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과자인 유과와 강정을 원·부재료와 기기 및 도구, 작업자의 개인위생, 제조공정별 원료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을 분석하였다. 유과제조 과정 중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척 방법과 횟수에 따른 미생물 저감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강정의 제조 공정 중 튀밥에서 일반세균수 1.2 Log CFU/g, 완제품의 경우 3.7 Log CFU/g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유과의 제조 공정 중 일반세균수는 불림공정에서 일반세균 최대 6.5 Log CFU/g 수준으로 증가하다가 튀김공정에서 1.3 Log CFU/g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완제품에서 4.0 Log CFU/g 수준으로 재오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제조과정 중에 작업도구와 기기 또는 작업자 등에 의한 교차오염으로 판단되었다. 작업 도구인 주걱의 경우 일반세균 약 4.4 Log CFU/g, 대장균군 4.2 Log CFU/g으로 매우 오염도가 나타났다. 유과의 불림단계에서 7일동안 일반세균 수가 최대 10 Log CFU/g 이상, 대장균군의 경우 6.8 Log CFU/g으로 증가하였다. 손 또는 도구를 이용한 세척 방법과 흐르는 물에 세 척한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손을 이용하여 수돗물로 10 회 세척하였을 때 일반세균 5.0 Log CFU/g, 대장균군 2.8 Log CFU/g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소규모 업체의 전통 한과 제조 시 작업자나 작업 도 구 및 기기 사용 후 세척 및 소독하는 과정이 요구되며 완제품의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저감화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우리나라 전통과자인 한과의 판매 가능성과 수용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설문 시에는 적절한 양과 가격, 섭취경험, 구입의사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관능검사 시에는 다식, 산자, 약과, 엿강정에 대해서 색깔-모양- 냄새와 greasiness, sweetness, firmness, adhesiveness, crispiness, dryness, overall acceptance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약과는 greasiness 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산자와 엿강정은 crispiness 가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1) 전체적인 수용도는 다식이 유의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p<0.01). 조사대상자는 한과를 스낵(42.9%)으로 이용하겠다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그러나 구입의사에 대한 항목에서는 시식 후 90.5% 가 구입의사가 없다고 응답했으므로 한과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각 나라의 식문화를 고려하여 각 나라 사람들에게 친숙한 향과 맛을 첨가하여 제품을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HACCP model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s. Prerequisite program and HACCP plan were proposed and analyzed for Yugwa. After analysing hazards of raw material and manufactnring processes, CCP, CL and control methods were presen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at the Korean traditional cookies plant. It gave a clue that general sanitation control proced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safe traditional cookie products. Hazard analysis of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determin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s and critical limits at the plant lead to present a model of HACCP plan. Implementation of HACCP can he carried out using a HACCP model. Critical control point of Yugwa production were determined as frying process. 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ere presented for CCP determination.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by housewives, a survey was conducted to 1,037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from October 16 to 23, 1986.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requency of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was very low depending on the age and total income. Housewives didn't prepare Korean traditional cookies at home, but mainly purchased commercial products in the market. Older people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cookies than younger people. The Korean traditional cookies which preferred by the housewives were generally Yackwa, Sesame-Gangjung, Soybean-Gangjung, Sanja, Perilla-Yutgangjung, Maejagkwa, Seban-Gangjung, Soybean-Yutgangjung and Black sesame-Gangjung. Improvement of taste in Korean traditional cookies was desired by 44.7% out of respondents. Additionally the respondents agreed that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which is on the market have superior quality than western cookies, that the price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is expensive and that Korean traditional cookies have various and abundent kind. The respondents preferred bamboo basket packing as packing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The main reason why Korean traditional cookies isn't wide spread use is the mass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does not accomplished.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과, 세반강정, 산자, 송화다식, 들깨엿강정에 대한 품질표현용어를 77명의 설문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 90여종의 표현용어를 수집하였다. 이들 용어중 58종의 표현용어는 국어대사전에 수록되어 있었으며 한과의 종류별 주요품질요소를 표현빈도수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한과류를 실온에서 10일간 상대습도 0~68% 범위에서 저장하였을 때 주요품질요소의 변화를 관능검사로 평가하였다. 저장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한과류 종류별 주요 관능적 품질요소의 변화 양상을 정량적 묘사 분석법으로 도해함으로서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었다.
한과류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진행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제품을 현대화시키기 위한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제까지 연구된 한과에 관한 문헌 고찰을 시도하였다. 한과의 종류는 쓰이는 재료 및 제조방법에 따라 분류되며 유밀과류, 강정, 산자류, 다식류, 전과류, 숙실과류, 과편류 및 엿강정류로 분류되었다. 이들 종류별 원료 배합과 제조방법의 특징을 기술하고 이들 제품에 대한 과학적 해석을 종합 정리하였다.