 진로지도시스템(L.C.P.)으로서 지속적인 진로정보를 제공하고 취업 및 진로에 관련한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주 1회 이상 진로 및 취업관련 상담과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6,000원
        5.
        199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6.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디자인 전공 분야에서 학생들이 현장 경험을 통해 실무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지역사회경험학습인 CBL(Community Based Learning) 학습 모델을 고찰하고 그 질적 효과를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한 지식, 기술, 태도의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디자인과 지역사회경험학습’ 과목은 동의과학대학교 디자인계열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되었다. ‘디자인과 지역사회경험학습’ 교과목으로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배운 전공이론과 지식을 실제 현장에 직접 적용해보고, 프로젝트 결과물을 수업 시간 중에 발표한다. 그리하여 시각 디자인 직무의 현장 실무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경험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 실무와 관련된 CBL은 시각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전공능력과 직무 관련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NCS 기준에 의한 학생 일지 분석, CBL 관련기관 평가, 포트폴리오, 자격증 취득 결과 등을 통해, 본 논문의 교육설계와 그 설계에 따른 실행이 학생들의 전공능력과 현장실무 능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